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영어 총칭 명사구의 유형에 따른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인식 및 사용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먼저 PMT를 통한 총칭 명사구의 인식 및 사용을 살펴보면, 영어 원어민 화자의 경우, 악기, 과학기사, 기술, 인간그룹, ...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영어 총칭 명사구의 유형에 따른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인식 및 사용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먼저 PMT를 통한 총칭 명사구의 인식 및 사용을 살펴보면, 영어 원어민 화자의 경우, 악기, 과학기사, 기술, 인간그룹, 복수 총칭, 단수 총칭, 불가산 총칭 명사구에 따른 총칭성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은 반면 한국인 고급 영어 학습자의 경우 불가산 총칭 명사구에 대한 총칭성은 높게 나타난 반면 단수 총칭 명사구의 대한 총칭성은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한국인 초급 영어 학습자의 경우 불가산 총칭 명사구에 비해 악기, 과학기사, 기술, 인간그룹, 복수 총칭, 단수 총칭 명사구 모두 낮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영어 능력이 낮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일수록 다양한 총칭 명사구에 대한 총칭성 인식이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 두 번째, FCET를 통해 총칭 명사구를 살펴본 결과, 먼저 악기를 총칭할 때 영어 원어민 화자는 정관사 the를 사용하지만 영어 능력이 낮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일수록 정관사 the의 사용이 낮게 나타나며, 부정관사 a/an, 무관사 총칭도 사용함을 보여주고 있었다. 두 번째, 과학기사에서 총칭 명사구를 표현할 때 영어 원어민 화자는 정관사 the를 주로 사용하지만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과학기사에 대한 총칭 명사구를 나타낼 때 무관사 총칭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정관사 the, 부정관사 a/an, 복수총칭 명사구에 대한 사용을 다소 보여주기에 과학기사에 대한 총칭성 인식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기술을 나타내는 총칭 명사구를 표현할 때 영어 원어민 화자는 정관사 the를 주로 사용하지만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기술에 대한 총칭 명사구를 나타낼 때 한 가지 관사의 사용이 높게 나타난 게 아니라 정관사 the, 부정관사 a/an, 무관사 총칭, 복수 총칭 순으로 크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기에 기술에 대한 총칭성 인식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네 번째, 인간그룹을 나타내는 총칭 명사구를 표현할 때 영어 원어민 화자는 정관사 the를 주로 사용하지만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고급 영어 학습자의 경우 50%이상 정관사를 사용하고 있지만, 초급 영어 학습자의 경우 정관사 the, 부정관사 a/an, 복수 총칭, 무관사 총칭의 사용이 매우 비슷하게 나타나기에 영어 능력이 낮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일수록 인간그룹에 대한 총칭성 인식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 번째, 복수 총칭 명사구를 표현할 때 영어 원어민 화자는 정확히 복수 총칭 명사구를 사용하였지만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경우 영어 능력에 상관없이 복수 총칭 명사구에 대한 총칭성 인식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섯 번째, 단수 총칭 명사구를 표현할 때 영어 원어민 화자는 50%이상이 단수 총칭 명사를 사용하였지만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경우 단수 총칭 명사구에 대한 총칭성 인식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더불어 한국인 초급 영어 학습자의 경우 복수 명사구로 인식하였다는 점이 주목된다. 마지막 불가산 명사구를 나타낼 때 영어 원어민 화자는 모두 무관사 총칭을 사용하였으며, 한국인 고급 학습자 또한 무관사 사용을 75% 이상 사용하였지만, 영어 능력이 낮은 한국인 학습자의 경우 무관사 사용에 대한 인식이 다소 낮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의 국내 총칭적 표현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 관사 체계에 대한 연구의 한 부분으로 국한되어 진행되었지만 본 연구는 총칭 명사구의 쓰임에 따른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총칭성 표현 인식 및 사용 양상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와 같은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총칭적 표현의 인식 및 사용에 있어 관사 사용의 중간 언어 특징을 구체적으로 보여줄 뿐 아니라 향후 올바른 총칭 관사 교육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준다. 또한 영어 교육 현장에서 세분화된 총칭성 표현을 다양한 예시 문장과 함께 교육에 적용한다면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총칭성 표현 인식 및 사용 능력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문법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매개체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