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다양한 선거여론조사 방법이 여론조사 편향에 미치는 영향 : 중앙여심위 선거여론조사 통합자료에 대한 메타분석(meta-analysis)
The Effects of Diverse Election Polling Methods on the Polling Bias : Meta-analysis of Election Survey Data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연구과제번호 2020S1A5A8043467
선정년도 2020 년
연구기간 2 년 6 개월 (2020년 05월 01일 ~ 2022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최종호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연구의 목적은 선거여론조사에서 다양한 조사방법(polling methods)이 선거여론조사의 편향성(bias)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2014년부터 현재까지 실시된 여론조사의 기본정보를 조사기관 및 선거별 패널데이터로 구성한다. 데이터의 경험적 분석을 통해 어떤 유권자 집단이 과대 또는 과소 추정되는지를 포착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선거시점의 여론조사의 특성을 규명하고 그 정치적 함의를 도출해낼 것이다. 이를 통해 선거과정에서 영향력이 높아지고 있는 선거여론조사에 대해 보다 심층적이고 입체적 이해가 가능한 분석틀을 마련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본 연구는 2년간의 연구기간 동안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이하 여심위)에 등록된 2014년 이후 6100개의 여론조사 자료의 기본정보(유·무선 비율, 응답률, ARS 여부, 성별, 연령별 가중치, 응답자 소득 분포 비율, 교육수준 분포 비율, 주관적 이념성향 분포비율, 정당 및 후보지지율 등)을 담은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계량경제학적(econometric analysis) 방법을 통해 분석하는 양적 메타 분석(quantitative meta-analysis)의 일종이다.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조사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선거여론조사 결과의 부정확성(inaccuracy), 조사방법의 불안정성(instability)이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왔음에도, 여전히 국민들과 정치권에서 선거여론조사가 특정 당파성 혹은 정치적 편향이 두드러진다는 비판이 계속되고 있으며, 여론조사 객관성과 신뢰성이 확보되지 않고 있는 것에서 출발한다.
    주지하다시피 선거여론조사는 여론의 흐름을 추적할 뿐만 아니라 여론조사 결과 발표 이후의 여론형성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Ansolabehere and Iyengar 1994; 박종희 2013; Choi, Kim and Han 2017). 이에 따라 선거여론조사는 선거에 참여하는 후보자 및 선거관계자, 유권자와 미디어 등 선거과정의 주체들의 초미의 관심사가 된다(이소영 외 2017). 그러나 선거과정 중에 실시된 여론조사가 실제 선거결과를 예측하지 못하는 사례가 다수 발견되고 있다. 2010년 제5회 동시지방선거, 2012년 18대 대통령 선거, 2016년 20대 국회의원 선거 등에서 실시된 선거여론조사들에서 실제 투표결과와 큰 오차를 보이거나 심지어 상반된 결과를 예측한 사례가 발생하였다. 이에 유권자의 혼란과 정치권의 비판은 높아졌으며, ‘아무도 여론조사를 믿지 않게 되었다’는 여론조사 무용론도 제시되었다(한규섭 2016; 구본상 2018; 정한울 2019). 이렇듯 선거여론조사가 유권자의 투표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은 커졌지만, 정확성과 신뢰도에 대한 의구심은 커져가는 상황이다. 이에 여론조사의 정확도, 신뢰도를 향상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 대부분은 여론조사 결과의 편향 계산을 통한 예측정확성 검증과 같은 수학적·통계학적 영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며(박종희 2013), 선거여론조사 결과의 편향에 나타나는 사회경제적 특성과 정치적 태도를 사회과학적으로 이해하려는 관심은 크지 않았다.
    기존 연구들이 여론조사의 예측정확성이라는 수학적·통계학적 영역에만 초점을 맞춘 것에 반해, 본 연구는 선거 여론조사가 채택하는 조사방법에 따라 특정 정당(후보) 혹은 특정 이념적 성향에 유리하게 조사 결과가 도출되는 편향의 정치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주지하다시피 한국 선거여론조사에 대한 가장 큰 비판 중 하나는 특정 여론조사 기관의 조사방법이 특정정당이나 후보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비과학적인 믿음이다. 이를 고려할 때, 정당(후보)지지율이라는 정치적 변수가 포함된 분석을 진행할 예정인 본 연구는 시사점이 매우 크다. 본 연구는 여론조사 정당(후보)지지율의 ‘체계적 편향’에 초점을 두면서, 이 체계적 편향이 유권자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정치적 태도를 반영하고, 한국 선거과정의 정치적 맥락과 그 변화를 포착할 수 있는 변수라고 가정한다(Keneddy and Everett 2011; Choi, Kim and Han 2017).
    본 연구는 2년간의 연구로 1차년도에는 선거여론조사의 기본 정보 자료에 대한 데이터를 구축하고, 회귀분석과 경로분석 등의 경험적 분석방법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선거여론조사의 조사 방법과 여론조사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모색한다. 2차년도에는 선거여론조사의 기본정보 자료를 패널데이터의 형식으로 재구축하고 시계열-횡단면 분석과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을 실행할 계획이다. 시계열-횡단면 분석을 통해 한국 선거여론조사 편향에 숨겨진 한국 선거과정의 역동성을 포착하고,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선거과정의 역동성을 보다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1) 연구의 기대효과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크게 네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많은 연구들이 그동안 여론조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여론조사의 편향을 연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의 초점은 주로 수학적 혹은 통계학적인 관심에만 머물러있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선거여론조사의 편향애 숨겨진 집단들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정치적 태도를 도출함으로써, 선거여론조사의 정치학적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사회(정치)조사방법론 분야와 선거과정, 투표연구, 유권자의 정치행태 연구 분야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선거여론조사의 조사방법의 독립적인 영향과 함께, 조사방법 간 상호 연동하여 발휘되는 한계효과 규명을 통해 선거여론조사 방법이 지지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심층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요컨대 ‘응답률이 낮은 ARS 조사’와 ‘응답률이 높은 ARS 조사’의 편향의 차이와 맥락을 밝힘으로써 선거여론조사 연구 분야의 이론적 엄밀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그동안 국내외에서 선거여론조사의 편향 연구가 촉발되었던 이유는 여론조사 기법이 지속적으로 발달함에도 전세계적으로 이념적 갈등, 세대 갈등, 계급갈등이 심화되면서 여론조사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유권자 집단이 생겨났고, 선거의 변동성 또한 매우 커졌기 때문에 선거여론조사의 예측이 자주 빗나갔기 때문이었다. 그렇지만 많은 연구들은 선거여론조사의 예측과 선거의 결과를 비교하여 그 편향을 계산하는데만 몰두해왔다. 본 연구는 선거시점의 맥락을 고려하여 여론조사에서 숨겨진 계층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정치적 태도의 역동적인 변화를 포착하는 경험적 분석을 시도하기 때문에 한국의 선거와 여론조사 연구 분야는 물론 한국의 선거과정, 유권자의 정치행태 연구 등 관련분야에 생산적 대화(Productive Dialogue)를 촉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본 연구는 선거여론조사의 체계적 편향에 담겨진 정치적 맥락과 그 함의에 초점을 두고 선거여론조사를 분석하기 때문에 선거여론조사 분야의 전문가 뿐 아니라 이 결과에 영향을 받는 유권자들에게도 유용한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 즉. 선거여론조사에 대한 유권자와 정치권의 불신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선거여론조사 결과에 담겨진 정치적 맥락을 포착하고 그 함의를 제시하기 때문에 선거여론조사 전문가들에게는 보다 엄밀한 조사방법과 예측정확도의 개선을 위한 다양한 조언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함께 유권자들에게는 한국의 여론 진단과 전망을 살피는데 유용한 도구로써 선거여론조사가 기능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본 연구의 진행과정에서는 여심위의 선거여론조사 기본정보 자료가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일목요연하게 정리될 것이며, 분석과정을 담은 로그파일이 통계프로그램에 맞는 형태로 변환되어 제공될 것이다. 또한 여심위의 여론조사 기본정보의 데이터를 패널데이터로 변환시켜 시계열-횡단면 분석을 실시할 예정이기 때문에 데이터를 재구축하는데 드는 제반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2-3편의 연구논문으로 출간할 계획으로 이는 후속연구를 활성화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우선 1차년도 연구결과는 KCI급 정치학저널에 투고할 계획이다. 도출된 선거여론조사의 체계적 편향의 변화를 연구하는 2차년도 연구결과는 SSCI급의 저명한 여론조사 연구 저널인 Asian Survey나 Pubilc Opinion Quarterly에 투고하여 학문적 기여도를 증명할 계획이다. 논문 출간을 위해 실증 분석의 결과를 국제학술대회에서 패널을 구성해 발표할 예정이고, 학술대회에서 받은 조언들에 기반하여 연구를 정교화한 이후 투고할 예정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여심위에 등록되어 있는 6100여개(2020년 2월 10일 현재)의 선거여론조사의 기본정보 데이터를 구축하여 ▲ 유․무선 비율, 조사방식의 차이, 응답률, 가중치 등 다양한 선거여론조사 방법이 정당지지율, 후보지지율 등 선거여론조사 결과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실시하고 ▲ 여론조사에서 체계적으로 과대 혹은 과소 추정되는 집단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정치적 태도를 포착하고 이를 비교한다. 특히 ▲ 어느 시점에서 어떤 유권자들이 과대 혹은 과소추정 되는지 밝히고 특정 선거 시점의 지지율의 변화도 함께 포착하여 한국 선거과정의 역동성을 통시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한다.

    1차년도 연구 : 조사방법의 차이가 선거여론조사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1차년도 연구는 선거여론조사 방법의 차이가 선거여론조사의 결과, 즉 지지율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분석하는데 중점을 둔다. 우선 2014년 이후 2020년 국회의원 총선거시까지 여심위 홈페이지에 등록된 여론조사들의 조사방법을 포함한 기본정보(조사기관, 의뢰인, 시간, 유무선비율, 응답률, 가중치, 조사기간) 및 그 결과(응답자 소득분포, 교육수준 분포, 직업분포, 정당지지율, 대통령국정운영지지율, 후보지지율, 주관적 이념성향 분포 등)를 취합하여 데이터를 구성한다. 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험적 분석을 실행하고 조사방법에 차이가 정당, 후보, 대통령 국정운영지지율 등을 과대 혹은 과소 추정하는지를 검증할 것이다. 특히 선거여론조사 방법이 선거여론조사 결과(지지율)에 미치는 직접효과(direct effect)뿐만 아니라 선거여론조사가 응답자의 주관적 이념성향에 의해 매개되는 간접효과(indirect effect)도 함께 분석할 계획이다. 직접효과는 회귀분석, 간접효과는 경로분석(path analysis)의 방법을 사용한다. 이와 함께 조사방법 간 상호연동되어 나타나는 한계효과를 분석해 함의를 도출할 계획이다.

    2차년도 연구 : 한국 선거과정의 역동성 포착을 위한 패널분석과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1차년도의 구축된 선거여론조사 자료는 패널데이터로 구축하여 시계열 분석과 횡단면 분석을 동시에 시행하고자 한다. 분석단위를 조사기관-연도, 조사기관–선거로 하는 패널데이터를 사용한 시계열횡단면 분석을 통해 선거여론조사의 개별효과(individual effect)와 시간효과(time effect)를 통제하고, 1차년도 연구에서는 포착되지 않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편향(여론조사의 과대 혹은 과소추정 결과)의 변화를 포착한다. 둘째, 주요 선거(2014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20년)에서 선거가 다가옴에 따라 정당 및 후보 지지율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주요 선거전 3개월간 여론조사 결과를 추출하여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시행한다(Tomz et al. 2000).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각 선거에서 주요후보 간, 주요정당 간 지지율의 변화를 예측(expected) 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이른바 ‘지지율의 데드크로스’의 시점도 포착할 수 있으며, 분석결과는 선거의 실제 결과와 비교를 통해 여론조사 결과에서 체계적으로 과대 혹은 과소 추정되는 유권자 층의 변화의 역동성을 포착할 수 있다(Choi, Kim and Han. 2017).
    요약하면, 1차년도와 2차년도의 분석을 통해서 한국의 선거여론조사에서 어떤 정당(후보)의 지지율이 과대 혹은 과소 추정되는지를 포착하고, 편향에 체계적으로 숨겨진 집단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정치적 태도를 추론할 수 있으며, 한국 선거과정의 변화의 역동성을 포착할 수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2년 연구로서 목적은 선거여론조사에서 다양한 조사방법(polling methods)이 선거여론조사의 편향성(bias)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2014년부터 2022년까지 실시 실시된 여론조사의 기본정보를 조사기관 및 선거별 패널데이터로 구성한 다음. 데이터의 경험적 분석을 통해 어떤 유권자 집단이 과대 또는 과소 추정되는지를 포착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선거시점의 여론조사의 특성을 규명하고 그 정치적 함의를 도출해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선거과정에서 영향력이 높아지고 있는 선거여론조사에 대해 보다 심층적이고 입체적 이해가 가능한 분석틀을 마련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연구성과로서 조사방법의 차이가 표집에 있어서 어떠한 문제를 낳는지, 그리고 이러한 표집 단계에서의 문제가 정치적 태도 여론조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여론조사에 있어 표집 단계의 문제가 왜 발생하며, 표집 단계의 문제는 정치적 태도 조사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여 여론 조사 편향 문제를 보다 넓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그리고 조사방법과 표집, 그리고 조사 결과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성과의 결과는 당초 연구계획서 상의 연구계획을 충실히 반영하여 도출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향후 선거여론조사 연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diverse polling methods on the election polls bias. The basic information of polls conducted from 2014 to 2022 is composed of panel data for each election polls.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the data, it captures which voter groups are overestimated or underestimated, and compares them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olls at the time of the election and derive their political implications.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more in-depth analysis framework for election polls, which are gaining influence in the election proces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analyzing what problems differences in survey methods cause in sampling and how these problems at the sampling stage affect political attitude polls were presented. In addition, the issue of poll bias was discussed from a broader perspective by analyzing why the problem of the sampling stage occurs in opinion polls and how the problem of the sampling stage affects the results of the political attitude.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survey method, sampling, and survey results were organically linked to each other.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result of faithfully reflecting on the original research plan. This study can be a very important reference in the field of future election poll research.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여심위에 등록되어 있는 7000여개의 선거여론조사의 기본정보 데이터를 구축하여 ▲ 유․무선 비율, 조사방식의 차이, 응답률, 가중치 등 다양한 선거여론조사 방법이 정당지지율, 후보지지율 등 선거여론조사 결과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실시하고 ▲ 여론조사에서 체계적으로 과대 혹은 과소 추정되는 집단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정치적 태도를 포착하고 이를 비교한다. 특히 ▲ 어느 시점에서 어떤 유권자들이 과대 혹은 과소추정 되는지 밝히고 특정 선거 시점의 지지율의 변화도 함께 포착하여 한국 선거과정의 역동성을 통시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한다.

    1차년도 연구 : 조사방법의 차이가 선거여론조사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1차년도 연구는 선거여론조사 방법의 차이가 선거여론조사의 결과, 즉 지지율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분석하는데 중점을 둔다. 우선 2014년 이후 2020년 국회의원 총선거시까지 여심위 홈페이지에 등록된 여론조사들의 조사방법을 포함한 기본정보(조사기관, 의뢰인, 시간, 유무선비율, 응답률, 가중치, 조사기간) 및 그 결과(응답자 소득분포, 교육수준 분포, 직업분포, 정당지지율, 대통령국정운영지지율, 후보지지율, 주관적 이념성향 분포 등)를 취합하여 데이터를 구성한다. 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험적 분석을 실행하고 조사방법에 차이가 정당, 후보, 대통령 국정운영지지율 등을 과대 혹은 과소 추정하는지를 검증할 것이다. 특히 선거여론조사 방법이 선거여론조사 결과(지지율)에 미치는 직접효과(direct effect)뿐만 아니라 선거여론조사가 응답자의 주관적 이념성향에 의해 매개되는 간접효과(indirect effect)도 함께 분석할 계획이다. 직접효과는 회귀분석, 간접효과는 경로분석(path analysis)의 방법을 사용한다. 이와 함께 조사방법 간 상호연동되어 나타나는 한계효과를 분석해 함의를 도출할 계획이다.

    2차년도 연구 : 한국 선거과정의 역동성 포착을 위한 패널분석과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1차년도의 구축된 선거여론조사 자료는 패널데이터로 구축하여 시계열 분석과 횡단면 분석을 동시에 시행하고자 한다. 분석단위를 조사기관-연도, 조사기관–선거로 하는 패널데이터를 사용한 시계열횡단면 분석을 통해 선거여론조사의 개별효과(individual effect)와 시간효과(time effect)를 통제하고, 1차년도 연구에서는 포착되지 않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편향(여론조사의 과대 혹은 과소추정 결과)의 변화를 포착한다. 둘째, 주요 선거(2014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20년)에서 선거가 다가옴에 따라 정당 및 후보 지지율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주요 선거전 3개월간 여론조사 결과를 추출하여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시행한다(Tomz et al. 2000).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각 선거에서 주요후보 간, 주요정당 간 지지율의 변화를 예측(expected) 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이른바 ‘지지율의 데드크로스’의 시점도 포착할 수 있으며, 분석결과는 선거의 실제 결과와 비교를 통해 여론조사 결과에서 체계적으로 과대 혹은 과소 추정되는 유권자 층의 변화의 역동성을 포착할 수 있다(Choi, Kim and Han. 2017).
    요약하면, 1차년도와 2차년도의 분석을 통해서 한국의 선거여론조사에서 어떤 정당(후보)의 지지율이 과대 혹은 과소 추정되는지를 포착하고, 편향에 체계적으로 숨겨진 집단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정치적 태도를 추론할 수 있으며, 한국 선거과정의 변화의 역동성을 포착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의 기대효과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크게 네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많은 연구들이 그동안 여론조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여론조사의 편향을 연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의 초점은 주로 수학적 혹은 통계학적인 관심에만 머물러있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선거여론조사의 편향애 숨겨진 집단들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정치적 태도를 도출함으로써, 선거여론조사의 정치학적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사회(정치)조사방법론 분야와 선거과정, 투표연구, 유권자의 정치행태 연구 분야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선거여론조사의 조사방법의 독립적인 영향과 함께, 조사방법 간 상호 연동하여 발휘되는 한계효과 규명을 통해 선거여론조사 방법이 지지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심층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요컨대 ‘응답률이 낮은 ARS 조사’와 ‘응답률이 높은 ARS 조사’의 편향의 차이와 맥락을 밝힘으로써 선거여론조사 연구 분야의 이론적 엄밀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그동안 국내외에서 선거여론조사의 편향 연구가 촉발되었던 이유는 여론조사 기법이 지속적으로 발달함에도 전세계적으로 이념적 갈등, 세대 갈등, 계급 갈등이 심화되면서 여론조사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유권자 집단이 생겨났고, 선거의 변동성 또한 매우 커졌기 때문에 선거여론조사의 예측이 자주 빗나갔기 때문이었다. 그렇지만 많은 연구들은 선거여론조사의 예측과 선거의 결과를 비교하여 그 편향을 계산하는데만 몰두해왔다. 본 연구는 선거시점의 맥락을 고려하여 여론조사에서 숨겨진 계층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정치적 태도의 역동적인 변화를 포착하는 경험적 분석을 시도하기 때문에 한국의 선거와 여론조사 연구 분야는 물론 한국의 선거과정, 유권자의 정치행태 연구 등 관련분야에 생산적 대화(Productive Dialogue)를 촉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본 연구는 선거여론조사의 체계적 편향에 담겨진 정치적 맥락과 그 함의에 초점을 두고 선거여론조사를 분석하기 때문에 선거여론조사 분야의 전문가 뿐 아니라 이 결과에 영향을 받는 유권자들에게도 유용한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 즉. 선거여론조사에 대한 유권자와 정치권의 불신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선거여론조사 결과에 담겨진 정치적 맥락을 포착하고 그 함의를 제시하기 때문에 선거여론조사 전문가들에게는 보다 엄밀한 조사방법과 예측정확도의 개선을 위한 다양한 조언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함께 유권자들에게는 한국의 여론 진단과 전망을 살피는데 유용한 도구로써 선거여론조사가 기능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본 연구의 진행과정에서는 여심위의 선거여론조사 자료가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일목요연하게 정리될 것이며, 분석과정을 담은 로그파일이 통계프로그램에 맞는 형태로 변환되어 제공될 것이다. 여심위의 여론조사 기본 정보의 데이터를 패널데이터로 변환시켜 시계열-횡단면 분석을 실시할 예정이기 때문에 데이터를 재구축하는데 드는 제반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2-3편의 연구논문으로 출간할 계획으로 이는 후속연구를 활성화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우선 1차년도 연구결과는 KCI급 정치학저널에 게재되었고 연구성과로 제출되었다. 도출된 선거여론조사의 체계적 편향의 변화를 연구하는 2차년도 연구결과는 SSCI급의 저명한 여론조사 연구 저널인 Asian Survey나 Pubilc Opinion Quarterly에 투고하여 학문적 기여도를 증명할 계획이다.
  • 색인어
  • 선거여론조사, 지지율, 여론, 조사방법, 유무선비율. ARS 조사, 응답률, 가중치, 선거정치, 정치적 태도, 메타분석, 경로분석, 간접효과, 상호작용 효과, 한계효과, 패널데이터,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