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응답사 지도방법 연구 -응답표현「はい、そう」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hod of Teaching Response Expressions for Polar Interrogative Sentences: Focusing on 'Hai, Sou'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B5A07110529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1 년 (2019년 12월 01일 ~ 2020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장희주
연구수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40;글로벌캠퍼스& #41;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긍정 응답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 중에서도「はい、そう」를 중심으로 한국인 학습자를 위한 응답사의 효과적인 지도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Yes-No(판정)의문문은 일본어교육 초급단계부터 나오는 질문의 형태로써 한국인학습자에게는 한국어의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응답의 형태와 비슷하기 때문에 어렵지 않은 용법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KY코퍼스의 일본어 능력 상급의 한국인학습자의 발화에서도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응답을 나타내는 「はい、そう」의 부자연스러운 예들이 보인다. 이는 일본어 능력이 향상되어도 자연스러운 응답사 사용은 명시적인 지도 없이는 습득되지 않으며 반드시 「はい、そう」에 관한 지도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はい、そう」에 관련된 선행연구는 공통적으로 「そう」가 명사술어문 및 のだ문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신야(新屋2013)는 명사술어문이나 のだ문의 선행문에도 「はい、そう」의 응답이 부자연스러운 예들이 있고 명사술어문이나 のだ문이 아닌 선행문에도 「はい、そう」의 응답이 가능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한국인학습자들은 명사술어문의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해 「はい、そう」의 응답이 아닌, 선행하는 의문문의 표현을 그대로 반복하는 패턴으로 응답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반복 패턴에 대해 사이키(斉木2004)는 일본어모어화자는 사용하지 않는 패턴으로 자연스러운 응답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기술하고 있다.
    한국인학습자에게 「はい、そう」의 용법이 어려운 이유로 모어인 한국어에서 오는 간섭의 영향도 있다고 생각된다. 응답표현 「はい、そう」는 한국어로 ‘네, 그렇습니다’로도 ‘네, 맞습니다’로도 해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はい、そう」는 나타내는 의미가 다양하고 그 사용에는 여러 제약이 있다. 또한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응답사 연구는 「はい」에 집중되어 있고 응답표현「はい、そう」에 관한 연구는 의미 용법상 유사한 표현인 「はい」와 차이점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한국인학습자에게 제시할 수 있는 명시적인 설명이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용론적 관점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긍정의 응답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 중 「はい、そう」가 나타내는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에게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지도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한국인학습자들이 긍정의 응답사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관련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일본어모어화자와의 사용법에 있어서 상이한 부분을 명확히 하여 효과적인 지도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해 다음의 (가)~(마)를 기대할 수 있다.

    (가) 학문적, 사회적 기여도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자연스러운 긍정의 대답은 커뮤니케이션에서 기본적인 요소이고 Yes-No(판정)의문문은 일본어교육 초급단계부터 나오는 질문의 형태로써 그에 대한 응답 역시 초급레벨의 학습자뿐만 아니라 상급레벨의 학습자에게도 습득이 필요한 용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인학습자들의 「はい、そう」의 예문을 보면 부자연스러운 예들이 있고 그 사용을 회피한다고 생각될 정도로 용례수가 적다(사이키斉木(2008)). 본 연구를 통해 일본어능력별로 효과적인 「はい、そう」의 지도방법이 제시되면 보다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한다.

    (나) 인력양성 방안
    지금까지의 신청자의 연구는 학습자 언어를 대상으로 하거나 학습자 언어에 보이는 부자연스러운 표현의 원인을 찾기 위한 연구로써 본 연구가 지원을 받게 된다면 신청자가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에 응답관련의 후속 연구 및 일본어학습자의 오용에서 비롯된 문법연구를 지속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연구 성과들을 통해 앞으로도 보다 효과적인 일본어문법교육의 발전을 위해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 교육(강의)의 연관성
    본 연구의 주제는 일본어교육 초급단계부터 나오는 질문의 형태를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레벨의 일본어수업에서 응용이 가능하다. 연구 성과를 신청자의 강의뿐만 아니라 다른 일본어강의에서도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자연스러운 긍정의 응답에 대한 지도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연구 성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라) 후속연구와의 연계 등
    본 연구는 한국인학습자들의 부자연스러운 응답표현의 사용에서 출발하였으나 일본어문법연구 및 담화연구 등 다양한 분야의 후속연구를 기대할 수 있다.
    우선 일본어학습자들의 응답표현의 습득과정에 관한 연구결과가 제2언어습득연구 및 중간언어 연구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일본어학 연구로는 「そう」로 응답할 수 있는 ノダ문과 「そう」로 응답할 수 없는 ノダ문과 같은 ノダ문의 연구로도 발전할 수 있다. 또한 맞장구와 응답에 관한 연구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담화 연구의 후속연구도 기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는 일본어교육 및 제2언어습득 분야의 후속연구에 활용될 수 있고, 이차적으로는 일본어학 및 담화 연구로의 연구 성과 확산을 기대할 수 있다.

    (마) 활용방안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학습자의 일본어능력별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응답표현을 조사하고 응답표현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앙케이트 조사를 통해 한국인학습자가 중간언어로서 산출하는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응답표현의 특징이 드러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앙케이트 조사내용은 본 연구주제뿐만 아니라 제2언어습득연구 및 중간언어 연구의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일본어교육에 있어 Yes-No(판정)의문문과 응답은 초급 단계부터 배우는 기본적인 대화의 형태이고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응답은 한국인학습자에게는 어렵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한국인학습자의 부자연스러운 「はい、そう」의 예가 보이고 「はい、そう」에 관한 제약들이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시키고자 한다.
    우선 조사대상인 응답표현에 선행하는 Yes-No(판정)의문문을 다음과 같이 비전제형 의문문, 전제형 의문문, 메아리질문문의 3종류로 분류한다. 비전제형 의문문은 화자가 해당 사태에 대해 판단이 성립하지 않고, 정보제공자로서의 상대가 존재하며, 화자가 상대에게 정보제공행위를 요구하고, 의문문의 형식(억양 포함)을 가지는 의문문으로 술어형식을 치환해도 응답방법에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전제형 의문문은 화자와 청자의 공유정보를 확인하는 표현으로 비전제형 의문문과는 달리 화자가 해당 사태에 대해 판단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의문문을 말한다. 메아리 질문문은 상대의 발화는 존재하고 그 발화내용을 이해했지만 의도한 바를 파악하기 위해서, 혹은 이해되지 않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되묻는 의문문을 말한다.
    소설을 데이터로 한 신청자의 기존연구에서는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はい、そう」의 응답은 「はい」에 비해 비전제형 의문문보다 전제형 의문문과 메아리 질문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일본어모어화자가 어떠한 Yes-No(판정)의문문에 어떠한 응답사를 사용하는지 데이터를 늘려가며 연구를 계속해나갈 예정이며 이를 통해 일본어모어화자가 Yes-No(판정)의문문에 어떠한 응답사를 사용하는지를 고찰하는 동시에 「はい、そう」를 사용되는 조건을 밝혀나갈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인학습자들의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응답사 사용실태를 명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일본어능력별 OPI테스트를 문자화한 KY코퍼스의 한국인학습자의 발화 데이터와 국립국어연구소의 C-JAS와 I-JAS의 데이터를 통해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응답사의 사용실태를 조사하고 일본어 능력별 응답사 사용실태와 「はい、そう」사용에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본다. 일본어모어화자의 사용실태와 학습자코퍼스에서 살펴본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응답사 사용실태를 토대로 설문용지를 작성하고 한국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하여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응답사에 대한 인식을 고찰한다. 앙케이트 조사결과와 발화 데이터에서의 사용실태와의 비교를 통해 「はい、そう」에 관한 인식과 그 사용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한국인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지도방법이 도출될 것이다. 다음은 연구 방법을 간단하게 기술한 것이다.

    1.한국인학습자 발화 데이터에서 긍정의 응답이 사용된 예를 수집하고 그 사용실태를 명확히 한다.
    2.일본어모어화자의 발화 데이터와 현대소설 회화문에서 긍정의 응답이 사용된 예를 수집하고 그 사용실태를 명확히 한다.
    3.한국인학습자를 일본어능력별로 분류하여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통해 일본어능력별로 「はい、そう」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 확인한다.
    4.일본어모어화자와는 다른 한국인학습자만의 특징을 통해 효율적인 지도방법을 도출한다.
    5.작성된 지도방법으로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응답사에 대해 지도하고 2차 앙케이트 조사와 인터뷰 조사를 실시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고는 한국인학습자들이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되는 「はい、そう」를 부자연스럽게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 효과적인 지도방법 제시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사를 실시하고 고찰하였다.
    우선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사전 앙케트 조사를 통해 학습자들의 응답표현에 선행하는 비전제형 의문문과 전제형 의문문에 대한 인식결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코퍼스인 KY코퍼스와 I-JAS를 통해 학습자들의 「はい、そう」 사용실태를 면밀히 고찰하였다. 그 결과 KY코퍼스와 I-JAS에서 학습자들의 부자연스러운 「はい、そう」의 응답은 비전제형 의문문 중 동사술어문과 형용사술어문에 대한 응답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응답표현「はい、そう」에 관한 지도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1. Yes-No(판정)의문문을 전제형 의문문과 비전제형 의문문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전제형 의문문의 경우는 선행문의 술어종류에 상관없이 「はい、そう」가 사용가능하다는 점을 지도한다.
    3. 비전제형 의문문에 경우에는 선행문이 명사술어문의 경우에만 「はい、そう」를 사용하도록 지도한다.
  • 영문
  • In this study, we focus on examples of the responding expression ‘Hai, Sou’ used as a response to Polar Interrogative Sentences and explore the cases where ‘Hai, Sou’ occurs as a response to Polar Interrogative Sentences in the Corpora which is KY Corpus and I-JAS.
    Based on previous studies, examples of the responding expression ‘Hai, Sou’ were divided into a response to a typical type of sentence that seeks for information and a response to a type of sentence that confirms the information shared by the speaker and the hearer.
    To begin with, we investigate whether Korean learners distinguish types of Polar Interrogative Sentences. It is then revealed that Korean learners cannot classify types of Polar Interrogative Sentences.
    The finding is that non-native usages tended to resort to use ‘Hai, Sou’ as a response to a typical type of sentence that seeks information (the percentage of examples that used Hai Sou : native 8%, non-native 24%). And unnatural examples involving ‘Hai, Sou’ occurs as a response to an adjective predicate sentence or a verb predicate sentence that seeks information.
    Our study suggests that it would be effective to teach that ‘Hai, Sou’ is frequently used as a response to a type of sentence that confirms the information shared by both the speaker and the hearer. Additionally, teach that it is legitimately used only when the preceding sentence involves a nominal predicate assuming the preceding sentence is one that seeks inform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고는 한국인학습자들이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되는 「はい、そう」를 부자연스럽게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 효과적인 지도방법 제시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사를 실시하고 고찰하였다.
    우선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사전 앙케트 조사를 통해 학습자들의 응답표현에 선행하는 비전제형 의문문과 전제형 의문문에 대한 인식결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코퍼스인 KY코퍼스와 I-JAS를 통해 학습자들의 「はい、そう」 사용실태를 면밀히 고찰하였다. 그 결과 KY코퍼스와 I-JAS에서 학습자들의 부자연스러운 「はい、そう」의 응답은 비전제형 의문문 중 동사술어문과 형용사술어문에 대한 응답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응답표현「はい、そう」에 관한 지도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1. Yes-No(판정)의문문을 전제형 의문문과 비전제형 의문문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전제형 의문문의 경우는 선행문의 술어종류에 상관없이 「はい、そう」가 사용가능하다는 점을 지도한다.
    3. 비전제형 의문문에 경우에는 선행문이 명사술어문의 경우에만 「はい、そう」를 사용하도록 지도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Yes-No(판정)의문문에 대한 자연스러운 긍정의 대답은 커뮤니케이션에서 기본적인 요소이고 Yes-No(판정)의문문은 일본어교육 초급단계부터 나오는 질문의 형태로써 그에 대한 응답 역시 초급레벨의 학습자뿐만 아니라 상급레벨의 학습자에게도 습득이 필요한 용법이다. 본 연구의 주제는 일본어교육 초급단계부터 나오는 질문의 형태를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레벨의 일본어수업에서 응용이 가능하며, 본 연구를 통해 일본어능력별로 효과적인 「はい、そう」의 지도방법이 제시되면 보다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한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일본어문법연구 및 담화연구 등 다양한 분야의 후속연구를 기대할 수 있다.우선 일본어학습자들의 응답표현의 습득과정에 관한 연구결과가 제2언어습득연구 및 중간언어 연구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구체적으로는 「そう」로 응답할 수 있는 ノダ문과 「そう」로 응답할 수 없는 ノダ문과 같은 ノダ문의 연구로도 발전할 수 있다. 또한 맞장구와 응답에 관한 연구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담화 연구의 후속연구도 기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는 일본어교육 및 제2언어습득 분야의 후속연구에 활용될 수 있고, 이차적으로는 일본어학 및 담화 연구로의 연구 성과 확산을 기대할 수 있다.
  • 색인어
  • 긍정의 응답, Yes-no(판정)의문문의 종류, 비전제형 의문문, 전제형 의문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