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치료 및 예방 프로그램의 메타분석
Meta-Analysis on the Children’s Smart Phone Addiction Treatment and Prevention Program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20S1A5A2A01046210
선정년도 2020 년
연구기간 1 년 (2020년 07월 01일 ~ 2021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홍세희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기존 미디어 매체들의 일방향적 특성과는 달리, 인터넷은 사용에 있어 시간적인 제약이 적으며(비동시성), 다차원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여 이용자들이 정보의 수용자인 동시에 생산자 역할을 수행한다는 특징이 있다. 최근에는 접근이 용이한스마트 기기의 보급으로 인하여 SNS, 모바일 게임을 통해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관계를 맺는 것이 보편화 되면서 스마트폰 사용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기 이전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이나 게임 중독이 문제가 되었다면, 지금은 더욱 접근이 편리한 스마트폰이라는 도구를 이용한 중독문제가 사회적으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청소년은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이 성인에 비해 약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그 위험성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는 최근 들어 다양하고 폭넓게 진행되고 있다. 청소년기 스마트폰 중독은 공격성과 충동성을 증가시켜 학교 폭력이나 성폭력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보고되었다. 또한 수면의 질을 저하시키는 등 신체적인 성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신체건강 모두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여 학계에서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거나 중독 증상을 조금이라도 낮추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집단상담이나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잠재적 위험군, 혹은 일반 학생들의 중독을 예방하려는 노력 뿐만 아니라 중독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적극적인 처치를 통해 중독을 치료하기 위한 개입 프로그램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국가차원에서는 ‘스마트폰‧인터넷 바른 사용 지원 종합계획’을 발표하면서 스마트폰 중독에 대해 교육부, 문체부, 여가부 등 여러 기관이 협력하여 적극적으로 대응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진행되고 있는 많은 상담/교육 프로그램을 보면 중독 유형별 구체적인 상담 매뉴얼이 준비되어 있지 않고, 강의식 교육방식은 교육의 효과성이 미흡하며, 교육실적이 오프라인으로 관리되어 통계 및 분석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개인연구 차원에서 실시되는 프로그램의 경우 단발성으로 진행되어 사후관리가 어렵고, 실행예산 부족으로 인해 교육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개별 연구와 국가차원에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시행되고 있지만, 아직 보완해야 할 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흡한 점을 보완하고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전체적으로 통일되고 표준화된 프레임을 갖춘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축적된 기존의 스마트폰 중독(과의존) 예방 프로그램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관련 변인들의 영향을 파악하고 관계를 비교하기 위해 메타분석(Meta-analysis) 방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메타분석을 통해 선행 연구들의 프로그램의 효과를 종합하고 효과크기를 계산하여 지금까지 진행된 프로그램들의 효과성을 알 수 있으며, 이후 메타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어떠한 조절변인들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증대시켰는지 알아볼 것이다. 또한 관련 분야 실무자 및 상담사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통계자료에서는 확인하기 어려운 맥락적인 영향요인을 고려함과 동시에 통계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 및 인터뷰를 통해, 효과적인 프로그램 조건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며, 결과에 대한 신뢰성 함양 및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 구성 제안에 목표를 두고 있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하여, 개별 연구들의 효과크기를 구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여, 연구에서 특성 변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으로 인한 인터넷 중독, 게임 중독, SNS 중독의 하위집단에서 개입방식, 접근이론, 회기, 시간 등의 효과를 검증하여 각 중독 별로 영향요인을 검증하고 비교할 수 있다. 그간 시행된 메타분석은 대규모로 진행되지 않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중독의 개념을 보다 넓혀 포함되는 연구의 수를 늘림으로써 타당한 연구결과가 새롭게 축적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독 집단에 따라 어떠한 방향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연구들이 축적되면서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메타분석 연구가 수행되어 오고 있다. 국내에서도 여러 연구자들이 메타분석을 수행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절차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최신의 방법론을 적용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통된 효과크기 추정, 메타 회귀분석의 실시, 하위집단 분석을 수행하여 메타분석의 절차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분석의 절차가 이후 사회과학 분야 연구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양적 연구인 메타분석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질적 연구 결과물을 메타분석에 포함하는 대신 이를 보완하는 방향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결과의 신뢰성을 더하고자 한다. 따라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했다는 점에서 타 연구자들이 추후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연구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통신기기들이 함께 발전하고 있으며, 통신기술이 우리 삶에 밀접하게 관여하면서 생활의 편리함을 가져왔다. 하지만 이러한 편리함으로 인하여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갈수록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이 중요한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종합한 메타 연구도 수행되고 있으나 포함된 연구수가 많지 않은 실정이며, 심지어 단 9편의 논문으로 메타분석을 진행한 것도 존재했다. 따라서 지금까지 축적된 연구를 종합적으로 포괄하는 전체적인 메타분석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스마트폰 중독의 개념은 인터넷, 게임, SNS를 스마트폰을 기기로 이용하기 때문에 생겨난 개념으로, 그 본질은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들의 중독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의 개념을 인터넷 중독, SNS 중독, 게임 중독 등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모두 포괄하며, 스마트폰은 기기로서의 특성을 발판으로 이러한 중독을 가속화 시키는 도구로 볼 것이다. 본 연구의 스마트폰 중독의 범위에 따라, 메타분석에 포함되는 연구들의 수도 기존의 메타분석 연구들보다 늘어난다. 기존의 연구들은 스마트폰 중독과 인터넷 중독의 개념을 분리하여, 치료 및 예방 프로그램의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같은 주제로 연구를 진행해도 포함된 연구 편수가 많이 차이 난다면, 연구 수가 작은 분석보다는 연구 수가 많은 분석을 더 신뢰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스마트폰 중독 개념 범위에 따라 메타분석 시 포함되는 연구의 수가 확장될 것이며, 이를 통해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하위집단 분석이 가능하여, 집단별 효과크기를 비교 검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어떤 프로그램의 성격이 어떤 콘텐츠의 중독에 더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는지 종합적인 진단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연구도 많이 수행되어, 이러한 연구들을 함께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메타분석은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 양적인 수치를 가지고 효과크기를 계산하여 이를 종합하는 분석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므로 사례연구와 같은 질적 연구 결과물을 연구자가 임의로 계량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질적 연구 결과물을 포함하기 보다는 본 연구 자체에 질적 연구 과정을 포함하여 현장에서 실무자들이 느끼는 것과 연구 결과가 일치하는지, 맥락적인 부분에서 프로그램에 더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있는지 등을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프로그램 수행 관련 실무자 및 상담사 인터뷰를 통하여 메타분석의 연구 결과가 실제 현장에서 수행하기에 적절한지 확인해봄과 동시에 프로그램 구성에 추가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확인하여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중독 예방에 가장 효과성이 높은 표준화된 프로그램 구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메타분석 뿐만 아니라 인터뷰를 고려하여,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균형을 통해 타당하고 일반화할 수 있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분석적인 측면과 정책 활용의 측면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연구의 의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다양한 뉴미디어 콘텐츠 중독 현상을 스마트폰 중독으로 포괄하며, 여러 연구들을 종합해 효과성을 검증하여, 현장에서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실무자들에게 유익하고 시의적절한 연구가 될 것이다. 둘째,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현상을 정확하게 판단하며, 통계적 결과 제시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수행가능성 등 보다 실효성 있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통신기기들이 사용되면서 생활의 편리함을 가져왔다. 하지만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갈수록 늘어나면서 스마트폰 중독이 중요한 사회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에 대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이를 종합한 메타 연구도 수행이 되었다. 하지만 아직 관련 연구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며, 스마트폰 중독의 개념을 보다 확장하여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질적 연구도 많이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질적 연구 과정을 포함하여 현장에서 실무자들이 느끼는 것과 연구 결과가 일치하는지, 프로그램에 더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있는지 등을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실무자 및 상담사 인터뷰를 통해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높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표준화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메타분석 뿐만 아니라 인터뷰를 고려하여,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균형을 통해 타당하고 일반화할 수 있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With the development of IT, various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en used, bringing convenience to our life. However, as smartphone usage time increases, smartphone addiction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social problem. Recentl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and treatment programs, and a meta-research that synthesized them was also performed. However, there are still not many related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causes of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meta-analysis, an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results by expanding the concept of smartphone addiction.
    Meanwhile, in recent years, a lot of qualitative research on smartphone addiction has been conduc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te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consistent with the feelings of practitioners in the field, including the qualitative research process, and whether there are further considerations in the program through interviews. We aim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and counselor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composing a standardized program for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interview as well as the meta-analysis, it will be possible to draw valid and generalizable conclusions through a balance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는 최근 들어 다양하고 폭넓게 진행되고 있으며, 스마트폰 중독은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신체건강 모두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학계에서는 집단상담이나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잠재적 위험군, 혹은 일반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많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진행되고 있는 많은 상담/교육 프로그램은 단발성으로 진행되어 사후관리가 어렵고, 실행예산 부족으로 인해 교육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흡한 점을 보완하고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전체적으로 통일되고 표준화된 프레임을 갖춘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축적된 기존의 스마트폰 중독(과의존) 예방 프로그램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관련 변인들의 영향을 파악하고 관계를 비교하기 위해 메타분석(Meta-analysis) 방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메타분석을 통해 선행 연구들의 프로그램의 효과를 종합하고 효과크기를 계산하여 지금까지 진행된 프로그램들의 효과성을 알 수 있으며, 이후 메타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어떠한 조절변인들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증대시켰는지 알아볼 것이다. 또한 관련 분야 실무자 및 상담사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통계자료에서는 확인하기 어려운 맥락적인 영향요인을 고려함과 동시에 통계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 및 인터뷰를 통해, 효과적인 프로그램 조건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며, 결과에 대한 신뢰성 함양 및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 구성 제안에 목표를 두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연구들이 축적되면서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메타분석 연구가 수행되어 오고 있다. 국내에서도 여러 연구자들이 메타분석을 수행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절차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최신의 방법론을 적용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통된 효과크기 추정, 메타 회귀분석의 실시, 하위집단 분석을 수행하여 메타분석의 절차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분석의 절차가 이후 사회과학 분야 연구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양적 연구인 메타분석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질적 연구 결과물을 메타분석에 포함하는 대신 이를 보완하는 방향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결과의 신뢰성을 더하고자 한다. 따라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했다는 점에서 타 연구자들이 추후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연구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스마트폰 중독, 인터넷 중독, 예방 프로그램, 메타분석, 인터뷰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