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대학 교수의 전문직적 정체성 진단 및 분석
Diagnosis and Analysis of Professor's Professional Identit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20S1A5A2A01046359
선정년도 2020 년
연구기간 1 년 6 개월 (2020년 07월 01일 ~ 2021년 12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석열
연구수행기관 남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고등교육 분야에서의 정부 주도의 평가 정책과 평가에 기반을 둔 재정 지원 정책은 대학의 체제와 재정 여건에 현저한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교수의 역할과 책임을 새롭게 규정하기도 한다. 대학조직은 초중등조직과는 다른 교육목적, 교육환경 및 직무구조를 가지고 운영되고 있어 초중등의 교사문화를 가지고 대학교수들의 전문직적 정체성을 추론하는 것은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대학의 전문직적 정체성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학교수가 수행하는 활동이라는 상황 특수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상황특수성이란 교수의 개인적 가치와 신념체제는 물론 교수가 재직하고 있는 학교의 상황적인 요인까지 포함하는 것이다. 이것이 연구의 출발점이며, 대학교수의 전문직적 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대학 상황 특수성을 반영한 전문직적 정체성을 진단하고, 추론하고자 하는 이유인 것이다.
    대학의 전문직적 정체성 구성요인을 규명하고, 이에 따른 전문직적 정체성을 유형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수들이 지각하고 있는 전문직적 정체성의 의미와 그 구성요인의 탐색과정을 통해 전문직적 정체성의 본질을 파악하고, 대학교수의 전문직적 정체성의 구성요인을 규명한다.
    둘째, 전문직적 정체성 구성요인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직적 정체성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개인변인, 대학변인, 교과변인에 따라 전문직적 정체성의 차이를 비교분석한다.
    셋째, 위에서 밝혀진 대학교수의 전문직적 정체성 구성요인을 중심으로 대학교수의 전문직적 정체성이 가지는 상황특수성을 논의하고, 영향을 미치는 내용을 해석한다.
  • 기대효과
  • 가.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도
    첫째, 본 연구는 대학 전문직적 정체성에 대한 학술적 접근을 시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대학의 전문직적 정체성은 우리나라 고등교육연구에 있어 아직 탐구되지 않은 분야 중의 하나이다.
    둘째, 외국의 교수 문화와 비교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미국와 영국을 중심으로 ‘슬로 교수(slow professor)'를 통해서 교수의 역할 수행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다. 이런 대학 전문직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는 개별 대학의 전문직적 정체성의 이해와 형성 뿐 아니라 외국과의 비교 연구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대학교육 정책수립과 집행에 필요한 기초연구라는 생각된다. 교수집단은 대학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핵심 집단이다. 그들은 대학의 사명인 교수, 연구, 봉사를 주도하고 실천하는 주체이다. 정부는 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한 정책입안과 집행과정에서 대학 교수들의 지역별, 설립별, 계열별 문화 차이를 고려하여 대학의 자율성과 책무성에 바탕을 둔 정책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나. 연구결과의 사회적 기여도
    첫째, 사회적으로 교수를 이해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 대학교육은 사회로부터 교육개혁의 대상으로 인식을 받고 있다. 고등교육의 위기, 국가경쟁력, 대학의 구조조정 등은 이미 우리 귀에 익숙한 용어가 된지 오래다. 하지만 교수들은 여기저기서 불만과 비난의 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교수의 의식과 행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문직적 정체성과 해석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대학과 국가 차원에서의 대학 교수 지원체제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대학교수에 대한 사회적 신뢰를 회복하고, 질적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교수들의 자율혁신노력과 함께 교수 지원체제가 갖추어져야 한다. 대학의 역할과 기능, 학사 운영 방식 그리고 수요 등이 전통적 의미의 대학과는 상이한 모습으로 바뀔 것이다. 대학들은 다양해지고 확대되는 고등교육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이를 실현하는 주체인 교수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국내외 대학에서 통용되는 하나의 커다란 교수사회 체제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국제적으로 대학 간의 정보교류, 인적교류가 확산되어 교육은 단계와 수업연한, 전달체제, 내용과 방법 등의 전반에 걸쳐 대학사회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 연구요약
  • □ 연구내용
    1단계: 대학교수의 전문직적 정체성 구성요인 탐색
    이 단계에서는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대학 대학교수들이 지각하고 있는 전문직적 정체성이 구성 요인을 수집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 반구조화된 설문지는 선행연구인 Whitchurch (2009)와 Franziska Trede et al.(2012)의 전문직적 정체성에 대한 분석하는 과정의 구성요소를 토대로 작성한다. 대학교수들이 지각하고 있는 전문직적 정체성의 구성요인에 대한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대학교수들이 지각하고 있는 전문직적 정체성의 구성요인에 대한 구조화된 예비 설문지를 개발한다.

    2단계: 전문직적 정체성 구성요인을 추출 및 진단도구 개발 및 분석
    구조화된 설문조사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지역별, 규모별, 설립별로 전문직적 정체성의 차이와 교수들의 개인변인, 대학변인, 교과변인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다.

    3단계: 전문직적 정체성의 해석
    전문직적 정체성 진단도구를 적용하여 지역별․설립별․계열별로 차이와 개인변인, 대학변인, 교과변인의 특성에 따른 차이에 대해서 고등교육 전문가적 관점에서 결과 분석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전문직적 정체성 해석을 시도한다.

    □ 연구대상 및 표집
    연구 대상의 표집은 1차 반구조화된 설문조사 및 설문조사, 포커스 그룹 면담별로 다음과 같이 표집 한다.
    가) 1차 반구조화 설문조사
    대학교수의 전문직적 정체성 구성요인 탐색을 위한 1차 반구조화 설문조사는 대학교수들이 지각하고 있는 전문직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응답으로 한다. 조사 대상은 고등교육 관련 교수 20명을 선정하여 연구협력교수로 협조를 요청하고, 전문적 관점에서 전문직적 정체성 해석에 도움을 요청할 계획이다.
    나) 설문조사
    조사 대상은 모집단의 교수 직급을 고려하여 지역별․설립별․계열별로 연구대상 모집단의 2%인 약 500명을 무작위표집(random sample)을 실시한다. 표집대상 중 40%인 200명을 대상으로 1차 예비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한다
    다) 3차 포커스 그룹 면담
    대학교수의 전문직적 정체성 구성 요인과 해석을 위해서 본 조사의 결과를 가지고 전문직적 정체성이 지역별, 규모별, 설립별에 따른 차이의 원인에 대해서 1차 반구조화 설문에 참여한 고등교육 전문가 20명과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수의 전문직적 정체성(이하 ‘교수 정체성’)의 개념과 구성요인을 추출하여 교수 정체성 수준 진단을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우선,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교수 정체성의 정의 및 구성요인과 문항 풀을 추출하고, 두 차례의 전문가 델파이를 통해 예비조사 문항 40개를 추출했다. 다음으로 문항의 타당화 작업을 위해 예비조사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개인으로서 교수’ 5문항, ‘교육자로서 교수’ 5문항, ‘연구자로서 교수’ 5문항, ‘대학구성원으로서 교수’ 5문항, ‘사회구성원으로서 교수’ 5문항 등 5개 측정변인과 25개 문항을 완성하였다. 본 조사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고, 관련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여 교수의 전문직적 정체성 측정도구를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진단도구를 가지고 권역별과 대학규모를 고려하여 대학을 선정하여 수도권 8개, 충청권 6개, 경상권 7개, 전라권 6개 총 27대학을 대상으로 대학 규모를 고려해서 대학 당 5~15명 정도의 교원이 응답을 요청하였다. 이중 수합된 설문지는 247부였고, 이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7부를 제외한 최종 240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교수 정체성을 분석한 결과, 5점 척도로 측정한 교수 정체성은 평균 4.23으로 비교적 높았으며, 개인배경에 따라 교수 정체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교수 정체성을 분석하는 실증적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for diagnosing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university professors by identifying the exact concept and factors of professional identity. First of all, by analyzing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 and sub factors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constituent items. Then delphi surveys with professionals were conducted twice, and 40 items for preliminary survey were extracted. After conducting preliminary survey, explan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items, and 5 factors with 25 items were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main survey, final scale was confirmed after the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verified. The final scale which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s of 5 sub factors and 25 items, including 5 items for ‘professor as an individual’, 5 items for ‘professor as a teacher’, 5 items for ‘professor as a researcher’, 5 items for ‘professor as a member of university’, and 5 items for ‘professor as a member of society’. As a result of diagnosing professional identity of university professors, the average was 4.23 out of 5, which was relatively high.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professional identity depending on individual backgrounds, whi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mpirical research analyzing professor’s identity in the fu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수의 전문직적 정체성(이하 ‘교수 정체성’)의 개념과 구성요인을 추출하여 교수 정체성 수준 진단을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우선,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교수 정체성의 정의 및 구성요인과 문항 풀을 추출하고, 두 차례의 전문가 델파이를 통해 예비조사 문항 40개를 추출했다. 다음으로 문항의 타당화 작업을 위해 예비조사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개인으로서 교수’ 5문항, ‘교육자로서 교수’ 5문항, ‘연구자로서 교수’ 5문항, ‘대학구성원으로서 교수’ 5문항, ‘사회구성원으로서 교수’ 5문항 등 5개 측정변인과 25개 문항을 완성하였다. 본 조사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고, 관련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여 교수의 전문직적 정체성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교수 정체성을 분석한 결과, 5점 척도로 측정한 교수 정체성은 평균 4.23으로 비교적 높았으며, 개인배경에 따라 교수 정체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교수 정체성을 분석하는 실증적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가.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
    첫째, 본 연구는 대학 전문직적 정체성에 대한 학술적 접근을 시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대학의 전문직적 정체성은 우리나라 고등교육연구에 있어 아직 탐구되지 않은 분야 중의 하나이다. 그 동안 초중등 교사문화에 대해서는 연구되었지만 대학 전문직적 정체성에 대한 학술적 접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번 대학 전문직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는 대학교가 작동하는 문화적 특성의 일면을 밝히고, 나아가 전문직적 정체성에 대한 이해의 외연을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둘째, 외국의 교수 문화와 비교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미국와 영국을 중심으로 ‘슬로 교수(slow professor)'를 통해서 교수의 역할 수행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다. 이런 대학 전문직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는 개별 대학의 전문직적 정체성의 이해와 형성 뿐 아니라 외국과의 비교 연구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대학교육 정책수립과 집행에 필요한 기초연구라는 생각된다. 교수집단은 대학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핵심 집단이다. 그들은 대학의 사명인 교수, 연구, 봉사를 주도하고 실천하는 주체이다. 정부는 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한 정책입안과 집행과정에서 대학 교수들의 지역별, 설립별, 계열별 문화 차이를 고려하여 대학의 자율성과 책무성에 바탕을 둔 정책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나. 연구결과의 사회적 기여
    첫째, 사회적으로 교수를 이해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 대학교육은 사회로부터 교육개혁의 대상으로 인식을 받고 있다. 고등교육의 위기, 국가경쟁력, 대학의 구조조정 등은 이미 우리 귀에 익숙한 용어가 된지 오래다. 하지만 교수들은 여기저기서 불만과 비난의 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교수의 의식과 행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문직적 정체성과 해석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대학과 국가 차원에서의 대학 교수 지원체제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대학교수에 대한 사회적 신뢰를 회복하고, 질적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교수들의 자율혁신노력과 함께 교수 지원체제가 갖추어져야 한다. 대학의 역할과 기능, 학사 운영 방식 그리고 수요 등이 전통적 의미의 대학과는 상이한 모습으로 바뀔 것이다. 대학들은 다양해지고 확대되는 고등교육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이를 실현하는 주체인 교수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국내외 대학에서 통용되는 하나의 커다란 교수사회 체제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국제적으로 대학간의 정보교류, 인적교류가 확산되어 교육은 단계와 수업연한, 전달체제, 내용과 방법 등의 전반에 걸쳐 대학사회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대학사회의 변화에 대한 교수들의 문화는 과연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가를 이해하지 않고선 경쟁력 있는 대학교육을 선도하기 어려울 것이다.

    다.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첫째, 교수직 수행의 장해요인을 추출할 수 있고, 전문직적 정체성을 건전하게 발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오늘날 대학교육의 질적 수월성 확보는 매우 중요한 국가적 과제이다. 지식기반사회에 부응하는 고급인력을 양성해야 하는 사회적 책무와 함께 다른 한편으로 대학교수의 역할과 기대 또한 다양하다. 하지만 현재 우리의 경우 대학 교수에 대한 사회문화적 분위기가 예전과 달리 외생적 요인으로 크게 작용하고 있으나 대학 교수들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은 미흡하다. 이 연구에서 추론된 대학 전문직적 정체성의 구성요소는 개별 대학이 여건에 맞는 전문직적 정체성을 꾀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 결과는 대학 구조조정이나 교육개혁으로 인한 교수 소진현상을 방지하고, 대학경쟁력의 주체인 교수들을 이해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대학사회의 변화 결과로 교수의 소진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교수의 직무는 과거엔 가르치고 연구하는 일에 한정되어 있었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더욱 다양한 일을 원하고 있다. 다양한 일을 원하는 시대적 변화에서 발생하는 갈등이 바로 교수의 소진현상을 초래하는 것이다. 교수소진 현상은 개인의 내적 자원의 고갈을 의미하지만, 더욱 정확하게 말하면, 소진은 교수가 갈등적인 제도적 요구와 사회적 기대에 대응하면서 느끼는 좌절과 절망감인 것이다. 이러한 교수의 소진현상을 문화를 통해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교수 정체성, 전문직적 정체성, 대학 교육, 정체성 진단, 정체성 분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