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어린아이의 수동문과 논항 이동 습득
Acquisition of Passive Constructions and A-Movement in Child Languag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B5A07103845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1 년 (2019년 12월 01일 ~ 2020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주영숙
연구수행기관 & #40;사& #41;한국대학교육협의회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어린아이의 수동문 습득에 관한 여러가지 가설을 최소주의 문법론으로 분석하여, 논항 이동(A-Movement)이라는 통사 작용의 습득이 언어 기능의 성숙 과정임을 증명하고, 그 습득 과정의 특성을 어린아이 언어 자료인 CHILDES database(MacWhinney 2000)를 분석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수동문 도출에 나타나는 논항 이동은 주어 논항 이동과는 다른 통사 작용이다. 어린아이가 수동문의 논항 이동을 습득하는 시기는 5~6세가 되어야 하며, 이 시기에 동사 수동과 관련된 이동 통사 작용을 습득하게 된다(Guasti 2004). Wexler(2004)는 Chomsky(2001)의 명제구 침투 불가 조건(Phase Impenetrability Condition: PIC)을 수용하여, 자신이 제안하는 보편 명제구 조건(Universal Phase Requirement)에서 5세 이전의 어린아이는 어떤 통사 구조의 vP라도 항상 외재 논항(external argument)이 있는 명제구로 인식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명제구 인식으로 인해 어린아이들이 수동문을 산출하는 논항 이동에 어려움을 가지고 수동문 습득이 다른 통사 구조 습득보다 늦어진다고 설명한다. Snyder & Hyams(2015)는 어린아이가 수동문 습득을 어려워 하는 원인을 Rizzi(2004)의 상대적 최소성 이론으로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아이가 수동문의 논항 이동을 습득하는 과정을 Wexler(2004)와 Snyder & Hyams(2015)가 제시하는 가설을 받아들이고 이를 최소주의 문법론의 자질 점검과 이동 통사 작용으로 분석하여 어린아이들이 수동문 구조를 습득하는 과정은 기능 범주 vP의 속성을 습득해 가는 과정임을 제안 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어린아이가 수동문 구조를 습득해 가는 과정을 최소주의 문법론으로 원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 결과는 어린아이의 언어 습득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른 특징과 함께 언어 습득은 보편 문법의 성숙 과정임을 증명 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연구는 어린아이가 수동문을 습득하는 과정을 기능 범주 vP를 습득해 가는 과정으로 가설을 세워 증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가 어린아이들의 언어 자료인 CHILDS database 를 분석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가설이 증명되면, 다음과 같이 어린아이 문법의 특성이 설명 될 수 있다.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어린아이가 언어를 습득하는 특정한 시기에 성인 문법에 나타나지 않는 근부정사(root infinitive)나 영주어(null subject)를 사용하는 것은 기능 범주 TP와 CP가 선택되지 않아 나타나는 어린아이 문법의 특성이라는 가설과 함께, 기능 범주 vP의 속성을 습득하는 과정도 언어 기능의 성숙 과정이라는 사실을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수동문 구조는 영어 사용에서 아주 빈번하게 사용되는 통사 구조이고, 영어 학습에서도 중요한 구조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어린아이가 수동문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최소주의 문법론의 자질 점검과 논항 이동으로 분석한 이 연구 결과는 영어학, 영어 교육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수동문의 내부 구조를 원리적으로 이해하고, 수동문이 도출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최소주의 문법론은 어린아이 문법의 특성도 설명할 수 있는 원리적인 통사 구조 설명 기제라는 것을 규명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어린아이가 수동문의 논항 이동을 습득하는 과정을 최소주의 문법론의 시각으로 기능 범주 vP의 속성을 습득하는 과정으로 분석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연구 방법으로 최소주의 문법론(Chomsky 2008)의 EPP 자질과 논항 이동, 일치 자질과 논항 이동, 그리고 Rizzi(1990, 2004)의 상대적 최소성(Relativized Minimality)을 활용하여 논항 이동의 습득 과정 특징을 설명하고자 한다.
    Chomsky(2001)는 타동사와 주어에 의미역을 부여하는 순수 자동사는 V에서 v로 합체(incorporation)되어 주어에게 의미역을 부여한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수동문 구조와 인상동사 구조, 비대격 동사 구조는 기저 구조에서 주어 논항에 의미역을 부여하지 못하므로 vP의 지정어 자리에 주어 논항이 올 수 없다. 그러므로 수동문이 도출되는 계층 형상 구조에서 vP는 명제구가 아니다. 다시 말해서 수동문의 vP는 VP 내부에 있는 목적어 DP가 vP의 지정어 자리를 거치지 않고 T가 가지고 있는 EPP 자질에 의해 TP의 지정어 자리로 바로 이동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다.
    어린아이들이 수동문을 습득하는 시기가 능동문 습득 시기보다 느리고, 특히 동사 수동문의 산출이 지연되는 이유는 논항 이동과 관련된 통사 기제를 이해하는데 시간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Borer & Wexler(1987, 1992)의 논항 연쇄 결함 가설(A-Chain Deficit Hypothesis)에 따르면 어린아이는 논항 연쇄 형성에 대한 성숙 과정이 필요하며 그것은 적어도 5~6세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Babyonyshev et al.(2001)는 논항 연쇄를 구분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어린아이 수동문을 설명하기 위해 외재 논항 요구 가설(External Argument Requirement Hypothesis)을 제안한다. 이 가설에 따르면 어린아이 문법에서는 모든 절의 vP 지정어 자리에 외재 의미역이 할당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가설은 어린아이들이 의미역이 없는 허사 주어 it을 이해한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제기된다. Wexler(2004)는 Chomsky(2001)의 명제구 침투 불가 조건(Phase Impenetrability Condition: PIC)을 받아 들여 어린아이 문법의 논항 이동을 설명한다. 최소주의 문법론에서 통사 작용의 동인이 되는 명제구 핵은 C와 결함 범주가 아닌 v(non-defective v)이다. 수동문과 비대격 동사 구문의 vP는 외재 논항이 없으므로 결함 명제구(defective phase)이다. 그러므로 동사의 보충어 자리에 있던 DP가 vP의 지정어 자리를 거치지 않고 TP의 지정어 자리로 이동하는 것이 명제구 침투 불가 조건을 위반하는 것이 아니다. Wexler(2004)는 보편 명제구 조건(Universal Phase Requirement)을 제안하며 5세 이전의 어린아이는 어떤 통사 구조의 vP라도 항상 외재 논항(external argument)이 있는 명제구로 인식하여 수동문을 산출하는 논항 이동에 어려움을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Snyder & Hyams(2015)는 어린아이가 수동문 습득을 어려워 하는 원인을 Rizzi(2004)의 상대적 최소성 이론으로 설명하고 있다. 4세 미만의 어린아이는 수동문의 논항이 vP의 지정어 자리에 있는 논항 위치를 넘어 TP 지정어 자리로 이동하는 것이 상대적 최소성을 어기는 것이라고 인식한다. 그런데 논항 이동을 해야하는 수동문의 논리 목적어가 [+Topic] 이나 [+WH] 자질을 가지게 되면 어린아이는 이 논항은 vP 지정어 자리에 있는 외재 논항과 다른 자질이라는 것을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자질을 가진 DP가 문장 앞으로 이동하는 통사 작용은 어린아이들이 상대적 최소성을 위반하지 않는 것으로 인지한다고 가정하면, [+Topic], [+WH] 자질이 이동의 동인이 되는 통사 구조를 수동문 보다 더 이른 시기에 산출한 자료를 설명할 수 있게 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어린아이가 수동문의 논항 이동을 습득해 가는 과정을 최소주의 문법론의 시각으로 원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한다. 연구 방법으로 최소주의 문법론의 일치자질과 논항 이동, Rizzi(1990, 2004)의 상대적 최소성, 그리고 Collins(2005)의 스머글링을 활용하여 논항 이동 습득 과정의 특징을 설명한다.
    어린아이들이 수동문을 습득하는 시기가 능동문 습득 시기보다 느리고, 특히 동사 수동문의 산출이 지연되는 이유에 대한 여러 가설이 있다. Borer & Wexler(1987, 1992)는 논항 연쇄 결함 가설에서 어린아이는 논항 연쇄 형성에 대한 성숙 과정이 필요하며 그것은 적어도 5-6세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Wexler(2004)는 Chomsky(2001)의 명제구 침투 불가 조건을 수용하여 보편 명제구 조건을 제안한다. 수동문과 비대격동사 구문의 vP는 외재 논항이 없으므로 결함 명제구이다. 그런데 5세 이전의 어린아이는 어떤 통사 구조의 vP라도 항상 외재 논항이 있는 명제구로 인식하여 수동문을 산출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한다. Snyder & Hyams(2015)는 어린아이들이 수동문 습득을 어려워하는 원인을 Rizzi(2004)의 상대적 최소성 이론으로 설명하고 있다. 4세 미만의 어린아이들은 Collins(2005)가 제시한 이동 통사 작용‘스머글링’에 대한 언어 기능이 아직 성숙하지 못해서 모든 통사 구조에 상대적 최소성을 엄격하게 적용시킨다고 설명한다. 이것이 어린아이들이 동사 수동문을 습득하는 시기가 지연되는 원인이다.
    그런데 O'Brien et al.(2006)과 Crain et al. (2009)은 3세 정도의 어린아이가 성인과 같은 수동문 구조를 생산해 내기도 한다는 연구를 발표한다. 수동문 도출에서 요구되는 논항 이동이 상대적 최소성을 어기는 것으로 인식하여 어려워하는 어린아이들이 수동문의 논리 목적어가 [+WH], [+Topic], [+Focus] 자질을 가지고 있으며 선생님이 이야기를 통해 화용적인 적절한 조건을 충족시켜 주었을 때 이른 시기에도 수동문을 생산해 낸다는 것을 제시한다.
    그리고 어린아이들이 [+WH], [+Topic], [+Focus] 자질이 이동의 동인이 되는 통사 구조를 더 이른 시기에 습득하는 이유를 최소주의 문법의 자질 점검과 이동 통사 작용으로 설명한다.
    어린아이들이 수동문 구조를 습득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른 통사 구조의 습득과 더불어 보편문법이 가지고 있는 언어 기능이 성숙 과정을 거친다는 가설을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최소주의 문법론은 어린아이 문법의 특성도 설명할 수 있는 원리적인 통사 구조 설명 기제라는 것을 규명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arly passive construction and A-movement acquisition of English native speakers from the perspective of Minimalist Program.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based on Agreement feature in Minimalist Program, Relativised Minimality(Rizzi 2004), and Smuggling(Collins 2005). Early studies established that children's passive sentences display a subset of the properties found in adult passive sentences. Guasti(2004) proposes that children do not have access to the structural mechanism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verbal passives at least until age 5-6, a limitation that was imputed to immaturity of brain circuitry underlying passive computation. The Universal Phase Requirement Hypothesis(Wexler 2004) can account children's difficulties with passives. Under the UPRH, the vP in passives is a phase in child, but not in adult grammar. Collins(2005) argues the passive involves movement of the logical object across the logical subject, and normally this requires smuggling. Snyder & Hyams(2015) propose smuggling is maturationally unavailable until age four. In some studies of the English passive, three-year-old children succeed only if [+WH][+TOPIC] on the logical object can prevent an Relativised Minimality viol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어린아이가 수동문의 논항 이동을 습득해 가는 과정을 최소주의 문법론의 시각으로 원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한다. 연구 방법으로 최소주의 문법론의 일치자질과 논항 이동, Rizzi(1990, 2004)의 상대적 최소성, 그리고 Collins(2005)의 스머글링을 활용하여 논항 이동 습득 과정의 특징을 설명한다.
    Borer & Wexler(1987, 1992)는 논항 연쇄 결함 가설에서 어린아이는 논항 연쇄 형성에 대한 성숙 과정이 필요하며 그것은 적어도 5-6세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Wexler(2004)는 Chomsky(2001)의 명제구 침투 불가 조건을 수용하여 보편 명제구 조건을 제안한다. 수동문과 비대격동사 구문의 vP는 외재 논항이 없으므로 결함 명제구이다. 그런데 5세 이전의 어린아이는 어떤 통사 구조의 vP라도 항상 외재 논항이 있는 명제구로 인식하여 수동문을 산출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한다. Snyder & Hyams(2015)는 어린아이들이 수동문 습득을 어려워하는 원인을 Rizzi(2004)의 상대적 최소성 이론으로 설명하고 있다. 4세 미만의 어린아이들은 Collins(2005)가 제시한 이동 통사 작용‘스머글링’에 대한 언어 기능이 아직 성숙하지 못해서 모든 통사 구조에 상대적 최소성을 엄격하게 적용시킨다고 설명한다. 이것이 어린아이들이 동사 수동문을 습득하는 시기가 지연되는 원인이다.
    그런데 O'Brien et al.(2006)과 Crain et al. (2009)은 3세 정도의 어린아이가 성인과 같은 수동문 구조를 생산해 내기도 한다는 연구를 발표한다. 수동문 도출에서 요구되는 논항 이동이 상대적 최소성을 어기는 것으로 인식하여 어려워하는 어린아이들이 수동문의 논리 목적어가 [+WH], [+Topic], [+Focus] 자질을 가지고 있으며 선생님이 이야기를 통해 화용적인 적절한 조건을 충족시켜 주었을 때 이른 시기에도 수동문을 생산해 낸다는 것을 제시한다.
    그리고 어린아이들이 [+WH], [+Topic], [+Focus] 자질이 이동의 동인이 되는 통사 구조를 더 이른 시기에 습득하는 이유를 최소주의 문법의 자질 점검과 이동 통사 작용으로 설명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어린아이가 수동문 구조를 습득해 가는 과정을 최소주의 문법론으로 원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 결과는 어린아이의 언어 습득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른 특징과 함께 언어 습득은 보편 문법의 성숙 과정임을 증명 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연구는 어린아이가 수동문을 습득하는 과정을 Snyder & Hyams(2015)의 가설을 받아들이고 최소주의 문법론으로 분석하였다. Snyder & Hyams(2015)는 어린아이들이 수동문 습득을 어려워하는 원인을 Rizzi(2004)의 상대적 최소성 이론으로 설명하고 있다. 4세 미만의 어린아이들은 Collins(2005)가 제시한 이동 통사 작용‘스머글링’에 대한 언어 기능이 아직 성숙하지 못해서 모든 통사 구조에 상대적 최소성을 엄격하게 적용시킨다고 설명한다. 이것이 어린아이들이 동사 수동문을 습득하는 시기가 지연되는 원인이다. 어린아이들이 수동문 구조를 습득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른 통사 구조의 습득과 더불어 보편문법이 가지고 있는 언어 기능이 성숙 과정을 거친다는 가설을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수동문 구조는 영어 사용에서 아주 빈번하게 사용되는 통사 구조이고, 영어 학습에서도 중요한 구조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어린아이가 수동문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최소주의 문법론의 자질 점검과 논항 이동으로 분석한 이 연구 결과는 대학에서 영어학, 영어 교육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수동문의 내부 구조를 원리적으로 이해하고, 수동문이 도출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최소주의 문법론은 어린아이 문법의 특성도 설명할 수 있는 원리적인 통사 구조 설명 기제라는 것을 규명한다.
  • 색인어
  • 수동문, 논항 이동, 일치 자질, 상대적 최소성, 스머글링, 결함 명제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