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하기와라 사쿠타로와 이상화의 비교연구 -침실 공간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Hagiwara Sakutarou and Lee Sang-hwa’s Focus on the Roo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B5A07111748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1 년 (2019년 12월 01일 ~ 2020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채지혜
연구수행기관 경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시문학 속의 공간이라는 것은 지형적 의미나 지리적 개념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그 작품의 상황과 시인의 정서적 의미까지 내포하고 있고, 그 작품의 실재성을 깊이 있게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작품 속에 나타난 공간에 관하여 깊이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더불어 이푸 투안(Yi-Fu Tuan)은 특히 공간과 장소의 개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공간’은 움직임이며, 개방이며, 자유이며, 위협이다. 반면 ‘장소’는 정지이며, 개인들이 부여하는 가치들의 안식처이며, 안전과 애정을 느낄 수 있는 고요의 중심이다.’라고 공간을 장소보다 유동적이고 정신적인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침실은 흔히 우리가 생활하는 구체적인 ‘장소’이지만, 관념 속의 정서적 ‘침실 공간’과는 거리를 두고 싶다.
    하기와라 사쿠타로(萩原朔太郎、1886-1942) 「어둠이 깔리는 방(薄暮の部屋)」(1917년 11월 『시가(詩歌)』)와 이상화(李相和, 1901-1943) 「나의 침실로」(1923년 9월『백조』)에서 나타난 침실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비교해보고자 한다. 양 작품 모두 근대성이나 시인들의 뮤즈에 관한 다수의 연구가 전개되었지만, 공간을 특히 침실을 논하는 연구가 드물어 본 연구의 계기가 되었다. 이에 따라 「어둠이 깔리는 방」과 「나의 침실로」에서 침실 공간이 어떤 의미가 있고 각각 어떻게 표상되어 있는지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시기적으로 앞서 발표된 하기와라 사쿠타로의 작품을 공간을 중심으로 분석한 것을 기점으로 이상화의 작품을 재조명하여, 그의 작품들이 마돈나나 조국의 해방 등에 매여있는 해석을 다른 각도로 자세히 볼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과 일본에서 대표할 수 있는 시인 이상화와 하기와라 사쿠타로를 비교 연구한다. 본 비교 연구를 통하여 일본 근대시의 재조명과 역으로 일본 근대시를 통하여 한국 근대시를 다시 읽는 계기가 되리라 생각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본 연구는 1910-1920년대에 형성된 일본 근대시를 바탕으로 한국 근대시의 전환과 수용, 특히 하기와라 사쿠타로와 이상화의 작품을 비교 연구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작품 속 공간에 관하여 비교 연구하는 계기를 가져보고 미처 주목받지 못하였던 ‘공간’에 새로운 의미를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2)하기와라 사쿠타로와 이상화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한국에서 저항 시인으로 알려진 이상화 시인의 작품에 대한 재평가와 다각도 해석의 가능성을 열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이다.
    3)본 연구를 통하여 한·일 간의 역사적 문학 자료를 발굴하여 단지 문학 자료 이상으로 다방면의 의식이 포함된 자료로서 활용가치가 높다. 그러므로 한국과 일본의 역사적 인식과 문제 제시 그리고 나아가 문제해결에도 충분한 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4) 교육적인 측면에서는 수집한 조사자료들은 일문과 전공 수업에서 적극 활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전공 수업인 ‘일본 시가론’과 ‘일본 문학사’와 같은 강의에서 학생들에게 사진과 동영상 그리고 수치화된 자료를 제시하여 기존의 강의에서 교재와 이론으로만 접했던 문학 작품에 대한 거리감을 좁힐 수 있으며, 한국 근대시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일본 근대시의 유입과 수용에 대한 이해를 도와 강의의 질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해본다.
    5)또,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확보한 자료를 토대로 식민지기의 문화를 비롯한 다양한 모습과 새로운 면모를 발견하여 당시에 일본 근대시를 접한 다른 한국 근대시인과의 영향 관계 등에 대하여 다각도로 활용하여 재조명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1917년 11월 『시가(詩歌)』에 발표된 하기와라 사쿠타로의 「어둠이 깔리는 방」과 1923년 9월『백조』에 발표된 이상화의 「나의 침실로」를 비교 연구한다.
    하기와라 사쿠타로의 기존의 비교연구들은 한국 시인 중 이장희에 집중되어 연구되어 있으며 이에 반해 동시대에 같은 일본에 머물러 있던 이상화를 재조명하여 한국시의 근대적 전환 과정 중에서 현재까지 우리가 놓치고 있었던 해석 부분 등에 대하여 포커스를 맞춘다. 특히 각 시인의 뮤즈와 함께 머물렀던 ‘침실’이라는 공간을 반영하여 작품의 의미와 특질을 새로이 하고자 한다.
    특히, 이 두 작품을 기반으로 하여 두 작가의 작품들의 공통성과 상이성에 대한 차이를 분명히 하고, 두 작가를 바탕으로 한·일 근대시를 다각도로 조명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1917년 11월 《시가》에 발표된 하기와라 사쿠타로의 하기와라 사쿠타로(萩原朔太郎, 1886-1942)의 「어둠이 깔리는 방(薄暮の部屋)」(1917년 11월 󰡔시가(詩歌)󰡕)과 이상화(李相和, 1901- 1943)의 「나의 침실로」(1923년 9월 󰡔백조󰡕) 공간을 중심으로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시문학 속의 공간이란 지형적 의미나 지리적 개념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그 작품의 상황과 시인의 정서적 의미까지 담고 있어 그 작품의 실재성을 깊이 있게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따라서 작품 속에 나타난 공간에 대해 깊이 연구해 볼 필요가 있었다.
    하기와라 사쿠타로의 선행연구는 한국 시인 중에서도 특히 이장희와의 비교연구에 집중돼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장희는 하기와라 사쿠타로 시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인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적인 영향 관계가 명백히 드러나고 있는 기존 비교 연구의 한계점을 넘어서 비교 연구의 범위를 넓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하기와라 사쿠타로와 동시대에 일본에 머물렀던 이상화를 조명하면서 한국시의 근대적 전환 과정에서 그동안 우리가 간과했던 부분에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각각 시인 뮤즈와 함께 머물렀던 침실이라는 공간을 반영해 작품의 의미와 특성을 새롭게 생각해 보았다. 또한 이 두 작품을 통해 작가의 공통성과 차이성을 명확히 분석하고, 두 작가를 바탕으로 한·일 근대시를 다각도로 조명하고 고찰하고자 하였다.
  • 영문
  • In this article, I present a comparative study on “The Dusky Room,” published in Shika by Sakutaro Hagiwara in November 1917 and “To my Bedroom,” published in Hakucho by Sang-hwa Lee in September 1923. The concept of space in the poetic literature is concerned with not only a geographical meaning and notion but also the situation of the work in question and the emotive meaning expressed by the poet. The concept of space is thus useful when one delves into the reality of the work. It is therefore essential to analyse the concept of space described in the aforementioned poetic works. Most previous studies on Sakutaro which mention Korean poets for comparative purposes analyse Sang-hwa’s works. Sang-hwa is known as a poet who was directly influenced by the poems of Sakutaro. In the present study, I aim to surpass previous banal comparative analyses which only deal with a direct relation between the two poets,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comparative work. Furthermore, I focus on Sang-hwa, who stayed in Japan at the time when Sakutaro lived, in order to explicate what has eluded our attention in the modern transformational process of Korean poems. In particular, I consider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each work, which reflects the space of a bedroom, together with the Muse of each poet. I also aim to analyse in explicit terms the parallelism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oe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wo poems from various points of view of modern Korean- Japanese poem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1917년 11월 《시가》에 발표된 하기와라 사쿠타로의 하기와라 사쿠타로(萩原朔太郎, 1886-1942)의 「어둠이 깔리는 방(薄暮の部屋)」(1917년 11월 󰡔시가(詩歌)󰡕)과 이상화(李相和, 1901- 1943)의 「나의 침실로」(1923년 9월 󰡔백조󰡕) 공간을 중심으로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시문학 속의 공간이란 지형적 의미나 지리적 개념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그 작품의 상황과 시인의 정서적 의미까지 담고 있어 그 작품의 실재성을 깊이 있게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따라서 작품 속에 나타난 공간에 대해 깊이 연구해 볼 필요가 있었다.
    하기와라 사쿠타로의 선행연구는 한국 시인 중에서도 특히 이장희와의 비교연구에 집중돼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장희는 하기와라 사쿠타로 시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인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적인 영향 관계가 명백히 드러나고 있는 기존 비교 연구의 한계점을 넘어서 비교 연구의 범위를 넓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하기와라 사쿠타로와 동시대에 일본에 머물렀던 이상화를 조명하면서 한국시의 근대적 전환 과정에서 그동안 우리가 간과했던 부분에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각각 시인 뮤즈와 함께 머물렀던 침실이라는 공간을 반영해 작품의 의미와 특성을 새롭게 생각해 보았다. 또한 이 두 작품을 통해 작가의 공통성과 차이성을 명확히 분석하고, 두 작가를 바탕으로 한·일 근대시를 다각도로 조명하고 고찰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2020년 11월 30일에 발행된, 일본어문학회의 『일본어문학』 제 91집에 투고· 게재하였다. 당 연구의 계획서에 명시하였던 「하기와라 사쿠타로와 이상화의 비교연구 -침실 공간을 중심으로-」라는 제목을 「하기와라 사쿠타로와 이상화의 공간개념 고찰 –실재성 확인을 중심으로-」라고 수정하였고, 연구 방향도 심사결과에 맞추어 공간개념의 재정립과 공간에서의 뮤즈의 실재성까지 범위를 넓혀보았다.
    본 연구는 1910-1920년대에 형성된 일본 근대시를 바탕으로 한국 근대시의 전환과 수용, 특히 하기와라 사쿠타로와 이상화의 작품을 비교 연구함으로 연구를 통하여 작품 속 공간에 관하여 비교 연구하는 계기를 가져보고 미처 주목받지 못하였던 ‘공간’에 새로운 의미를 밝혀낼 수 있었다. 하기와라 사쿠타로와 이상화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한국에서 저항 시인으로 알려진 이상화 시인의 작품에 대한 재평가와 다각도 해석의 가능성을 열 수 있었다. 교육적인 측면에서는 수집한 조사자료들은 전공 수업에서 적극 활용할 수가 있었다. 강의에서 학생들에게 사진과 동영상과 자료를 제시하여 기존의 강의에서 교재와 이론으로만 접했던 문학 작품에 대한 거리감을 좁힐 수 있었으며, 한국 근대시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일본 근대시의 유입과 수용에 대한 이해를 도와 강의의 질을 더욱 높이는데에 도움이 되었다.
  • 색인어
  • 하기와라 사쿠타로, 이상화, 침실, 공간, 뮤즈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