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지역대학을 활용한 통합적 커뮤니티 케어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The Integrated Community Care Participation and Model Development Using Local Universiti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A2A03-2019S1A5A2A03055056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2 년 (2019년 07월 01일 ~ 2021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임진섭
연구수행기관 배재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진영란(청운대학교)
김명일(서울대학교)
박명배(배재대학교)
정형선(연세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본 연구는 정부의 커뮤니티 케어 정책이 효과적으로 실현되기 위해 지역사회 대학의 참여와 활용방안을 심도 있게 모색하고, 커뮤니티 케어와 관련한 지역대학의 역할과 기능을 어떻게 정립하고 구체화 시킬 수 있을지를 탐색적으로 조사하고 실행 가능한 전략을 도출하는 것이다.
  • 기대효과
  • ○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을 갖는다.

    ○ 첫째,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지역대학의 새로운 운영전략과 활로(活路)를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위기에 처한 국내 대학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교육과 연구 외에 그 동안 소홀시 되어왔던 대학의 사회적 책무를 실현할 수 있는 혁신적이고 모범적인 운영방안 제시(연구・교육+사회정책 수행)
    ○ 둘째, 중앙 및 지방정부의 부족하고 미비한 고령화 정책과 제도를 보완할 수 있는 혁신적인 고령화대책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민・관・학 공동체 기반의 지역사회 돌봄문화 정착을 위한 모범적 사례로 활용가능
    ○ 셋째, 현재 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핵심 커뮤니티 케어분야(주거, 건강의료, 요양・돌봄, 서비스 연계)와 관련한 전공육성, 신규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기존인력의 재교육(위탁 등) 등을 통해 새로운 사회적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 확대
    ○ 넷째, 대학의 다양한 전공분야에서의 고령친화 관련 연구와 컨텐츠를 축적함으로써 고령사회 및 초고령사회가 요구하는 효과적인 방안마련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
    ○ 다섯째,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지역 고령자 생산성 향상 모델 및 정책, 서비스 개발에 활용
  • 연구요약
  • 1) 연구의 필요성


    ○ 대학은 다양한 학문적 전공기반에 근거한 전문성과 광범위한 자원, 인프라를 집약적으로 갖춘 지역사회 핵심 기관이다. 따라서 지역 노인들이 지닌 요양 및 돌봄, 보건의료, 복지, 평생교육 문화, 일자리, 주거, 여가, 사회참여 등 다양한 이슈와 문제들 통합적이며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는 강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대학은, 커뮤니티 케어를 구성하는 요양・돌봄, 건강・의료, 주거에 대한 욕구해결과 고령화 이슈를 통합적이고 포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문성과 역량, 자원 인프라를 모두 갖춘 지역 내 유일기관이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커뮤니티 케어 정책뿐만 아니라 중앙정부를 비롯하여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추진된 기존의 고령화대책 등에서 지역 내 핵심기관인 대학의 역할과 기능, 협력 및 연계, 참여에 대한 논의는 사실 상 전무한 상황이다. 앞으로 더욱 심화될 고령화 문제를 정부와 지자체가 온전히 감당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며 그럴 여력도 크지 않다. 정부와 지자체는 다른 어떤 기관보다도 지역대학이 고령화 문제를 효과적이고, 통합적이며 전문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지역사회 자원이라는 점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역사회의 자원으로써 지역대학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활용해야 한다

    2) 연구목적

    ○ 커뮤니티 케어의 성공적인 제도적이 안착을 위해서는 지역 내 다양한 자원과 기관의 활용, 연계는 필수적으로 요구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기존의 민・관 중심의 협력체계보다는 지역사회의 가장 큰 자원 중 하나인 지역대학의 참여와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심도 있게 모색하는 것이 커뮤니티 케어정책 목표의 실현과 지역발전에 더욱 효과인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시대에 따른 대학의 역할과 기능의 변화바람(고령친화대학의 등장 등) 속에, 지역대학의 커뮤니티 케어 사업 참여의 가능성과 그에 따른 역할과 기능을 면밀히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민・관・학 협력체계를 통해 커뮤니티 케어와 관련한 4대 핵심과제인 보건의료-복지-요양-주거 서비스의 효과적인 연계체계를 구축・제공하고 공동체 기반의 지역사회 돌봄문화를 정착시켜 나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한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3) 연구내용

    (1) 1차년도 연구내용

    󰊱「대학기반(참여)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지역사회 욕구 및 수요조사
    ○ 커뮤니티 케어정책과 관련한 “케어 매니지먼트(care management)” 제공주체와 거버넌스 및 전달체계에서 지역대학의 참여 시, 지역노인 및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기대하는 욕구 및 수요에 대해서 파악한다.

    󰊲 국내 대학의「지역사회 요양・돌봄관련 활동」및 수준에 대한 실태파악
    ○ 지역에서는 민간, 특히 지역대학을 중심으로 자생적으로 태동하고 성장・발전해온 대학기반의 요양・돌봄 관련 프로그램 또는 활동이 존재, 유지,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발생적 대학기반의 요양・돌봄과 관련한 대학별 다양한 활동사례와 특성적 요인을 면밀히 파악하고자 한다.

    󰊳 대학의「지역사회 요양・돌봄관련 활동」및 수준에 대한「국제간 비교」
    ○ 대학별 자생적으로 발생한 지역사회 요양・돌봄 관련 활동 및 고령친화성(Age-Friendliness) 수준에 대한 국가 간 상호 비교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진에서 설정한 국제간 비교를 위한 대상국과 대학은 「고령친화대학 글로벌 네트워크(Age-Friendly University Global Network: AFUGN)」에 가입된 7개 국가(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슬로바키아), 총 44개 대학이다.

    󰊴「민・관・학 커뮤니티 케어 협력체계」구축방안 도출
    ○ 기존 민・관 중심의 기존 커뮤니티 케어 정책에서 대학이 단순히 수많은 지역사회 자원중 하나로서 기능하고 참여 가능한 형태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케어 매니지먼트(care management)” 의 핵심적인 제공주체 그리고 거버넌스 및 전달체계에서 중추적인 역할로 대학의 참여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2) 2차년도 연구내용

    󰊱「커뮤니티 케어 대학모델」및「프로그램(시범사업)」개발・평가
    ○ 커뮤니티 케어의 직접적인 대상자인 지역노인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대학에게 갖는 욕구 및 수요조사에 근거하여,「대학별 커뮤니티 케어 참여 모델(University Model for Community Care: UMCC)」을 개발하고자 한다.

    󰊲「커뮤니티 케어 대학모델」의 적용을 위한 통합적 준거지표 개발
    ○ 앞서 개발된 대학별 커뮤니티 케어 참여모델(University Model for Community Care: UMCC)은 다소 추상적이고 모호한 모델의 성향이 강하다. 따라서 모델별 특성에 따른 지역대학의 커뮤니티 케어의 참여와 실제적인 적용・운영을 위해서는 구체적인 준거지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표

    ○ 오늘날 많은 지역대학들이 학령인구의 급속한 감소로 인해 존립이 위태로운 상황 놓여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역사회 고령화정책에 대한 지역대학의 적극적인 참여와 역할부여는 향후 지역대학의 새로운 생존전략과 지향해야할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의미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2. 연구내용

    1) 1차 년도 연구내용

    ○ 1차 년도의 연구내용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대학의 지역사회 요양・돌봄관련 활동사례를 파악하며 둘째, 민・관・학 커뮤니티 케어 협력체계 구축방안 도출(대학별 커뮤니티 케어 참여 모델개발), 셋째,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지역대학의 참여 시, 지역노인 및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기대하는 욕구 및 수요에 대해서 파악하였다(코로나19로 인해 2차년도에서 진행).

    2) 2차 년도 연구내용

    ○ 2차 년도의 연구내용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가칭 대학기반의 “지역사회돌봄사업단(단장: 연구책임자)”을 구축하고 관련 학내 학과(간호학과)와 연계하여 커뮤니티 케어 시범사업을 실시하였다. 둘째, 「커뮤니티 케어 대학모델」의 적용을 위한 통합적 준거지표를 개발하였다. 셋째, 각 대학에서 벤치마킹하여 지역대학의 특성에 적용‧확장시킬 수 있도록 대학기반의 커뮤니티 케어 사례집을 제작하였다.

    3. 추진실적

    1) 1차년도 연구내용

    ○ 1차 년도 연구내용에 근거하여 첫째, 국내·외 대학의 「지역사회 요양・돌봄관련 활동」 사례조사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외 대학을 중심으로 대학기반의 다양한 노인 돌봄 및 헬스케어를 제공하고 있는 대학의 사례를 조사·분석하였다. 이러한 조사를 통해 주요 대학별 커뮤니티 케어 관련 사례를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둘째, 커뮤니티 케어와 관련하여 다양한 활동 및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해외대학(McMaster university & Eastern Michigan University: EMU)에 대한 현지사례조사와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진은 향후 국내 “지역대학을 활용한 커뮤니티 케어 참여 모델(University Model for Community Care: UMCC)”(안)을 아래와 같이 도출하였다.

    2) 2차년도 연구내용

    ○대학차원의 지역사회돌봄사업단(단장: 연구책임자)을 구축하여 커뮤니티 케어 시범사업을 실시하였다. 둘째, 커뮤니티 케어 대학모델의 적용을 위한 통합적 준거지표 개발하였다. 셋째,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지역대학의 참여 시, 지역노인 및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기대하는 욕구 및 수요에 대해서 파악하였다. 넷째, 대학 구성원인 대학생들이 갖고 있는 대학기반의 커뮤니티 케어 대한 생각과 의견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섯째, 대학기반의 커뮤니티 케어 시범사업을 위해 진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사례집을 제작하였다.
  • 영문
  • 1. The necessity and goal of research.

    ○ Today, many local universities are in danger of their existence due to the rapid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In this situation,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role of local universities in community aging policies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new survival strategies and directions for local universities in the future. The contents of the study conduc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2. Research contents.

    1) The 1st year's research.

    ○ The research contents of the first year a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 university's community care and care-related activities were identified, and second,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private community care cooperation system (development of community care participation models by university), and third, the needs and demands expected by local senior citizens and various stakeholders.

    2) The 2nd year's research.

    ○ The research contents for the second year a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in this study, a tentatively named university-based "community care project group (Director: Research Manager)" was established and a community care pilot project was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the relevant department (Nursing Department). Second, an integrated reference index was develop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Community Care University Model. Third, we intend to produce a casebook of university-based community care so that each university can benchmark and apply and expand it to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universities.

    3. Promotion results.

    1) The 1st year's research.

    ○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first year's study, first, a case study of "community care and care-related activities" at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was conducted. Through this, cases of universities that provide various university-based care and healthcare for the elderly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centering on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Through this survey, cases related to community care by major universities were classified by type. Through this survey, cases related to community care by major universities were classified by type. Second, field case studie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on overseas universities (McMaster University & Eastern Michigan University: EMU), which are conducting various activities and research related to community care. Through this, the researchers derived the "University Model for Community Care: UMCC" (proposal) in Korea as follows.

    2) The 2nd year's research.
    A community care pilot project was conducted by establishing a university-level community care project group (Director: PI). Second, an integrated reference index was develop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community care university model. Third, when participating in community care by local universities, the needs and demands expected by local senior citizens and various stakeholders were identified. Fourth, a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thoughts and opinions of university-based community care held by college students who are members of the university. Fifth, it was conducted for a university-based community care pilot project, and a casebook was produc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 오늘날 많은 지역대학들이 학령인구의 급속한 감소로 인해 존립이 위태로운 상황 놓여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역사회 고령화정책에 대한 지역대학의 적극적인 참여와 역할부여는 향후 지역대학의 새로운 생존전략과 지향해야할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의미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 첫째, 고령화 시대에 따른 대학의 역할과 기능의 변화바람 속에, 지역대학의 커뮤니티 케어 사업 참여의 가능성과 그에 따른 역할과 기능을 면밀히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고찰을 통하여 지역대학의 지향해야 할 새로운 역할과 패러다임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둘째, 지역사회 노인과 커뮤니티 케어의 이해관계자들이 대학에 가지는 욕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욕구조사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초고령 사회를 앞둔 국내 지역대학들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티 케어 모델개발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셋째, 커뮤니티 케어의 성공과 제도적 안착을 위한「민・관・학 커뮤니티 케어 협력체계」구축방안을 도출한다. 공공과 민간, 그리고 대학은 독립적이며 서로의 역할과 기능이 뚜렷이 구분되지만 커뮤니티 케어의 실효성을 제고하고 성공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긴밀한 협력체계를 갖춰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이 커뮤니티 케어에 참여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 넷째,「커뮤니티 케어 대학모델」의 적용을 위한 통합적 준거지표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급속한 고령화 현상과 학령인구 감소라는 범 국가적 위기 속에서, 지역대학의 커뮤니티 케어 정책 참여와 성과에 대하여 정확히 판단하고 대학의 고령친화성 제고를 위하여 어떠한 노력을 담당해야 할지에 대한 경험적 준거를 제시할 수 있다. 즉, 다소 모호한 지역대학의 커뮤니티 케어와 고령친화적인 대학 모델 적용을 위한 가이드 기준을 마련하고, 커뮤니티 케어의 핵심 수행주체로써 대학의 구체적인 역할과 기능을 명확하게 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지역대학의 새로운 운영전략과 활로(活路)를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위기에 처한 국내 대학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교육과 연구 외에 그 동안 소홀시 되어왔던 대학의 사회적 책무를 실현할 수 있는 혁신적이고 모범적인 운영방안 제시(연구・교육+사회정책 수행)

    ○ 중앙 및 지방정부의 부족하고 미비한 고령화 정책과 제도를 보완할 수 있는 혁신적인 고령화대책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민・관・학 공동체 기반의 지역사회 돌봄문화 정착을 위한 모범적 사례로 활용가능

    ○ 현재 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핵심 커뮤니티 케어분야(주거, 건강의료, 요양・돌봄, 서비스 연계)와 관련한 전공육성, 신규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기존인력의 재교육(위탁 등) 등을 통해 새로운 사회적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 확대

    ○ 대학의 다양한 전공분야에서의 고령친화 관련 연구와 컨텐츠를 축적함으로써 고령사회 및 초고령사회가 요구하는 효과적인 방안마련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

    ○ 세계보건기구(WHO) 고령친화도시 구축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고령친화 지역 거버넌스 모델 구축에 활용
  • 색인어
  • 지역대학, 고령화, 고령친화정책, 커뮤니티 케어, 준거지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