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회복 역설의 심리적 기제 및 조절변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sychological Mechanisms of Recovery Paradox and its Moderator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20S1A5A2A01040331
선정년도 2020 년
연구기간 1 년 (2020년 07월 01일 ~ 2021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장재윤
연구수행기관 서강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고강도의 업무에 시달리면서 동시에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 직장인들이 높은 직무 스트레스 요인을 경험하면서도 회복 증진 프로세스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회복 역설‘ 현상에 주목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는 연구모형을 개발하여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직무 스트레스로부터의 회복은 업무 중 스트레스를 경험한 개인의 기능 체계가 스트레스를 받기 이전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스트레스로부터 회복하지 못하고 스트레스로 인한 부하반응을 지속 경험하면 만성적인 부하반응으로 인해 각종 질병을 겪게 된다. 따라서 그간의 경험적 연구들에서 밝힌 바와 같이 직장인들은 퇴근 후 일로부터 심리적으로 분리되고, 적절한 운동과 같은 신체 활동, 그리고 양질의 수면과 같은 회복 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실제로는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그러한 과정이 나타날 가능성은 낮아지는 ‘회복 역설’ 현상이 나타났다. ‘회복 역설’은 직무 스트레스요인에 노출된 개인이 자신의 회복을 우선시 여기지 않고 실제로 회복에 이르는 활동이나 경험을 적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본 연구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직장인 표본을 대상으로 ‘회복 역설’ 현상의 존재를 확인하고,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는 두 가지 심리적 기제인 부적 활성화 가설과 에너지 자원의 고갈 가설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회복 역설 현상의 발생 양상을 조절하는 변인들의 영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모형을 통해 ‘회복 역설’ 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직장인들의 신체적 건강과 심리적 웰빙 증진을 위한 개입방법을 설계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회복 역설’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포괄적인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직무 스트레스요인에 더욱 노출될수록 회복 심리적 기제로 부적 활성화 가설과 에너지 자원 고갈 가설을 설정하여 ‘회복 역설’ 현상을 보다 명료하게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기존 회복 연구에서 회복에 이르게 하는 활동과 경험을 예측하는 것과는 달리 실제 과도한 직무 스트레스요인에 노출된 사람들이 경험하는 ‘회복 역설‘ 현상을 제시하여 기존 회복 연구와는 다른 매커니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회복 역설을 강화하거나 약화시키는 조절변인을 개인 요인과 직무/조직요인으로 나누어 조사할 것이다. ’회복 역설‘ 현상을 조절하는 변인을 다양한 관점에서 검증하여 ’회복 역설‘ 현상의 폭넓은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그 동안의 ‘회복’ 연구와는 상반된 ‘회복 역설’ 현상에 대해 경험적으로 충분히 검증하지 못한 부분들의 이해를 도모하고, 향후 직무 스트레스와 회복 현상에서 중점적으로 추구해야 할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직무 스트레스로부터의 회복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생산성 손실, 의료비 증가 등의 개인적,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 보다 효과적으로 회복 과정이 나타나도록 돕고자 ‘회복 역설’ 모형에서 제시한 심리적 기제와 조절변인들이 각각 개인적, 조직적, 사회적 개입 방안들을 강구하는 데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기 종단연구 설계인 Diary 조사방식을 적용하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의 표본으로 상대적으로 직무 관련 스트레스가 많은 두 직군을 선정한다. 구체적으로, 마감기한이 있고 고객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업무부하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전문직 종사자(예, 로펌 변호사, 컨설턴트) 100명과 대인 서비스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 중 고객을 응대하는 동안 자신의 정서를 조절해야 하는 정서 노동 종사자(예, 텔레마케터, 판매직 종사자 등) 100명을 대상으로 한다. 조사 절차는 먼저 평소 직무 스트레스 수준, 평소 회복 증진 과정(심리적 분리, 운동과 같은 신체활동, 수면), 그리고 조절변인들(부적 정서성, 분리 선호, 직무통제, 지각된 조직 지원 등)을 1회 일반 조사로 측정하며, 이는 개인 단위의 2수준(level 2) 자료가 될 것이다. 다음으로 일일 Diary 조사는 2주 동안(10일) 매일 직무 스트레스요인과 두 가지 심리적 기제(매개변인), 그리고 퇴근 후 회복 증진 프로세스를 온라인으로 20회 측정하며, 이는 한 개인에 속하는 1수준(level 1) 자료가 될 것이다(200명 X 40회 = 4,000회 측정값). 하루 중 측정 시점은 1) 퇴근 직후 및 2) 다음 날 아침이다. 분석 방법으로는, ‘회복 역설’이 기제를 설명하는 매개변인 검증을 위해 매일 측정한 1수준 변인들의 관계를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사용하고, 1회 측정한 개인 단위의 조절변인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선형 모형 (HLM) 분석을 각각 사용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매일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들이 두 연속적 매개변인들(부정적 정서와 심리적 분리)을 통해 잠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직무 스트레스 요인들이 회복 과정에 미치는 해로운 효과인 회복 역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선별된 94명의 5일 간의 일일 다이어리 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방해 스트레스 요인인 매일의 역할 갈등이 부정적 정서와 심리적 분리의 매개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매일의 수면의 질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도전 스트레스 요인인 매일의 시간 압박은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 영문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trimental effects of job stressors on recovery processes, the recovery paradox (Sonnentag, 2018),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job stressors and sleep quality via two serial mediators, negative affect and psychological detachment. Using a daily diary survey with five days (N = 94), daily role conflict as a hindrance stressor predicted that day’s sleep quality indirectly via negative affect and psychological detachment in chronological order. However, daily time pressure as a challenge stressor did not yield significant resul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개인이 직무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되면 회복 욕구는 증가하지만 회복 증진 프로세스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회복 역설 현상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 모형을 개발하고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특히 이러한 역설을 초래하는 심리적 기제로서 부적 활성화의 매개 가설을 설정하고 경험적으로 검증함으로서 회복 역설의 과정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회복 증진과 연관된 세 가지 지표(심리적 분리, 운동, 수면) 중 심리적 분리와 수면을 매일 측정하여 스트레스 요인이 부적 활성화에 의해 심리적 분리와 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부적 활성화의 매개효과에서 더 나아가 추가 분석을 통해 직렬 매개 효과를 밝혀, Sonnentag(2018)의 이론적 모형을 일부 개선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스트레스가 많은 날에는 회복 활동이 더 많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회복 활동을 하지 못하게 되는 ‘회복 역설’ 현상의 심리적 기제를 밝힘으로서 회복 역설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불어 ‘회복 역설’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개입(intervention) 방법을 설계하는 데 있어서도 본 연구의 결과가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서 개인특성과 환경 변인을 고려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강구하는 데 일조할 것이다.
  • 색인어
  • 회복 역설, 직무 스트레스, 심리적 회복, 수면, 정서, 부적 활성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