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외국인 유학생의 과제 표상 및 수행 양상 분석을 통한 학문적 과제 수행 능력 제고 방안 연구
A study on teaching methods for improving the ability to perform academic tasks based on the task representation and performance aspects analysis of foreign student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연구과제번호 2020S1A5A8043814
선정년도 2020 년
연구기간 2 년 (2020년 05월 01일 ~ 2022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이경
연구수행기관 호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대학에 진입한 외국인 유학생들이 수행해야 하는 학문적 과제의 유형과 구성 요소, 수행 절차 등을 구체화하고, 이들 학습자가 학문적 과제를 표상하고 실제로 수행하는 양상을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얻는 데에 목적이 있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문적 문식성을 가지고 대학에서 학문 활동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학문적 과제 수행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는 데에 전제를 두고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학문적 과제는 지식을 축적․공유․창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학문 공동체와 소통하며 이를 통해 획득된 결과를 언어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성과물로 도출해 내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정의에 따르면 학문적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학문적 문식성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학문적 문식성의 실천적 개념으로서 학문적 과제를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대학에서는 플립드 러닝과 문제 중심 학습, 팀 기반 학습 등 학습자 중심 교수법이 강의 위주 수업의 새로운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교수법의 변화는 자연스럽게 학습자들의 학문적 과제 수행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은 학문적 과제 수행 과정에서 요구되는 언어 기능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내용 및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집중되어 왔다.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능력을 신장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향후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문 공동체의 일원으로 지식 형성에 참여하고, 지식을 실천하는 행위를 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외국인 유학생들을 분리하여 가르치는 형태의 한국어 강의에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전공 능력을 향상하고 학문 공동체의 관습과 기대를 익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지 못한다. 따라서 한국인 학생들과 함께 듣는 교양 및 강의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대학의 일원이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지식을 습득, 공유, 창출하는 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향후 외국인 유학생의 실제적인 학문적 과제 수행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실제적인 학업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목표와 전략이 수립되어야 하며 이를 중심으로 교육 내용과 방법이 체계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학문적 영역에서의 언어 기능 또는 언어 지식을 중심으로 한 논의에서 벗어나 주제와 기능, 언어 지식, 수행 절차, 장르 등이 통합된 단위의 과제 중심 교육 방안이 제안되어야 한다. 셋째, 과제를 수행하는 학습자 변인에 주목하여 학습자의 과제 표상 양상, 과제를 실제로 수행하는 양상 및 전략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학문적 과제의 개념과 과제 수행 능력의 구성 요소를 면밀히 밝히고 [2] 강의계획서와 교수 대상 설문 및 인터뷰를 통해 학문적 과제의 유형을 분류한 후 학문적 과제의 수행 절차에 대해 상세화할 것이다. 또한 [3] 외국인 유학생이 과제를 수행하는 실제 양상을 과제 수행 전, 과제 수행, 과제 수행 후 단계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유학생들이 학문적 과제를 표상하고 맥락화하는 과정, 과제 수행에서 겪는 어려움, 전략 활용 등을 구체적으로 범주화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고에서는 [4] 고빈도로 출현하는 학문적 과제 및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가장 난이도가 높은 학문적 과제를 중심으로 학문적 과제 수행 능력 제고를 위한 교육 방안을 제안할 것이다. 이를 구체적인 연구 문제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1) 학문적 과제의 개념과 과제 수행 능력의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
    연구 문제2) 학문적 과제의 유형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학문적 과제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절차는 무엇인가?
    연구 문제3) 외국인 유학생이 과제를 표상하고 수행하는 양상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4) 외국인 유학생의 과제 수행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 방안은 무엇인가?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적 과제 수행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정부 정책에 따라 향후에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일 것이 분명한 학습자 집단임을 고려할 때 이들의 성공적인 학문 수행을 지원하고 학문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대학과 국가의 요구에 부응하는 과제라 할 수 있다. 특히 현재 많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전공 이수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학문 공동체에서의 소외감, 차별 대우를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중도 이탈 문제 등 대학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공고히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학문적․사회적 차원에서 본 연구는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성취도과 대학 생활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다. 외국인 유학생들의 중도 탈락률을 낮추기 위한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으나, 교양 또는 전공 이수의 수월성을 제고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까지는 마련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실제적인 요구와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것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높이고 대학 생활 만족도를 제고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향후 학문 맥락과 학문적 과제에 대한 논의가 확장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는 학문적 과제를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외국인 유학생의 실제 과제 표상 및 수행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문 맥락, 학문적 과제의 개념과 유형 등을 토대로 하는 연구를 위한 길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학문 후속 세대가 양질의 연구를 수행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본 연구의 양적, 질적 데이터 등은 향후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 수행 과정을 살피고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지적, 정서적 문제를 살피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외국인 유학생의 프로토콜 및 수행 일지, 면담 등의 질적 자료는 과제 수행의 인지적 과정을 규명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정서적인 장벽 및 외국인 유학생이 학문 공동체로 사회화되는 과정 등을 관찰할 수 있는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교육적 측면에서 본 연구가 갖는 기여도는 첫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 내용과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내용은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근거에 의해 검증된 것이므로 교육 항목으로 활용 가능하다. 특히 본 연구는 [분석]-[개발]-[실행]-[평가]-[수정]의 단계를 거쳐 교육 방안을 설계할 것이며 실험 연구를 통해 그 효용성을 밝힌 후 학술지 논문을 통해 공유하고자 한다. 따라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가르치는 교수자에게 실천 가능한 사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 교재, 평가 체계의 개발 및 개선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고찰뿐만 아니라 교수자 설문 및 면담, 학습자 설문, 수행 일지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실제적 준거를 마련할 것이다. 이는 향후 기 개발된 교육과정 및 교재, 평가 등의 실제성과 구체성을 보완하는 데에 참고될 수 있으며 새로운 교육과정 및 교재, 평가 등을 개발하기 위한 기틀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주도의 강의에서 학문적 과제가 연계되는 양상과 학습자의 수행 전략을 살필 수 있다. 본 연구의 성과는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유형의 강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반대로 다양한 전공 또는 교양 교과목을 학습자 중심 학습 과정으로 개선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교수자에게는 효과적으로 학문적 과제를 개발,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학습자에게는 성공적으로 학문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을 교육하기 위한 교육 내용을 도출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적 과제 수행 능력 제고를 위해 학문적 과제 및 학문적 과제 수행 능력의 개념과 구성 요소를 밝히고, 학문적 과제의 유형과 이에 따른 구체적인 절차를 살펴본 후 외국인 유학생이 학문적 과제를 수행하는 실제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먼저 본 연구는 일반 과제와 구별되는 학문적 과제의 개념을 정의하고, 학문적 과제 수행 능력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탐색하고자 한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는 학문적 과제와 학업 기술, 학습 전략의 경계를 밝힘으로써 학문적 과제의 특성과 범위를 더 명확히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특수 목적 언어 능력의 구인, 학문적 문식성의 구성 요소 등에 대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여 학문적 과제 수행에 필요한 능력을 도출하고 각 능력별 하위 요소를 구체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학문적 과제의 유형과 수행 절차를 파악하기 위해 문헌 고찰 결과를 토대로 학문적 과제의 유형을 1차적으로 분류할 것이며 강의계획서 분석과 교수 설문조사,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함으로써 학문적 과제 유형을 2차 분류할 것이다. 설문조사와 반구조화된 면담에 포함시킬 내용으로는 선호하거나 주로 제시하는 과제 유형, 과제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과제를 제시하는 방법, 기대하는 과제 수행 절차, 결과물 등이 있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이 과제를 표상하고 수행하는 실제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먼저 과제 수행 전 단계에서 외국인 유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과제 지시문, 입력 자료를 접한 후 과제를 표상하는 과정을 사고구술(think-aloud)하게 하고 그 양상을 범주에 따라 구체화할 것이다. 사고구술을 통해 도출된 학습자의 프로토콜은 이윤빈․정희모(2010), 송은정(2018) 연구 등을 참고하여 크게 내용/화제, 형식, 독자, 테마, 기타 목표들로 범주화할 것이며 프로토콜 분석의 신뢰도,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전문가 2인의 검토를 거칠 것이다. 학습자의 학문적 과제 수행의 실제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동일한 10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학기에 걸쳐 학문적 과제 수행 일지를 작성하게 하고 1개월에 1회 가량 면담을 실시하고자 한다. 면담의 내용은 학문적 과제 수행 일지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학문적 과제를 수행하면서 느낀 점과 어려움, 경험한 것 등을 끌어내는 방식으로 진행할 것이다. 수행 일지는 정해진 양식에 한국어 또는 모국어로 자유롭게 작성하도록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프로토콜 및 수행 일지, 면담 내용 등의 질적 데이터는 NVivo 12 for Windows를 도구로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강의자의 과제 표상과 외국인 유학생의 과제 표상을 비교함으로써 외국인 유학생들이 어떤 지점에서 어려움을 겪는지, 또 어떤 측면이 부족한지 등을 파악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도출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론적, 실제적 준거를 토대로 한 외국인 유학생의 과제 수행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송금숙(2014:121)에서 제시한 한국어 교수 설계 모형을 기반으로 [분석]-[개발]-[실행]-[평가]-[수정] 단계를 거쳐 중단기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할 것이다. 교육 방안의 1차 시안이 구성되면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내용 타당성 및 현장에의 적용 타당성을 검토한 후 학문 목적의 한국어 수업에서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이를 적용할 것이다. 실험 처치의 첫 시간에는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학문적 과제 수행 절차 및 과제 표상과 관련한 자기 평가를 실시할 것이며 교육이 끝난 후에는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해당 교육 방안의 효용성을 검증할 것이다. 또한 학습자에게 학문적 과제를 부여한 후 그 결과물을 수집하여 학문적 과제에 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결과물과 비교하여 질적 검토를 실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고에서는 학문적 과제 수행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 방안을 수정, 개선한 후 최종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수집한 양적 데이터는 Jamovi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할 것이다. 또한 제안한 교육 방안과 학습자 중심 교수법(플립드 러닝, 문제 중심 학습, 팀 기반 학습 등)과의 연계 방안을 모색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문적 과제 수행 능력을 제고하기 위해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문적 과제를 표상하고 수행하는 실제 양상을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얻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을 포함하는 학문적 공동체를 구성하였으며 해당 공동체가 협력하여 학문적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본고는 외국인 유학생이 상호 지식을 구성하고 이를 외면화하는 과정을 도출하였으며 학문적 과제 수행 과정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주고받은 메시지를 사회적, 인지적, 메타인지적, 운영적 차원으로 분류하여 각 메시지가 지식 구성 과정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교수법인 e-PBL 수업을 문제 정의, 문제 탐색, 문제 해결, 발표 및 평가의 네 단계로 구성하고, 총 9명의 학습자를 선정하여 e-PBL 활동을 진행하였으며 각 활동 단계에서 관찰되거나 사후 설문지를 바탕으로 필요한 스캐폴딩의 예를 도출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실제적인 학문적 과제 수행 능력 및 전략을 제고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이 학문 공동체 내에서 학문적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피고, 이에 근거한 교육 방안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소수의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 COVID-19로 인해 개별적인 면담 및 대면 상황에서의 학문적 과제 수행 양상을 관찰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는 한계가 있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가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 교재, 평가 체계의 개발 및 개선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task representation and performance aspects of international students as a way to enhance their academic task performance ability. To this end, this study constituted an academic community including international students and presented academic tasks to carry out. Through this, this study derives the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classifies the messages exchanged by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process of academic task performance into social, cognitive, metacognitive, and operational dimensions. Furthermore, in this study, the e-PBL class was designed in four stages: problem definition, problem exploration, problem solving, presentation and evaluation, and a total of 9 learners were selected to perform e-PBL activities. It was proposed to improve the practical academic task performance ability and strategy of international students by deriving examples of scaffolding that were observed at each stage of activity or based on the post-mortem questionnai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pecifically examined the process of international students performing academic tasks within the academic community and derived educational method based on thi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small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at it was not possible to observe the performance of academic tasks in individual interview and face-to-face situations due to COVID-19.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and improving the curriculum, textbooks, and evaluation system for academic Korean learners in the fu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문적 과제 수행 능력을 제고하기 위해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문적 과제를 표상하고 수행하는 실제 양상을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얻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결 과제로서 학문적 과제, 학문 활동과 관련된 국내외 논저를 성찰하고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학문적 문식성과 학문적 과제의 개념과 구성 요소, 학문적 과제의 유형과 범위, 수행 절차 등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과제가 명시되어 있는 강의계획서를 수집한 후 제시된 과제를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교수자 FGI를 실시하여 본고에서 상정한 학문적 과제의 개념 및 구성 요소의 적절성 여부, 외국인 학습자가 학문적 과제 수행의 과정에서 잘 표상하지 못하거나 과제 수행 시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표상의 내용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교수자가 일반적으로 기대하는 학문적 과제의 수행 절차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문적 과제 표상 및 수행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1, 2차년도에 외국인 유학생을 포함하는 학문적 공동체를 구성하였으며 해당 공동체가 함께 협력하여 학문적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는 1차년도에 이루어진 강의계획서 분석을 통해 최근의 대학 강의에서 팀 과제 형식의 학문적 과제를 요구하는 비율이 높다는 사실에 근거한 것이다. 본고는 외국인 유학생이 팀으로 학문적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호 지식을 구성하고 이를 외면화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학문적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주고받은 메시지를 사회적, 인지적, 메타인지적, 운영적 차원으로 분류하여 각 메시지가 지식 구성 과정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한편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교수법에서의 학문적 과제 수행 능력을 제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함께 학습자 간, 학습자와 교수자 간에 제공될 수 있는 스캐폴딩의 예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학습자 중심 교수법으로 e-PBL을 선정하였는데, 이는 COVID-19 환경에서 전면적인 대면 학습이 어려워졌으며 향후 온라인 학습이 면대면 학습과 병행되거나 혹은 온라인 수업 그 자체로 새로운 교수-학습 패러다임의 중심에 놓이게 된 현실을 반영하고자 한 것이다. 특별히 e-PBL는 학습자가 과제를 재맥락화하고 문제 해결안을 창출하는 데에 필요한 외부 자원을 보다 자유롭게 학습 과정에 끌어들일 수 있다는 점, 동료 학습자와 공동으로 지식을 탐색하고 공유하는 것이 보다 수월하다는 점 등에서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교수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제 정의, 문제 탐색, 문제 해결, 발표 및 평가의 네 단계로 교수 학습 단계를 구성하고, 총 9명의 학습자를 선정하여 e-PBL 활동을 진행하였으며 각 활동 단계에서 관찰되거나 사후 설문지를 바탕으로 필요한 스캐폴딩의 예를 도출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실제적인 학문적 과제 수행 능력 및 전략을 제고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이 경험하는 학문 맥락과 그 과정에서 요구되는 과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임으로써 향후 학문 맥락과 학문적 과제에 대한 논의가 확장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으며 외국인 유학생이 학문 공동체 내에서 학문적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온라인으로 녹화, 수집하여 데이터에 근거한 교육 방안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소수의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 COVID-19로 인해 개별적인 면담 및 대면 상황에서의 학문적 과제 수행 양상을 관찰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는 한계가 있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가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 교재, 평가 체계의 개발 및 개선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적 과제 수행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성과는 일차적으로는 외국인 유학생 개인의 자아실현과 성취를 돕는 데에 활용될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외국인 유학생의 중도 이탈 문제 등 대학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공고히 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 결과는 크게 학문적 ․ 사회적 차원과 교육적 차원에서 활용될 수 있다. 먼저 학문적․사회적 차원에서 본 연구는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적응과 대학 생활 만족도를 제고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외국인 유학생들의 중도 탈락률을 낮추기 위한 대학 차원의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으나, 교양 또는 전공 이수의 수월성을 제고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까지는 마련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실제적인 요구와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높이고 대학 생활 만족도를 제고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이 경험하는 학문 맥락과 그 과정에서 요구되는 과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임으로써 향후 학문 맥락과 학문적 과제에 대한 논의가 확장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는 학문적 과제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외국인 유학생의 실제 과제 표상 및 수행 과정, 양상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문 맥락, 학문적 과제의 개념과 유형 등을 토대로 하는 연구를 위한 길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학문 후속 세대가 양질의 연구를 수행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구체적인 학문 수행 과정을 데이터로 수집하였으며 특히 학문 공동체 내에서의 활동 과정을 온라인으로 녹화, 수집하여 구체적인 수행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외국인 유학생의 수행 일지, 면담, 실제 학문적 과제 수행 과정 등의 데이터는 과제 수행의 인지적 과정을 규명하는 데에 활용되었다. 향후 이러한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외국인 유학생들이 경험하는 정서적인 장벽 및 외국인 유학생이 학문 공동체로 사회화되는 과정 등을 관찰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첫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 내용과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문 맥락에서 외국인 학습자가 수행하는 과제를 중심으로 유형과 절차, 수행 방식 등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내용은 본 연구에서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근거에 의해 검증된 것이므로 교육 항목으로 활용 가능하다.
    둘째, 본 연구의 성과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 교재, 평가 체계의 개발 및 개선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고찰뿐만 아니라 교수자 설문 및 면담, 학습자 수행 일지, 수행 과정 녹화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는 향후 기 개발된 교육과정 및 교재, 평가 등의 실제성과 구체성을 보완하는 데에 참고될 수 있으며 새로운 교육과정 및 교재, 평가 등을 개발하기 위한 기틀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주도의 e-PBL 수업에서 학문적 과제가 연계되는 양상과 이에 따른 학습자의 수행 전략을 살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모형 및 단계별 스캐폴딩 전략과 예는 향후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유형의 강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반대로 다양한 전공 또는 교양 교과목을 학습자 중심 학습 과정으로 개선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교수자에게는 효과적으로 학문적 과제를 개발,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학습자에게는 성공적으로 학문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을 교육하기 위한 교육 내용을 도출할 수 있다.
  • 색인어
  • 외국인 유학생, 학문적 과제, 학문 공동체, e-PBL,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