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개천에서 용이 된’아이들: 학업탄력성을 보이는 학생들의 경험과 성장과정 분석
High achievers from low-income family: exploring students’ experiences influencing academic resilienc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 #40;B유형& #41;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과제번호 2020S1A5B5A17091629
선정년도 2020 년
연구기간 1 년 (2020년 09월 01일 ~ 2021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최예슬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소득 양극화가 심화될수록 빈부격차에 따른 학업성취 격차 역시 확대되고 있다. 교육이 더이상 가난으로 인한 계층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없으며, ‘개천에서 용 나기’는 이제 어렵다는 인식이 지배적이 되고 있다. 그러나 놀랍게도 사회경제적으로 열악한 가정환경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학업성취를 이루어내는 ‘개천용’과 같은 학생들은 적지 않다. 이처럼 낮은 사회경제적 가정환경과 같이 학업성취를 위협하는 위험 요인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준의 학업성취를 이루어내는 현상을 ‘학업탄력성(academic resilience)’이라 한다. 학업탄력성은 사회정의 구현과 개개인의 재능계발 지원을 통한 국가성장이라는 차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학업탄력성이 높은 학생을 길러내기 위해서는 이들의 경제적 어려움 뿐 아니라 정서적인 역경에 대한 이해와 지지가 필요하며, 다양한 차원에서의 실질적인 교육지원이 절실하다. 그러나 취약계층과 관련된 교육정책은 주로 기초학력을 담보하거나 학습결손을 막기 위한 정책에 집중되어 있고, 우수학생의 경우 장학금과 같은 경제적 지원 형태의 단편적인 정책에 머무르고 있다.
    실질적인 교육 지원의 관점에서 학업탄력성에 주목한 국내 연구는 드물 뿐만 아니라, 역경극복에 관련한 구체적인 과정과 한국의 고유한 사회적 맥락 속에서 학업탄력성을 보유한 그룹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지 못하고 있다. 학업탄력성에 관련한 연구가 실제 교육현장에 실천적 의의를 갖기 위해서는 취약계층 학생들이 학업탄력성을 높이게 된 과정을 분석하여 개인의 경험세계를 보다 질적으로 드러내야 하며, 효과적인 교육 정책과 개입을 위해서는 학업탄력성을 보이는 학생들이 학교 및 사회적 맥락과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저소득층 가정에서 명문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그들이 학교 및 사회적 맥락 안에서 겪은 경험들을 분석함으로써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호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질적연구의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취약계층의 학생들이 학업탄력성을 어떻게 보유하게 되는지, 학업적 성공을 이루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경험세계를 탐색하고 드러내서 이들의 경험세계를 구조적으로 이해하고 개념화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업탄력성 지원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과 필요한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 한국사회라는 고유한 맥락에서 학업탄력성 현상을 이해하는 이론화 작업의 단초를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사회적 기여>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저소득층 학생들이 지각한 위험 요인과 필요한 자원을 유형화하여 실질적인 프로그램과 정책을 개발할 수 있다. 실제 열악한 가정환경을 극복하고 명문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의 관점에서 그들이 학교 안팎의 맥락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도움을 필요로 하였으며 무엇이 실제적인 도움을 주었는지 파악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정책 개입이 가능해진다. 특히 교사의 입장에서 취약계층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지원하기 위해 한정된 시간과 자원을 배분하는데 주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는 장학금 제도, 멘토링 제도, 교육 프로그램 지원 등과 같은 취약계층의 학업탄력성 지원을 위한 정책에 개발 및 투자 시 필요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 결과는 저소득층 학생들이 학업적으로 성장한 경험의 생생한 사례들을 수집하고 정리함으로써 그들의 긍정적인 스토리를 보여주는 희망을 주는 사례집으로써 사회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 그동안 취약계층에 대한 교육적 관심은 어려운 가정형편으로 인한 학교 부적응, 학습부진 등을 보완해야한다는‘결손’중심의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학업탄력성의 관점은 취약계층의 잠재력을 부각시키고 타고난 가정형편을 극복하고 성공할 수 있다는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마인드를 공유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본 연구는 학업탄력성을 가지는 과정에 있어 개인의 노력 뿐 아니라 학교 및 사회적 맥락과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한 사회가 취약계층의 학업잠재력을 꽃피울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취약계층의 학업성공 경험을 공유하고 확산하는 작업은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가지는데 기여한다는데 큰 의의를 지닌다.

    <학문적 기여>

    본 연구는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한국의 고유한 교육적 상황에서 취약계층의 학업탄력성이라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을 구축하는데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학업탄력성과 관련한 국내연구들은 매우 협소한 동시에 학교 및 사회적 맥락과 유리된 양적 연구 방법에 집중되어 있었다. 학업탄력성에 주목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학업탄력성이라는 현상을 이해함으로써 학교 및 국가의 교육 정책에 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함일 것이다. 최근 교육학 연구에서 실제적인 시사점을 얻기 위해서는 한국이라는 독특한 맥락에서 토착화 될 수 있는 중범위 이론(middle range theory)을 생성할 수 있는 근거이론과 같은 질적연구가 중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변기용, 2018; 신현석 외, 2014).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저소득층 학생들의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준 학교 및 사회적 맥락을 분석함으로써, 학교 현장의 구체적 맥락에서 정책 개입의 초점을 두어야할 요소들에 대한 토착화된 이론 모형 개발의 단초를 제공한다는 것에 학문적 시사점을 가진다.

    <후속연구와의 연계 활용 방안>

    본 연구에서 저소득층 학생들의 학업탄력성 과정을 탐색하고 개념화한 결과와 연계된 후속연구를 통한 기여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거이론을 통해 귀납적으로 구축된 이론에서 밝혀진 영향요인들을 중심으로 국가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 학업탄력성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양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즉, 본 연구의 결과는 질적-양적 연구방법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학업탄력성이라는 현상을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학문적인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실천적 차원에서 본 연구에서 밝힌 요소들은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 후속 연구에 응용될 수 있다.
  • 연구요약
  •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탄력성을 보이는 학생들이 성장과정에서 겪은 어려움과 도전, 그리고 학교 및 사회적 맥락 안에서의 경험이 그들의 학업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탐색하고 개념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핵심적인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첫째, 학업탄력성을 가진 학생들이 학창시절에 경험한 어려움과 도전은 무엇이었는가? 둘째, 그러한 어려움과 도전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한 개인적, 학교 및 사회적 맥락에서의 동인과 경험은 무엇인가? 셋째, 이러한 경험들이 학생들의 성공적인 학업성취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연구 내용>
    학업탄력성을 보이는 학생들의 경험세계를 탐색하기 위해서는 역경 요인과 그러한 역경을 극복가능하게 한 보호요인들의 상호작용에 대한 탐색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학업탄력성을 가진 저소득층 가정의 학생들이 지각한 학창시절에 학업을 지속하기 어려웠던 경험과 도전 요인을 분석하여 유형화하고자 한다. 둘째, 학업에 닥친 역경을 극복하기 위한 학생들의 개인적, 사회적 맥락에서의 동인과 학업적 성공을 위해 활용 가능한 도움과 자원을 찾는 경험들을 포착하고자 한다. 특히 학교 내 교사와의 상호작용 및 학습프로그램, 학교 밖의 교육 지원정책 등을 활용한 경험들을 분석하여 학업탄력성을 가진 학생들이 가정의 부족한 학습자원을 보충하기 위해 학교 안팎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자원들에 주목하고자 한다. 셋째, 역경과 보호요인들의 상호작용이 학업성취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여 학업탄력성의 과정을 개념화하여 도식화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저소득층 가정이라는 사회경제적 불리함을 극복하고 명문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의 학교생활 과정 속에서의 맥락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질적연구 중 근거이론(Grounded theory) 기법을 활용할 것이다. 저소득층 가정에서 학업탄력성을 가지고 명문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이 생활에서 마주친 어려움과 어떻게 그러한 어려움을 학교와 사회라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극복할 수 있었느냐에 관한 심층적인 탐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근거이론은 한국사회의 고유한 맥락에서 학업탄력성이라는 현상을 이해하고 개념화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 최고 명문대학으로 평가되며 고등학교에서 최상위권의 학업성취를 이룬 학생들이 진학할 수 있는 서울 소재 S 대학교에 입학한 학생들 중 가계곤란대상자인 저소득층 학부생을 연구참여자(약 30명)로 선정하여 개별 심층면담(in-depth interveiw)을 수행하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들의 개별 사례를 자유롭고도 풍부하게 드러내면서 본 연구가 목적으로 하는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학교요인들에 대한 맥락을 분석하기 위하여 개방형(open-ended) 질문지를 작성하여 반구조화된(semi-structured) 면담을 수행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교육격차 확대가 심화되면서 교육이 계층 불평등을 해소하는 역할을 하기 어렵다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놀랍게도 열악한 경제적 환경 속에서도 우수한 학업성취를 이룬, ‘학업탄력성(academic resilience)’을 가진 학생들이 적지 않다. 교육형평성의 관점에서 학업탄력성을 가진 학생들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교육정책 지원의 관점에서 이러한 학생들이 학교 안팎에서 학업적으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어떠한 교육자원을필요로 하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탄력성을 보이는 학생들의 성장 과정과 학교 및 사회적 맥락 안에서의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저소득층 학생들의 학업적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한민국 사회에서 학업적 성공의 상징적 척도라고 인식되는 명문대학에 입학한 저소득층 학생들을 인터뷰하고, 현재 한국의 교육시스템이 저소득층 학생들의 학업탄력성을 어떻게 지원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고유의 맥락에서 저소득층 학생들의 학업탄력성을 지원할 수 있는 보다 정교한 교육정책을 수립하는데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 영문
  • As the student achievement gap between upper-income and lower-income groups is widening, there is a growing perception that the role of education in mitigating social inequality is getting weakened. Despite the strong correlation between family background and academic success, to surprise, some students from disadvantaged family backgrounds are academically successful by overcoming the challenging conditions they face. Although it is important to explore the process of academic resilience in the aspect of educational equit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these academically resilient students overcome adversity and which educational resources influence their academic succes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rotective factors that promote academic success for low-income students by exploring the academic process of academically resilient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low-income students who entered the elite university, which is considered the symbol of academic success in Korean society.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fine-tuned educational policy and intervention to support low-income students’ academic success, especially in the unique context of the Korean educational environ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소득 양극화가 심화될수록 빈부격차에 의한 학업성취 격차가 확대됨에 따라, 교육이 더이상 가난으로 인한 계층 불평등을 해소하는 역할을 할 수 없다는 비관적인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놀랍게도 사회경제적으로 열악한 가정환경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학업성취를 이루어내는 ‘개천용’과 같은 학생들은 적지 않다. 이처럼 낮은 사회경제적 가정환경과 같이 학업성취를 위협하는 위험 요인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준의 학업성취를 이루어내는 현상을 ‘학업탄력성(academic resilience)’이라 한다. 이러한 학업탄력성 개념은 교육 형평성이라는 사회정의 구현과 개개인의 재능계발 지원을 통한 국가성장이라는 차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학업탄력성이 높은 학생을 길러내기 위해서는 이들의 경제적 어려움 뿐 아니라 정서적인 역경에 대한 이해와 지지가 필요하며, 다양한 차원에서의 실질적인 교육지원이 절실하다. 그러나 취약계층과 관련된 교육정책은 주로 기초학력을 담보하거나 학습결손을 막기 위한 정책에 집중되어 있고, 우수학생의 경우 장학금과 같은 경제적 지원 형태의 단편적인 정책에 머무르고 있다.
    또한 실질적인 교육 지원의 관점에서 학업탄력성에 주목한 국내 연구는 드물 뿐만 아니라, 주로 양적연구에 집중하여 학업탄력성을 보유한 그룹의 역경극복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교육자원들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과 풍부한 맥락적 정보를 심층적으로 탐색하지 못하고 있다. 학업탄력성에 관련한 연구가 실제 교육현장에 실천적 의의를 갖기 위해서는 취약계층 학생들이 학업탄력성을 높이게 된 과정을 분석하여 개인의 경험세계를 보다 질적으로 드러내야 하며, 효과적인 교육 정책과 개입을 위해서는 학업탄력성을 보이는 학생들이 학교 및 사회적 맥락과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가정에서 명문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이들이 학교 및 사회적 맥락 안에서 겪은 미시적 경험들을 탐색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질적연구 접근을 활용하여 어떠한 교육자원들이 저소득층 학생들의 실질적인 학업적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고유의 맥락에서 저소득층 학생들의 학업탄력성을 지원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정책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저소득층 학생들이 경험한 교육 지원 시스템을 미시적 차원에서 가정 및 학교 환경, 사회적 차원에서 지역사회, 사회 및 제도 환경으로 구분하고, 각 환경에서 그들의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미친 특징적인 자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환경에서는 가정 내 정서적 안정과 교육지원, 학교 환경에서는 교사의 특별한 관심,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학교의 특권화된 교육자원, 학교의 면학분위기와 학습공간으로, 지역사회 환경에서는 지자체 및 교육청의 교육지원 사업, 사회환경에서는 기업 및 재단의 장학금, 대학의 교육프로그램, 사교육, 인터넷 커뮤니티, 그리고 제도적 환경에서는 사회복지서비스와 대학의 사회적배려대상자 입시 정책이 학업탄력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자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탄력성을 지원하는 시스템은 1) 국가 및 지역사회의 공공지원 기능, 2) 자원 연결자로서의 교사의 역할, 3) 학생의 주체적 도움 요청하기라는 세 가지 양상의 상호작용을 통해 작동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결과는 저소득층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지원하는 정책 수립과 실행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저소득층 학생들이 학업적으로 성공한 경험의 생생한 사례 자료들을 수집하고 정리함으로써, 유사한 상황의 학생들이나 이러한 학생들을 지원해야 하는 교사들의 교육 연수 및 세미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는 한국의 교육적 상황에서 취약계층의 학업탄력성이 발현되는데 영향을 미치는 독특한 문화적 현상을 보여줌으로써, 우리나라 현장에서 개천용이 어떻게 나는지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밝혀진 영향요인들을 중심으로 국가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 학업탄력성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양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학업탄력성이라는 현상을 보다 폭넓게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연구에서 밝힌 요소들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학업탄력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후속 연구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학업탄력성, 저소득층 학생, 근거이론, 심층면담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