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지속가능한 지방경제 발전을 위한 혁신 기반 창업 연구
A Research on the Innovation-Based Startup Business for Sustainable Regional Econom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_순수학문연구형
연구과제번호 2019-S1A5C2A02-2019S1A5C2A02082342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2 년 (2019년 09월 01일 ~ 2021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병근
연구수행기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기술혁신경영연구소
과제진행현황 중단
공동연구원 현황 강민정(성신여자대학교)
정의섭(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이새롬(경북대학교)
지일용(한국기술교육대학교)
김종석
김규환
황정태(한림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4차 산업혁명, 혁신 성장, 그리고 고용창출 등이 중요한 경제사회 담론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현안 과제들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혁신기반 창업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그간 정부도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시행하여 다양한 성과를 창출해 왔다. 그러나 이들 성과가 주로 금융 및 인적자본이 풍부한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창업생태계 구축은 여전히 미흡하다. 또한 학술적인 차원에서 선행 혁신기반 창업연구는 기업가정신 연구와 혁신이론 관련 창업 연구가 별개로 발전되어와 혁신기반 창업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두 분야의 통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연구목표는 첫째, 기술혁신이론과 기업가정신연구를 통합하여 기술혁신과 기업의 창업, 생존, 성장의 관계를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규명할 연구모형을 도출하는 것이다. 기존에 독자적으로 연구된 기업가정신과 혁신이론을 통합한 연구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혁신형 기업 창업 과정과 환경요인을 명확히 함으로써 선행 연구들과 차별성이 있다. 기업의 창업과 혁신을 통합적으로 분석함에 있어서, 기업가정신의 발현 유형을 기술창업(Technology Entrepreneurship)과 혁신기반 사회적 기업 창업(Social Entrepreneurship)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둘째, 기업가 개인의 특성이라는 미시적 차원부터 기업 및 경제시스템의 거시 수준까지 포괄하여 다층적인 수준에서 혁신기반 창업의 특성과 지방경제의 관계를 규명한다. 기업가 개인 수준에서는 기업가적 기회인식 및 활용과 관련된 기업가특성을 분석하고, 조직(팀 또는 기업) 수준에서는 자원 확보 및 혁신전략수립 등 기업가적 과정관리와 성과관계를 분석하며, 혁신생태계 관점에서 지방의 창업환경과 혁신기반 창업의 관계를 분석한다.
    연구의 1단계 1차년도에서는 통합 연구모형 도출에 초점을 둔다. 창업기업의 역량과 성과, 혁신창업생태계, 그리고 기업가정신과 지방경제 관련 문헌연구를 수행하여 통합 연구모형을 도출한다. 1단계 2차년도와 3차년도에는 통합 모형에 따른 사례연구와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혁신기반 창업을 다층적 측면에서 분석한다. 2단계 1차년도와 2차년도에는 기술창업과 혁신기반 사회적 창업에 대한 사례연구 및 정책지원의 효과성 분석을 실시하며, 2단계 3차년도에는 이론 및 실증을 종합하여 성과를 도출하는 것이 목표이다.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1차년도에는 SCI급 학술논문 3편과 KCI급 학술논문 4편, 저역서 1편을, 2차년도에는 SCI급 학술논문 6편과 KCI급 학술논문 10편, 저역서 1편을, 마지막으로 3차년도에는 SCI급 학술논문 6건과 KCI급 학술논문 12편, 저역서 2편을 발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매년 연구성과를 정리한 연구총서를 발간하여 연구의 성과를 확산 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매년 학술대회를 1회 이상 개최하고 마지막 3차년도에는 해외학술대회를 개최하여 연구성과의 공유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2단계 1차년도부터 학술지를 발간할 계획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슘페터 관점에서 혁신연구와 기업가정신 연구의 통합을 시도하고 기업가, 중소기업, 지역경제 시스템에 이르는 다층적 분석을 통해 혁신>창업>경제발전이라는 연결고리에 대해 학술적으로 깊이 있는 연구결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학문 분야별로 독자적으로 발전해온 다양한 이론과 연구방법들을 융합하여 연구모형과 분석틀을 도출하고, 새로운 이론적 접근과 방법론을 적용한 실증연구결과를 제시하여 혁신과 창업분야의 학술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학문적 기여 이외에도 첫째, 기업의 경영 및 지역 활성화 정책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혁신기반 창업기업의 성과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창업전략 및 지역경제 발전정책의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여 혁신 기반 창업기업의 역량강화와 창업정책의 효율성과 효과성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연구기반측면에서 수도권 대학에 비해 학술연구 기반이 매우 취약한 지방 대학의 사회과학연구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국내 지방대학 연구진과 해외 연구진 간 연구협력을 활성화하여 혁신연구와 창업생태계 연구의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여 지방의 사회과학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국내 지방대학 연구자 및 해외 연구자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향후 혁신연구와 창업생태계 연구의 플랫폼으로 작동하여 이 분야 학술역량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셋째, 교육 및 연구 인프라가 취약한 지방 대학에서 사회과학분야의 우수한 연구인력 양성과 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한다. 특히 연구 수행과정에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학생들이 연구보조원으로 참여하여, 학문 후속세대로서의 역량과 경험을 쌓게 될 것이며 본 연구과제로부터의 창출된 성과물은 참여 연구진들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의 수업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본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다음 세 가지 분야의 후속연구가 파생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혁신기반 창업기업들의 전략에 대한 추가 연구를 본격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혁신기반 창업기업과 고용문제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차 산업혁명의 진전에 따라 고용에 대한 이슈가 지속적으로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4차 산업혁명의 주역으로 부상하고 있는 혁신기반 창업기업들의 고용효과에 대한 관심 역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혁신기반 창업생태계 구축이 진전됨에 따라 생태계의 전환 문제가 주요 이슈로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기업가정신 및 혁신연구 분야에서 개별적으로 수행되어 오던 창업 연구를 기술혁신 관점에서 통합하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지방경제 발전을 위한 혁신 기반 창업연구를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크게 3개의 세부 연구주제들로 구성된다. 첫째, 혁신기반 창업가의 특성 및 창업 팀의 역량과 자원이 어떻게 창업과 성과로 이어지는지를 정성적·정량적 분석을 통해 규명한다. 둘째, 혁신창업생태계에서 다양한 주체의 역할과 활동이 혁신 기반 창업과 창업기업의 성과에 어떻게,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질적 연구와 계량분석을 시도한다. 특히 지방의 혁신창업생태계에서 지역혁신거점기관의 역할이 두드러진 한국의 상황을 반영하여, 지역혁신거점기관의 역할과 정책이 창업생태계를 추동하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셋째, 혁신창업이 지방경제에 기여하는 구조를 계량분석과 사례연구를 수행, 분석한다.
    혁신기반 창업은 기술혁신 창업과 사회적 기업 창업으로 나누어 각각의 경우에 대해 창업가와 창업조직 수준, 창업생태계 수준, 혁신기반 창업의 지방경제 기여 등 거시 수준 등 다차원 분석을 시도한다.
    연구의 1단계 1차년도에서는 창업기업의 역량과 성과, 혁신창업생태계, 그리고 기업가정신과 지방경제 관련 문헌연구를 수행하여 통합 연구모형을 도출한다. 1단계 2차년도와 3차년도에는 통합 모형에 따른 사례연구와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혁신기반 창업을 다층적 측면에서 분석한다. 2차년도에는 ‘기업가적 기회인식 및 활용 영향요인 실증분석’, ‘기술창업생태계와 혁신 기반 사회적 기업 창업생태계의 비교 사례연구’를 3차년도에는 ‘혁신기반 창업기업의 역량과 성과’, ‘지역혁신거점기관의 역할연구’, ‘혁신기반 창업이 지방경제 미치는 영향 분석’ 등의 사례연구와 실증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2단계 1차년도에는 기술창업 성과영향요인과 지방경제를 연구 주제로 ‘대학기반 기술창업 기업의 역량과 성과’, ‘지역혁신환경과 창업’, ‘기술창업과 지역경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2단계 2차년도에는 혁신기반 사회적 창업에 대한 사례연구 및 정책지원의 효과성 분석을 실시하며, 2단계 3차년도에는 5년간 수행한 혁신기반 창업 관련 이론 및 사례 및 실증연구를 종합하여 학술적인 결론과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혁신기반 창업 연구에 새로운 연구방법을 적용한다. 기존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생태계 연구에서 사용되어 온 통계 기반의 계량분석, 설문 기반의 통계분석, 사례연구 등에 특허, 논문, 사회 연결망 분석 등을 새롭게 추가하여 다양하고 심층적인 분석연구를 수행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기술혁신, 사회적 창업 등 혁신창업생태계 구축에 필요한 역량에 대하여 통합적 관점을 제시하고, 혁신형 창업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한다. 이를 위해 주요 연구내용을 창업기업의 역량과 성과, 혁신창업생태계, 기업가정신과 지방경제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한다. 첫째, 창업기업 역량과 성과에서 기술창업과 혁신기반 사회적 기업 창업을 비교분석하고, 창업기업과 중소기업의 성과 영향요인과 역량 등에 대하여 분석한다. 세부적으로 기술창업과 혁신기반 사회적 기업 창업의 기업가정신을 문헌 연구를 통해 정의와 차이점 등을 비교분석하고, 창업기업과 중소기업의 혁신성과 및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례연구와 특허분석 등을 통해 도출한다. 둘째, 혁신창업생태계 분석에서 공공연구기관의 역량과 창업생태계,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 영향요인에 관하여 연구한다. 특허 데이터를 활용하여 공공연구기관의 지원 및 연구 협력이 혁신성과,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 성과 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기술혁신 창업에 있어서 필요한 특허 품질과 요인에 대하여 분석한다. 연구협약을 통해 획득한 특허정보를 활용하여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 영향요인과 기술이전 전담기관의 필요 역량 등에 관하여 연구하여 여러 관련 산업의 기술혁신에 있어서 기관의 영향과 역할을 분석한다. 셋째, 기업가정신과 지방경제 연구에서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영향요인과 예비창업가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인 등을 분석한다. 국제 데이터인 글로벌 기업가정신 연구(GEM)데이터와 창업기업 및 예비창업가와의 설문조사, 인터뷰를 통해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본 연구는 혁신형 창업연구와 관련하여 산발적으로 이루어지던 연구를 통합적으로 연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지속가능한 혁신창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한다.
  • 영문
  • This study presents an integrated perspective on the capabilities required to build an innovative start-up ecosystem such as entrepreneurship,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social start-up, and lays the theoretical basis for innovative start-up research. First, it compares the capabilities and performance of technology start-ups versus innovation-based social enterprise start-ups, and analyzes the factors and capabilitie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start-ups and SMEs. We compare the the entrepreneurship of technology start-ups and innovation-based social enterprise start-ups through literature studies, case studies and patent analysis.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innovative start-up ecosystem, the capabilities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and factors influencing technology transfer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re studied. Using patent data, we examine the impact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support and research cooperation on innovation performance, technology transfer,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and also analyze patent quality and factors necessary for technology innovation start-ups. Using the patent cooperation data, the impact factors of the necessary capabilities of the agency dedicated to technology transfer are examined to analyze the impact and role of institutions in various related industries. Third, in the study of entrepreneurship and local economy, the influencing factors of social entrepreneurship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start-up intention of prospective entrepreneurs are analyzed. Through Global Entrepreneurship Research (GEM) data, surveys and interviews with start-up companies and prospective entrepreneurs, in-depth studies on factors that affect entrepreneurship and the effect on start-up intention are conducted. This study draws implications by integrating previous research streams that have been sporadically conducted in the entrepreneurship research field and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sustainable innovative start-up ecosyste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기술혁신, 사회적 창업 등 혁신창업생태계 구축에 필요한 역량에 대하여 통합적 관점을 제시하고, 혁신형 창업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 연구내용을 창업기업의 역량과 성과, 혁신창업생태계, 기업가정신과 지방경제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창업기업 역량과 성과에서 기술창업과 혁신기반 사회적 기업 창업을 비교분석하고, 창업기업과 중소기업의 역량과 성과요인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세부적으로 기술창업과 혁신기반 사회적 기업 창업의 기업가정신에 대한 특성과 관계, 창업기업과 중소기업의 혁신성과 및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기업가의 특성, 창업환경, 기업문화 등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둘째, 혁신창업생태계 분석에서 공공연구기관의 역량과 창업생태계,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공공연구기관의 지원 및 연구 협력이 혁신성과,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 성과 등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 창업에 있어서 필요한 기술의 품질과 요인, 기술이전 전담기관의 역할과 중요성 등에 대해 다루고자 하였다. 셋째, 기업가정신과 지방경제 연구에서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영향요인과 예비창업가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인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창업가 개인의 환경과 역량, 지역적 환경 등이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 창업의도와 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등이 심층 분석의 주제였다. 본 연구는, 그간 산발적으로 이루어지던 혁신창업 연구주제에 대해 통합적 관점으로 접근하였으며, 이를 통해 학술연구 및 현장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지속가능한 혁신창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사회과학 분야 학문 발전, 창업 및 중소기업 정책 효과성 제고, 지역혁신거점기관 역할 강화를 통한 국가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기술혁신과 창업기업연구 분야에서 연구 성과를 창출하여 학문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부분의 창업기업 관련 연구들은 특정 이론들이 산발적으로 진행되어 온 관계로, 기술혁신을 바탕으로 한 혁신형 창업연구에 대한 통합적 접근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창업기업의 기업가정신, 창업의도, 기술혁신 등에 대한 통합적 이해의 틀을 제시하고 실증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기술혁신경영연구소가 확보한 산학연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술현장과 산업현장 간 괴리를 극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술적 우수성은 물론 실제 산업현장 적용 가능성이 높은 연구를 추진한다. 연구 기간 동안 MOU를 통해 획득한 산업현장의 실제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창업 활성화를 위한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 성공요인 분석과 기업가정신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본 연구는 국가 정책 차원에서도 실질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 경제 환경에서 혁신창업생태계의 구축은 고용문제나 지속적인 경제성장의 원동력을 확보하는 데에 핵심적인 정책 현안이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기존 생계형 창업 중심의 기업가정신 연구, 기술창업 중심의 혁신연구와 사회적 창업 연구를 개별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닌 통합적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지역혁신거점기관의 역할 수행을 강조하고, 이를 통해 혁신창업 생태계 구축의 발전에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본 연구는 미래 기술혁신 연구를 주도할 우수한 인재 양성에 기여하였다. 연구 추진 과정에서 연구보조원의 참여를 강화하여 연구 수행과 인력양성의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키며, 연구과정에서 도출된 결과물을 기술경영, 중소기업경영, 기술사업화 등 관련 대학원 과정의 교육 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 색인어
  • 기술혁신, 혁신역량, 혁신환경, 혁신전략, 중소기업, 개방형 혁신, 기업가정신, 기술전략, 기술협력, 동적 역량, 신제품개발역량, 기술정책, 기술기반창업, 기술사업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