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 역량 향상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Competency of Pre-Korean Teacher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연구과제번호 2020S1A5A8042414
선정년도 2020 년
연구기간 2 년 (2020년 05월 01일 ~ 2022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정재림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 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대학과 현장 전문가의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교사 교육에 적용하여 예비 교사의 수업 역량 변화의 양상과 특징을 확인하는 데 있다.
    교육 질과 수업 개선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면서,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프로그램이 시도되었지만, 만족스러운 결과를 도출하지는 못하였다. 각종 개선 프로그램이 실제적 효과를 낳지 못한 이유는 두 가지로 분석된다. 첫째, 개선 프로그램이 기능주의적 전문성 강화에 치중하였다. 둘째, 대개의 프로그램이 초임 교사나 저경력 교사와 같은 기성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로 인해 수업 개선의 실제성과 파급력이 떨어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 교사에게로 초점을 이동하여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 역량 향상에 역점을 두고자 한다. 그리고 대학과 현장, 이론과 실제가 분리되어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 대학과 현장의 실질적인 상호 협조를 기반으로 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고자 한다. 대학의 교과교육 교수, 현장의 국어 교사, 예비 국어 교사가 주체로 참여하며, 대학 교수와 현장 교사가 예비 교사의 수업 설계와 실행 과정을 함께 관찰하고 조언하여 예비 국어 교사가 반성적 수업 역량을 갖춘 교사 주체로 성장하도록 돕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협력적 멘토링’은 기존의 수업 개선 프로그램과 다음 세 가지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첫째, 예비 교사의 수업 역량 강화에 역점을 두었다는 것이다. 수업 컨설팅, 수업 성찰 등이 현장 교사를 주된 대상으로 한 것과 달리,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수업 역량을 갖춘 교사를 양성함으로써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수업 질 제고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대학의 전문가와 현장의 전문가가 공동으로 예비 교사 교육에 참여한다는 것이다. 대학과 현장의 전문가는 협력적 멘토링의 내용과 방법을 사전에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예비 교사의 수업 설계와 실행을 함께 관찰·지도함으로써, 예비 교사가 이론적인 정합성과 현장 실천성을 동시에 갖춘 수업 전문가로 성장하도록 돕고자 한다. 셋째, 예비 교사의 성장과 발전 과정을 연속적으로 관찰한다는 것이다. 1년차에는 ‘국어교재연구및지도법’ 과목을 수강하는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하고, 2년차에는 교생 실습생을 대상으로 한다. 이로써 예비 교사의 성장과 발전을 구체적으로 관찰하고, 각 단계에서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점과 해결책을 도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예비 교사를 이론과 현장적 실천력을 겸비한 국어 교육 전문가로 양성하는 데 목적을 둔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사회적, 학문적 효과를 기대한다.
    사회적 효과와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수업 역량 강화에 실제적 도움을 줌으로써 우리나라 교육 질 제고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현행 예비 교사 교육을 보완할 방법을 제안할 것이다. 예비 교사는 대학에서의 교과 지식과 교육 이론을 배우고, 교육 실습 기간 동안 현장을 경험하는 과정을 거치지만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은 충분치 못한 형편이다. 협력적 멘토링을 통해서 대학 교수와 현장 교사의 지도를 동시에 받으면서 예비 교사의 수업 역량과 전문성이 실질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현장 교사의 교사 전문성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고, 이로써 현장 교사와 교사 공동체의 자생적 역량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예비 교사, 초임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기존 교사의 역할이 막중하다. 하지만 기존 교사의 지도와 코칭이 개인적인 차원, 기술적 차원에 그치고 있어 아쉬움이 큰데,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현장 교사는 후임 교사를 지도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반성적 실천 차원에서 수업을 평가하는 방법을 터득하게 될 것이다. 이는 상호협력하고 연구하는 교사 공동체와 교육 생태계의 형성과 확장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기존 교원양성교육의 문제로 지적되어 온 이론과 실제, 대학과 현장의 괴리와 단절을 극복하는 전환점을 제공하여 교원양성기관의 책무를 다하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론과 실제, 대학과 현장이 협조해야 한다는 당위적 주장은 많았지만, 이론과 실제의 이분법을 극복할 실제적 방안은 제시되지 못해왔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은 대학과 현장의 협력을 가능케 하는 모범적 사례로 기능할 것이다. 예컨대, 교재연구및지도법 수업이나 교육 실습 과정 시 교사 교육의 매뉴얼로 활용가능하다.
    넷째, 전문적 교사 양성을 위한 사회적 비용 절감에 기여할 것이다.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하여 현장에서는 전문성을 확보한 교사를 안정적으로 충원받게 되고, 교원 양성기관은 수업 전문성을 갖춘 교원을 배출하여 양성기관으로서의 책무를 다하게 되며, 예비 교사는 전문성을 갖춘 교사로 준비되어 학교 현장에 적응하기까지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학문적 성숙 단계에 있는 국어교과교육학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국어교육학은 짧은 기간 내에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어 그 학문적 고유성과 특수성을 인정받게 되었지만, 이 학문적 성취가 현장의 적극적 실천으로 이어지지 못해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즉 학계에서 이룬 이론적, 학문적 축적이 학교 현장에 적극적으로 수용되지 못하고, 오히려 대학과 현장이 분리·단절되는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특히, 교사 교육이나 수업 전문성 논의에서는 대학과 현장의 긴밀한 협력이 부족한 형편이다. 이론과 실제의 분리·단절로 인해, 대학에서 배운 지식이 교생 실습에서의 실습, 이후 현장 교사의 실천으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은 현장과 현장의 교사를 교원양성교육의 전문가와 주체로 호명하고 그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한다.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현장 교사와 함께 운용하면서 교과교육학의 이론이 현장에서 실천되는 과정을 직접 확인하고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그 과정에서 이론과 실제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학문적 성숙과 발전이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 역량 제고를 위하여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는 데 목적을 두고, 첫째, 대학과 현장의 전문가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협력적 멘토링 모형을 개발하고, 둘째, 모형에 따라 국어교재연구및지도법(학부 3학년 대상) 수강생과 교육 실습생(학부 4학년 대상)에게 협력적 멘토링을 실행하여, 셋째, 협력적 멘토링에 의한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 역량의 변화·성장을 관찰하며, 넷째, 협력적 멘토링의 결과를 토대로 협력적 멘토링의 시사점과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1) 1차년도 주요 연구 내용
    1차년도의 주요 내용은 1)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 역량과 전문성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하여, 2) 대학과 현장의 전문가가 협력적 멘토링 모형을 개발하고, 3) 1차년도 협력적 멘토링을 실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업 개선 프로그램, 교사 교육, 교사 전문성 연구, 국어 교육 수업 전문성 연구와 관련한 기존 성과를 검토한다. 특히, 기술합리성 모델에 반대하여 등장한 대안적 교사 담론(Schön 등의 이론)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여 이 시대에 필요한 교사 전문성의 실체와 방법을 탐색한다. 최근 교사 연구는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교사상 정립, 이론과 실제의 괴리 극복을 강조하며, 교사로 하여금 자기 수업의 문제점(수업 딜레마)을 스스로 인식하고 이를 해소할 역량이 중요함을 역설한다.
    이론과 실제, 대학과 현장의 분리·괴리를 극복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방안은 대학의 전문가와 현장의 전문가가 예비 교사 교육에 공동으로, 협력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다.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대학의 이론과 현장의 실제 둘 다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의 핵심은 대학과 현장의 전문가가 협력적 멘토링에 공동으로 참여한다는 데 있다. 대학과 현장의 전문가는 협력적 멘토링의 내용과 방법을 협의하는 단계부터 함께 참여한다. 협력적 멘토링을 시행하기에 앞서 멘토링의 내용과 방향, 방법에 대해 충분한 협의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행동 중심 평가를 지양하고, 협력적 멘토링을 통하여 국어 수업의 가치와 의미를 고민하게 하고 자기 수업을 스스로 성찰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전, 대학과 현장의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협의회에서 구성하여 협력적 멘토링의 목표, 내용, 방법, 절차를 논의하고 결정할 것이다. 협력적 멘토링에 참여할 주체를 선정한 후 절차에 따라 협력적 멘토링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2) 2차년도 주요 연구 내용
    2차년도에는 1차년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1) 교육 실습생에 대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2) 2차년도 협력적 멘토링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2차년도 목표는 국어과 교생 실습생의 수업 역량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예비 국어 교사 수업 역량이 성장과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다. 현행 교원양성교육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는 것이, 대학과 현장의 괴리인데 이는 교양양성의 마지막 단계인 교생 실습 단계에서 특히 극명하게 드러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차년도 결과를 토대로 하여 교생 실습생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국어과 교생 실습생의 수업 역량을 증진하고자 한다. 2차년도 협력적 멘토링의 핵심은 대학과 교생 실습학교(협력학교)가 공동으로 교사 교육에 참여한다는 데 있다. 본 연구자는 협력학교의 도움을 받아 대학 교수와 협력학교 국어과 지도 교사가 공동으로 협력적 멘토링에 참여할 것이다. 대학 교수와 협력학교 지도교사가 국어과 교생 실습생을 공동으로 멘토링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 역량 제고를 위하여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는 데 목적을 두고, 첫째, 대학과 현장의 전문가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협력적 멘토링 모형을 개발하고, 둘째, 모형에 따라 국어교재연구및지도법(학부 3학년 대상) 수강생과 교육 실습생(학부 4학년 대상)에게 협력적 멘토링을 실행하여, 셋째, 협력적 멘토링에 의한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 역량의 변화·성장을 관찰하며, 넷째, 협력적 멘토링의 결과를 토대로 협력적 멘토링의 시사점과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1) 1차년도 주요 연구 내용
    1차년도의 주요 내용은 1)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 역량과 전문성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하여, 2) 대학과 현장의 전문가가 협력적 멘토링 모형을 개발하고, 3) 1차년도 협력적 멘토링을 실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의 핵심은 대학과 현장의 전문가가 협력적 멘토링에 공동으로 참여한다는 데 있다. 대학과 현장의 전문가는 협력적 멘토링의 내용과 방법을 협의하는 단계부터 함께 참여하였다. 협력적 멘토링을 시행하기에 앞서 멘토링의 내용과 방향, 방법에 대해 충분한 협의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행동 중심 평가를 지양하고, 협력적 멘토링을 통하여 국어 수업의 가치와 의미를 고민하게 하고 자기 수업을 스스로 성찰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2) 2차년도 주요 연구 내용
    2차년도에는 1차년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1) 교육 실습생에 대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2) 2차년도 협력적 멘토링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2차년도 목표는 국어과 교생 실습생의 수업 역량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예비 국어 교사 수업 역량이 성장과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2차년도 협력적 멘토링의 핵심은 대학과 교생 실습학교(협력학교)가 공동으로 교사 교육에 참여한다는 데 있다. 본 연구자는 협력학교의 도움을 받아 대학 교수와 협력학교 국어과 지도 교사가 공동으로 협력적 멘토링에 참여할 것이다. 대학 교수와 협력학교 지도교사가 국어과 교생 실습생을 공동으로 멘토링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cooperative mentoring program to enhance the teaching competency of prospective Korean teachers. First, to develop a cooperative mentoring model in which university and field experts jointly participate, and second, to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Research and Guidance Act (for 3rd year undergraduate students), cooperative mentoring is implemented for students and educational trainees (for 4th year undergraduate students). , Fourth, based on the results of cooperative mentoring, we would like to suggest implications and points for improvement of cooperative mentoring.
    (1) Main research contents of the first year
    The main contents of the first year are 1) based on a theoretical review of the teaching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of prospective Korean teachers, 2) university and field experts develop a cooperative mentoring model, 3) cooperative mentoring in the first year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core of the cooperative mentoring program is that university and field experts jointly participate in cooperative mentoring. University and field experts participated together from the stage of discussing the contents and method of cooperative mentoring. Before implementing cooperative mentoring, it is necessary to sufficiently discuss the content, direction, and method of mentoring.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avoid behavior-oriented evaluation, to contemplate the value and meaning of Korean language classes through cooperative mentoring, and to allow self-reflection in self-learning.
    (2) Main research contents of the second year
    In the second year,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e first year, 1) a cooperative mentoring program for trainees was developed, 2) the cooperative mentoring was implemented in the second year,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goal of the second year was to develop and apply a cooperative mentoring program to improve the teaching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of Korean language trainees, and to confirm the growth and change of the teaching competency of the preliminary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core of cooperative mentoring in the second year is that the university and the student practice school (cooperating school) jointly participate in teacher education. With the help of the partner school, this researcher will participate in cooperative mentoring jointly by university professors and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dvisor at the partner school. University professors and partner school advisors jointly mentored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traine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 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대학과 현장 전문가의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교사 교육에 적용하여 예비 교사의 수업 역량 변화의 양상과 특징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 교사에게로 초점을 이동하여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 역량 향상에 역점을 두고자 한다. 그리고 대학과 현장, 이론과 실제가 분리되어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 대학과 현장의 실질적인 상호 협조를 기반으로 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고자 하였다. 대학의 교과교육 교수, 현장의 국어 교사, 예비 국어 교사가 주체로 참여하며, 대학 교수와 현장 교사가 예비 교사의 수업 설계와 실행 과정을 함께 관찰하고 조언하여 예비 국어 교사가 반성적 수업 역량을 갖춘 교사 주체로 성장하도록 돕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협력적 멘토링’은 기존의 수업 개선 프로그램과 다음 세 가지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첫째, 예비 교사의 수업 역량 강화에 역점을 두었다는 것이다. 수업 컨설팅, 수업 성찰 등이 현장 교사를 주된 대상으로 한 것과 달리,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수업 역량을 갖춘 교사를 양성함으로써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수업 질 제고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대학의 전문가와 현장의 전문가가 공동으로 예비 교사 교육에 참여한다는 것이다. 대학과 현장의 전문가는 협력적 멘토링의 내용과 방법을 사전에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예비 교사의 수업 설계와 실행을 함께 관찰·지도함으로써, 예비 교사가 이론적인 정합성과 현장 실천성을 동시에 갖춘 수업 전문가로 성장하도록 돕고자 한다. 셋째, 예비 교사의 성장과 발전 과정을 연속적으로 관찰한다는 것이다. 1년차에는 ‘국어교재연구및지도법’ 과목을 수강하는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하고, 2년차에는 교생 실습생을 대상으로 한다. 이로써 예비 교사의 성장과 발전을 구체적으로 관찰하고, 각 단계에서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점과 해결책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예비 교사를 이론과 현장적 실천력을 겸비한 국어 교육 전문가로 양성하는 데 목적을 둔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사회적, 학문적 효과를 기대하였다.
    사회적 효과와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앞으로 시행될 교생실습학기제에 구체적, 실제적 도움을 줄 것이다.
    둘째,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수업 역량 강화에 실제적 도움을 줌으로써 우리나라 교육 질 제고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현행 예비 교사 교육을 보완할 방법을 제안할 것이다.
    셋째, 기존 교원양성교육의 문제로 지적되어 온 이론과 실제, 대학과 현장의 괴리와 단절을 극복하는 전환점을 제공하여 교원양성기관의 책무를 다하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넷째, 전문적 교사 양성을 위한 사회적 비용 절감에 기여할 것이다.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하여 현장에서는 전문성을 확보한 교사를 안정적으로 충원받게 되고, 교원 양성기관은 수업 전문성을 갖춘 교원을 배출하여 양성기관으로서의 책무를 다하게 되며, 예비 교사는 전문성을 갖춘 교사로 준비되어 학교 현장에 적응하기까지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 색인어
  • 협력적 멘토링, 수업 역량, 국어 수업 전문성, 예비 교사 교육, 예비 국어 교사, 교육 실습, 반성과 성찰, 반성적 실천가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