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明末淸初 香奩詩의 예술사회학적 분석 연구
Analysis of poetry of trousseau in the late Ming Dynasty and the early Qing Dynasty from the sociology of ar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 #40;B유형& #41;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과제번호 2020S1A5B5A17091090
선정년도 2020 년
연구기간 1 년 (2020년 09월 01일 ~ 2021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동훈
연구수행기관 충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중국의 전통 염정시(艶情詩)의 일종인 향렴시(香奩詩)를 예술사회학(藝術社會學, Sociology of Art)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명말청초(明末淸初)의 향렴시의 창작과 비평을 통하여 ① 문인들의 향렴시 창작의 목적 ② 향렴시의 전파 및 유통의 양상 ③ 대중의 향렴시 감상과 사회적 효용 등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 예술의 창작과 유통, ㉡ 예술의 소용과 가치, ㉢ 예술의 민족적 소질과 경향 등을 실증적으로 고찰해 볼 것이다. 이를 통하여 향렴시의 중국시에서의 지위와 정체성, 향렴시의 작가들의 창작의 진정한 목적과 지향점, 향렴시의 작가와 대중의 관계 등의 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향렴시는 전통의 雅正 문화 속에서 음란하고 외설적인 궁체시 정도로 치부되었다. 그런데 명말청초에 접어들어 문인으로부터 여염에 이르기까지 향렴시가 대량으로 지어지고 널리 유포되면서 공전의 히트를 하게 된다.
    명말청초의 사회 변혁기는 중국 사회의 많은 사회적 구조와 틀을 바꾸어 놓았다. 특히 이 시기는 중국 사회에 소위 근대성(modernity)이 발현되기 시작한 시기로, 전통적인 가치관이 무너지고 인간적인 욕망과 개개인의 자아실현을 긍정하는 시각이 발달하면서 중국사회 저변에 일대 변혁이 일어났다. 이러한 대변혁의 과정의 시작점이 바로 명‧청 교체기의 혼란기였으며, 이 시기에 지식인 사회가 맞이한 가치관의 변화는 이후 근대 사회에 접어든 중국사회의 가치관 형성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개인의 욕망 실현을 위한 감정의 표출은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이는 풍조가 점차 확산되었다.
    이러한 전통적 가치관과 새로운 변혁의 충돌이라는 명․청 시대에 향렴시를 둘러싼 그 창작 형태와 양상, 그리고 이에 대한 문인사대부들의 열띤 비평은 이 시대의 사회적 특질과 시대성(時代性)을 읽어내는 중요한 바로미터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의 세 가지 주제는 본 연구에서 관심있게 다루어질 내용이다. ① 향렴시의 주요 작가들인 기녀와 여성, 그리고 문인사대부들 간의 계급 및 집단 간에는 어떤 정서적 교류가 작용하였는가? ② 향렴시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문인 사대부들의 인식은 어떠하였는가? ③ 명․청대의 사회에서 향렴시가 어떤 기능을 하고 대중의 기호와 수요에 어떻게 부응했는가?
    본 연구는 이러한 주제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하여 ① 향렴시와 전통 서정시의 관계에 대한 논의 ② 문학의 통속성에 대한 논의 ③ 향렴시의 사회적 기능과 가치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것이다.
  • 기대효과
  • ○ 중국 시가(詩歌)의 원형(原型) 연구의 계기 마련
    본 연구는 명말청초의 향렴시를 분석하고 그 사회적 가치를 논하는 것이지만, 본질적으로 중국의 전통적인 서정시와 크게 다르지 않은 향렴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기에, 향후 중국 시가의 원형(原型)에 대한 연구로 확산시킬 수 있다.
    ○ 여성주의 문학에 관한 이슈 개발과 다양한 콘텐츠 개발에 기여
    본 연구에서 다룰 향렴시는 기본적으로 여성(女性)과 염정(艶情)을 소재로 하였기 때문에, 여성주의 문학에 관하여 활발한 토론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兩性平等 시대를 맞이하여 여성의 지위에 대한 관심이 활발한 시대에 옛 문인사대부들의 여성과 그 이슈에 대한 관심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현재 우리사회에 문학과 예술에 대한 담론을 통한 남녀의 장벽을 허물고 원활한 소통을 위한 문화콘텐츠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 전통사회의 단면과 문인사대부 문화에 대한 연구 활성화 기대
    명말청초의 향렴시 연구는 당시 성행한 民歌와 詞 등의 장르에서 여성을 소재로 한 작품 연구와 연계하여 당시 사회문화의 단면과 문인사대부 문화의 실상 등으로 연구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향렴시와 여성을 소재로 한 民歌와의 차이점과 그 각각의 유행 배경 및 관련성 등에 대해서 다양한 연구 주제를 발굴할 수 있다.
    ○ 중국과 조선의 향렴시 교류 및 비교 연구를 위한 토대 마련
    우리의 朝鮮 후기에 향렴시를 음란하다고 여기면서도 적지 않은 작가들이 향렴시를 창작했다. 또한 조선의 문인들이 청나라를 오가면서 적지 않은 향렴시를 전해 주거나, 청나라의 향렴시를 조선에 가져다 보급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중국의 향렴시와 조선의 향렴시를 비교연구하는데 중요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예술사회학적 연구방법론을 가지고 明末淸初의 시대에 향렴시가 성행하고 발전했던 상황을 통하여 향렴시의 가치를 분석해 본다. 우선 모든 예술은 사회적 맥락 속에서 창조된다는 예술사회학의 연구방법론에 따라 향렴시의 창작 배경과 유통 양상을 분석한다. 그리고 전통에서 근대로 교체되는 시대적 페러다임의 전환의 시대에 향렴시의 사회적 기능과 가치를 분석한다. 아울러 시대의 변화 속에서 향렴시의 창작을 통해 작가들이 추구했던 심리 분석을 통하여 향렴시의 서정시로서의 가치를 조명해 본다.
    ○ 향렴시는 명말청초 시가(詩歌)의 주류(主流)였다. 명말청초의 시가 연구는 창작보다 이론과 비평 분야에 집중되었고, 창작에서도 문인 작가의 詩 만을 주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 시대에 가장 많이 지어지고 널리 애송된 작품은 향렴시를 비롯한 艶情의 서정시였다. 여전히 경직된 예교주의 속에서도 근대주의라는 새로운 사조의 대두로 사랑을 드러내고 노래하는 분위기가 팽배했다. 특히 문인은 물론이고 여염의 아낙네들도 시를 창작하고 감상하는 문화가 널리 확산되었다. 여류 작가들의 적극적인 창작활동과 그들의 작품이 민간에 널리 유포된 것도 이들을 후원했던 문인집단들의 財力과 광범위한 네트워크 덕분이었다. 왕조의 교체라는 시대 환경 속에서 당시의 문인들은 遺民과 貳臣이라는 2개의 집단이 존재했다. 이들은 은둔에 목적을 두었거나 벼슬살이에 목적을 두었거나 모두 한 곳에 정착해서 살기가 쉽지 않은 환경에 놓여있었다. 각지를 다니며 쌓았던 인연으로 남녀 간의 연정은 시의 제재가 되었고, 이들의 이동은 향렴시의 유포에 큰 기여를 하였다.
    ○ 향렴시를 중국 시가(詩歌)의 원형(原型)과 연관짓고자 했다. 중국의 전통 시학에서 향렴시는 음란하고 외설적인 시로 간주되었지만, 주요 소재인 사랑은 중국시가의 原型인『시경』의 핵심 주제이기도 하다. 연구자는 향렴시는 정통예술과 통속예술의 경계선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러한 판단에는 왕사정의 비평과 沈德潛과 袁枚 등의 논쟁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왕사정은 향렴시를 戀情을 담아낸 抒情詩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당시 사회의 부정적인 단면을 솔직하게 표현했던 時事的인 가치도 인정하였다. 심덕잠은 애정시를 인륜의 소용 가치를 넘어서지 말 것을 요구했고, 원매는 인간의 성정의 진실성 여부와 정감의 깊이를 중시하였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을 기초로 하면, 심덕잠은 슈퍼에고(super ego)의 욕망, 원매는 이드(id)의 절제, 왕사정은 에고(ego)의 컨트롤의 관점이라 할 수 있다. 염정시 및 그 속에 포함된 정욕에 대하여 이들은 감정적으로 친근감을 느껴 혹자는 즐겨 창작했고 혹자는 즐겨 탐독했지만, 이성은 이들로 하여금 염정에 대하여 충분한 경각심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문인 사대부들의 뿌리깊은 인륜과 교화의 책무가 그들이 완전한 방탕으로 흐르는 않도록 하였던 것이다.
    ○ 향렴시의 통속성은 시대의 아픔에 대한 위안이었다. 예술사회학에서 가장 주목하는 예술의 通俗性에 대해 아놀드 하우저는“진정한 고급 예술 창작에 깃들여 있는 진지함과 엄격함이 통속예술에 있어서는 때로는 편안함과 만족의 수준으로, 또 때로는 무제한적으로 충일된 감정과 극단적인 센세이션의 수준으로 떨어지게 된다.”라고 하였다. 진지함과 엄격한 전통의 문학과 달리 예술의 통속성은 일정 정도는 긴장을 풀어주고 이완시키며, 심각한 문제를 회피하는 위안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향렴시 또한 바로 이러한 통속성의 순기능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왕사정은 물론이고 심덕잠과 같은 향렴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문인 또한 젊은 시절에는 향렴시 창작에 매우 심취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이것은 젊은 시절 로맨스에 대한 강한 열망의 산물이라고 해석하는 것은 너무 단편적인 주장이다. 특히 명말청초라는 시대적 특수성이 당시 문인들에게 끼친 영향을 고려하면 향렴시는 분명히 경직되고 엄격한 분위기를 타파할 수 있는 소중한 통로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판단은 당시 문인들의 향렴시에 대한 비평을 통해 알 수 있고, 또한 문인들이 지었던 향렴시의 다양한 비유적 표현을 통해 실증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명말의 불안한 정국과 사회 환경은 말세적 분위기를 자아내었고, 세속화된 사조와 영합하였다. 특히 명말 강남 경제의 지속적인 번영으로 소비 규모가 날로 올라가면서 사치와 음란한 풍조가 만연하였고, 이에 따라 전통의 예교주의와 도덕적 가치관이 점차 허물어졌다. 특히 문인들도 인간의 개성과 인격의 존엄 및 평등의 가치를 중시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분위기에서 사람들은 더욱 적극적으로 자신들의 개성과 욕망을 표출하는데 주력하였다. 그래서 남녀의 연정을 시가의 주요 소재로 삼는 것이 하나의 사회 풍조가 되었는데, 이를 시집으로 묶어 널리 유통함으로써 향렴시의 창작과 유통은 명말청초 사회의 중요한 문화콘텐츠의 하나였다.
    향렴시 창작에는 여성작가들도 대거 참여하였고, 당시에 큰 명성을 가진 여성 작가들의 작품은 남성 문인들이 창화할 정도로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일부 남성 문인들은 여성 작가들의 향렴시를 모아 시집으로 엮는 것이 유행이 되었고, 적지 않은 남성 작가들의 여성 향렴시 작가들의 작품을 학습하여 모방하는 것이 하나의 트렌드가 될 정도였다. 이렇게 명말청초의 향렴시 유행은 여성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향렴시 창작과 남성 문인들의 관심과 지지, 그리고 후원이 맞아떨어진 문화 현상이었다.
    명말의 향렴시에 있어서 왕언홍은 최고의 족적을 남겼다. 왕언홍의 향렴시는 대체로 자신의 개인적인 연정과 이성관계를 직접 소재로 삼아 창작되었기에, 그 강한 리얼리티로 인해 당시에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가장 널리 애송되었고, 그의 향렴시를 모은 시집을 가지고 있지 않은 집이 없을 정도였다. 특히 그에게 있어서 사랑은 과거나 출세, 관직생활 등의 전통적인 자아실현의 가치보다도 더욱 우선하였기 때문에 그의 솔직하고 열정적인 감정을 읽어낼 수 있다.
    명말청초에 왕사정과 주이준과 같은 대시인들이 그의 향렴시를 익히고 모방하였고, 그가 자신의 향렴시를 엮은 ≪疑雨集≫을 모방한 시집이 계속해서 출간되었으며, 당시 비평가들 또한 그에 대한 비평을 반드시 남겼다. 청대 중엽에는 심덕잠과 원매를 비롯한 시론가들에 의해 그의 향렴시가 중국 정통시가의 노선을 따랐는가 이탈했는가에 대한 여부에 대한 치열한 논쟁이 될 정도였다. 따라서 왕언홍의 향렴시는 당시에 시가의 그 내용은 물론 표현기교에 이르기까지 큰 영향을 끼쳤다.
    명말의 향렴시는 염정시에 가깝다고 할 수 있지만, 청대에 들어와서는 단순히 사랑의 감정만을 노래한 것이 아니라, 전통 사회의 관념이 반영되어 있거나 또한 그러한 사회 분위기 가운데 사회모순을 고발하는 사실주의적 요소도 가지고 있다. 비교적 개방된 사회에 사는 오늘날 향렴시를 읽어보면 남녀의 사랑을 노래한 아름다운 서정시이지만, 봉건사회에서 예교주의를 중시하는 시대에 향렴시는 음난한 염정시로 여겨지기도 하였다. 이는 향렴시가 민간은 물론 문인들에게서도 주목을 받으며 생겨난 현상이었고, 바로 향렴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보완하는 측면에서 이러한 현상이 생겨났을 것으로 여겨진다.
  • 영문
  • The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and social environment at the end of the Ming Dynasty created a worldly atmosphere and harmonized with secularized trends. In particular, as the scale of consumption rose day by day due to the continuous prosperity of economy at the end of the Ming Dynasty, luxury and obscene trends became widespread, and traditional religiousism and moral values gradually collapsed. In particular, writers began to value human personality, dignity, and equality, and in this atmosphere, people focused more actively on expressing their individuality and desires. Therefore, making the alliance of men and women the main material of the market price became a social trend, and by tying it into poetry and distributing it widely,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Hyangryumsi was one of the important cultural contents of late Ming Dynasty and early Qing Dynasty society.
    A large number of female artists also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poetry of trousseau, and the works of female artists with great reputation at that time became influential enough to be created by male writers. In particular, for some male writers, it has become a trend to collect and weave a poetry of trousseau of female writers into poetry, and learning and imitating the works of many male writers became a trend. In this way, the trend of poetry of trousseau at the end of the Ming Dynasty was a cultural phenomenon in which women's voluntary and active creation of poetry of trousseau, the interest, support, and support of male writers matched.
    It can be said that the spice poem of the name is close to Love Poems, but in Qing Dynasty, it does not simply sing about the feelings of love, but also reflects the notions of traditional society or has a realistic element of accusing social contradictions in such a social atmosphere. Today, living in a relatively open society, poetry of trousseau is a beautiful lyric poem that sings about the love of men and women, but poetry of trousseau was also regarded as a savage salt poem in an era where Confucianism was emphasized in feudal society. This was a phenomenon that occurred not only by the private sector but also by literary people, and it is believed that this phenomenon occurred in terms of supplementing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poe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명말의 불안한 정국과 사회 환경은 말세적 분위기를 자아내었고, 세속화된 사조와 영합하였다. 특히 명말 강남 경제의 지속적인 번영으로 소비 규모가 날로 올라가면서 사치와 음란한 풍조가 만연하였고, 이에 따라 전통의 예교주의와 도덕적 가치관이 점차 허물어졌다. 특히 문인들도 인간의 개성과 인격의 존엄 및 평등의 가치를 중시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분위기에서 사람들은 더욱 적극적으로 자신들의 개성과 욕망을 표출하는데 주력하였다. 그래서 남녀의 연정을 시가의 주요 소재로 삼는 것이 하나의 사회 풍조가 되었는데, 이를 시집으로 묶어 널리 유통함으로써 향렴시의 창작과 유통은 명말청초 사회의 중요한 문화콘텐츠의 하나였다.
    향렴시 창작에는 여성작가들도 대거 참여하였고, 당시에 큰 명성을 가진 여성 작가들의 작품은 남성 문인들이 창화할 정도로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일부 남성 문인들은 여성 작가들의 향렴시를 모아 시집으로 엮는 것이 유행이 되었고, 적지 않은 남성 작가들의 여성 향렴시 작가들의 작품을 학습하여 모방하는 것이 하나의 트렌드가 될 정도였다. 이렇게 명말청초의 향렴시 유행은 여성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향렴시 창작과 남성 문인들의 관심과 지지, 그리고 후원이 맞아떨어진 문화 현상이었다.
    명말의 향렴시에 있어서 왕언홍은 최고의 족적을 남겼다. 왕언홍의 향렴시는 대체로 자신의 개인적인 연정과 이성관계를 직접 소재로 삼아 창작되었기에, 그 강한 리얼리티로 인해 당시에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가장 널리 애송되었고, 그의 향렴시를 모은 시집을 가지고 있지 않은 집이 없을 정도였다. 특히 그에게 있어서 사랑은 과거나 출세, 관직생활 등의 전통적인 자아실현의 가치보다도 더욱 우선하였기 때문에 그의 솔직하고 열정적인 감정을 읽어낼 수 있다.
    명말청초에 왕사정과 주이준과 같은 대시인들이 그의 향렴시를 익히고 모방하였고, 그가 자신의 향렴시를 엮은 ≪疑雨集≫을 모방한 시집이 계속해서 출간되었으며, 당시 비평가들 또한 그에 대한 비평을 반드시 남겼다. 청대 중엽에는 심덕잠과 원매를 비롯한 시론가들에 의해 그의 향렴시가 중국 정통시가의 노선을 따랐는가 이탈했는가에 대한 여부에 대한 치열한 논쟁이 될 정도였다. 따라서 왕언홍의 향렴시는 당시에 시가의 그 내용은 물론 표현기교에 이르기까지 큰 영향을 끼쳤다.
    명말의 향렴시는 염정시에 가깝다고 할 수 있지만, 청대에 들어와서는 단순히 사랑의 감정만을 노래한 것이 아니라, 전통 사회의 관념이 반영되어 있거나 또한 그러한 사회 분위기 가운데 사회모순을 고발하는 사실주의적 요소도 가지고 있다. 비교적 개방된 사회에 사는 오늘날 향렴시를 읽어보면 남녀의 사랑을 노래한 아름다운 서정시이지만, 봉건사회에서 예교주의를 중시하는 시대에 향렴시는 음난한 염정시로 여겨지기도 하였다. 이는 향렴시가 민간은 물론 문인들에게서도 주목을 받으며 생겨난 현상이었고, 바로 향렴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보완하는 측면에서 이러한 현상이 생겨났을 것으로 여겨진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활용계획

    (1) 학회 투고 및 등재지 이상 학술지에 게재 예정
    본 연구를 통하여 정리된 논문을 2022년 상반기에 중국문학 및 중국문화 관련 학회에 투고하여 심사를 거친 후 등재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2) 수업 및 강의 활용 계획
    본 연구자는 대학에서 중국문학사, 중국고전시가 등을 강의하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 얻어진 내용을 수업 시간에 강의를 통해 학생들과 함께 읽고 토론하여 중국시를 통해 중국 고대의 사회와 문화를 읽고 해석하고, 아울러 중국 문인들의 문학 표현 방법 등을 공유함으로써 학생들의 인문 소양과 문학 지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힘쓸 것입니다.

    (3) 대중인문학 강의 활용 계획
    본 연구자는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에서 주최하는 대중인문학 프로그램인 ‘지혜학교’에서 주임교수로 활동하고 있고, 2022년에도 2021년에 이어 대전시와 세종시의 시민대학 등에서 일반 대중을 상대로 인문학 강의를 수행할 계획으로 이번 연구를 통해 얻게 된 성과의 내용을 대중인문학 강의에 적극 활용할 계획입니다.

    2. 연구성과

    (1) 학회 투고 및 등재지 이상 학술지에 게재 예정
    본 연구는 현재 논문 작성 중이고, 70% 정도의 완성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빠른 시일 내에 논문을 완성하여 2022년 상반기에 중국문학 및 중국문화 관련 학회에 투고하여 심사를 거친 후 등재지에 게재하도록 하겠습니다.

    (2) 중국 시가 원형(原型) 연구 기초 구축
    본 연구자는 향후 중국 시가의 원형(原型)에 대한 연구 계획을 가지고 있고, 본 연구를 기초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향렴시는 단순한 염정시가 아닌 남녀의 사랑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감정과 의식을 담아내고 있고, 나아가 고대 전통 윤리의식이 반영되어 있으며, 그 표현기교에서도 은유와 함축미를 최고의 가치로 여기기에 이는 중국 시가의 원형을 찾는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시킬 만한 충분한 근거와 가치가 있습니다.

    (3) 대학 강의의 주요 담론 주제 활용
    본 연구자는 연구를 통하여 우리 시대 중요한 담론이자 화두 중의 하나인 페미니즘과 젠더 이슈 등의 분야에 대한 활발한 토론거리를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兩性平等 시대를 맞이하여 여성의 지위에 대한 관심이 활발한 시대에 옛 문인사대부들의 여성과 그 이슈에 대한 관심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현재 우리사회에 문학과 예술에 대한 담론을 통한 남녀의 장벽을 허물고 원활한 소통을 위한 문화콘텐츠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본 연구자는 중국문학 전공자로서, 대학에서 중국문학과 중국문화 관련 교과목을 강의하고 있습니다. 어문계열 특성상 여학생 비중이 높기 때문에 본 주제에서 다루는 내용은 수업에 중요한 토론과 과제의 주제로 삼고 있습니다. 본 연구와 함께 관련 분야에 관한 경극 및 현대 중국의 드라마, 영화 등을 학생들에게 소개하며 함께 시청하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자료와 지식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4) 연구 결과 심화 및 확대
    명말청초의 향렴시 연구는 당시 성행한 民歌와 詞 등의 장르에서 여성을 소재로 한 작품 연구와 연계하여 당시 사회문화의 단면과 문인사대부 문화의 실상 등으로 연구범위를 확대할 수 있습니다. 향렴시와 여성을 소재로 한 民歌와의 차이점과 그 각각의 유행 배경 및 관련성 등에 대해서 다양한 연구 주제를 발굴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본 연구자는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왕언홍의 향렴시에서 비중있게 다루어지는 부인들과의 문제에서 다양한 연구 주제를 발굴하였고, 이를 향후 연구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우리의 朝鮮 후기에 향렴시를 음란하다고 여기면서도 적지 않은 작가들이 향렴시를 짓곤 하였습니다. 또한 조선의 문인들이 청나라를 오가면서 적지 않은 향렴시를 전해 주거나, 청나라의 향렴시를 조선에 가져다 보급하기도 하였습니다. 향후 중국의 향렴시와 조선의 향렴시를 비교연구하는데 있어서 본 연구성과를 중요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합니다.
  • 색인어
  • 예술사회학, 근대성, 향렴시, 통속성, 염정시, 서정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