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무형 문화자원의 관광 정책적 활용을 위한 경제적 가치평가
Economic Value Evaluation for applying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to Tourism Polic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 #40;B유형& #41;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과제번호 2020S1A5B5A17090173
선정년도 2020 년
연구기간 1 년 (2020년 09월 01일 ~ 2021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안태홍
연구수행기관 & #40;사& #41;한국대학교육협의회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코로나 사태 이 후, 장소를 기반으로 한 관광사업의 쇄락 가능성에 대체적 방안으로서 현대 관광자원의 중요 부분을 차지하는 문화자원 중 무형문화자원은 장소이동성이 용이하고 IT 기술과의 결합으로 언컨택 상황에서의 여러 가지 확장성을 가지는 자원으로서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문화자원은 시장성립이 대단히 어렵고 특히나 스토리, 예술, 음악과 같은 무형의 형태를 가진 문화자원은 더욱 시장에서의 가치 측정이 어렵다. 그러므로 문화 자원에 어떠한 형태로든 가치를 지불하는 사용자가 특정 문화자원에 부여하는 경제적 가치나 이들 자원의 향유나 소비 과정에서 체험하는 효용(utility)의 측정은 쉽지 않다 (김사헌 2008).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무형 문화자원의 개별 매력도를 객관적 수치로 경제적 가치를 제시 하고자 한다.
    유용한 문화자원과 같은 유-무형적 형태 자원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는 기법은 Tietenberg (2003)에 따르면 크게 사용하거나 향유하는 소비자 행동을 통해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는 현시선호기법과 진술된자료를 이용하여 소비자들의 설문을 통해 경제적 방법을 추정하는 진술 선호 기법이 있다. 이를 응용하여 무형문화자원가치를 측정하는 적합한 방법을 탐색한다.
    특히 세계적으로 산업자본주의의 경제체재가 전환하면서 인문적 가치에 근간을 두는 소비적인 문화자본주의로 즉, 산업경제가 문화경제로 발전해 나가는 문화의 시대에는 부 창출의 가장 큰 원동력인 문화자원의 세계화를 추구하는 문화자원 개발 추진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
    더군다나 문화자원에 있어서 무형 문화자원의 존재는 유형문화자원의 근간과 뿌리일 뿐 아니라 그 시대의 지식정보, 생활양식, 풍물과 관습들이 통합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근원적 자산이며 관광 자원 중 주요한 자원 중 하나 이다. 이러한 무형문화자원의 정책적 활용에 대한 정책입안자들과 사업자들의 활용에 관한 관심은 증대했으나, 가치 측정이 가능한 활용 모델에 대한 전반적인 방법론과 실무적용을 위한 기반 연구가 결여 되어 있어 이 연구를 제안하게 되었다.
  • 기대효과
  • 본 연구 결과에 대한 학문적· 실무적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1 학문적 기대효과
    기존의 무형문화자원의 시장가치의 평가 등 경제적 평가부분에서의 연구는 선행 연구가 드물어 경제 가치 평가 모델 설정의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로 인해서 무형의 문화자원에 관한 가치 평가 모델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구축함으로서 자원의 정책적 활용에 용이성을 부여 할 수 있다.
    또한 관광의 무형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관광자의 홈타운에서 시작되는 소비로의 패러다임 전환의 방향성을 시도해 볼 수 있다. 장소이동성이 높은 무형문화인 스토리 콘텐츠의 상품가치가 장소에 기반을 두지 않고 어떤 장소에서도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문화자원은 세계화되어 소셜네트워크 산업으로 실시간으로 세계가 경험 할 수 있다.
    2 실무적 기대효과
    계량화된 문화 자원의 관리와 자원 활용의 효율성을 기술화된 전략적 차원에서 계획 할 수 있다. 모든 나라는 해당 문화자원만이 갖는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을 널리 알리는 전략과 정책을 모색함으로써 문화자원 자체의 고유성과 특수성을 바탕으로 그 정체성을 부각 시키며 세계 속의 문화가치를 확보해 나가는 것을 중요시 여긴다. 이에 더하여 주목할 사례는 타문화권의 무형문화자원도 먼저 선점하여 경제적 가치를 파악 하고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모델을 가지고 있는 국가나 기업이 문화적 기반의 부를 창출하게 된다. 할리우드는 아시아(뮬란), 아프리카(라인언킹) 등 타문화권이 문화자원으로 활용하지 못한 스토리를 콘텐츠 상품으로 만들어 원천자원이 있던 장소보다 더욱 경제적 가치의 활용을 잘해내고 있다.
  • 연구요약
  • 1 연구 목적
    기존에 문화 자원은 합리적인 측정이 불가능하고 보존 비용만 발생하며 처분의 대상이 되지 않아 자산으로 인식되지 않음에도 지자체에선 유지관리 책임에 따른 예산집행 때문에 재무제표 상 자산으로 기입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가치 측정문제는 여전히 논쟁이 되고 있다. 시장에서 형성된 화폐 가치로 교환 된 일부 문화 자산을 제외하고 무형의 문화자산은 취득가액이나 공정가액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기은주 외 4인 2008). 이에 문화자원의 개별 경제적 가치를 객관적 수치로 제시 해야만 사업과 정책을 추진해 나갈 수 있는 예산과 인력 조직 편성을 만들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고 관리와 기획 과정에서 향후 예상되는 비용과의 그 가치 비교를 통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
    2 연구내용
    문화자원의 경제 가치를 측정하려면 성립된 시장에서의 측정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Loomis & Walsh (1997) 에 따르면 문화 자원의 시장 성립은 어렵다 주장했다. 그러나 김사헌(2008)에 따르면 문화자원에 어떠한 형태로든 돈을 지불하는 사용자가 소비 과정에서 체험하는 경제적 가치나 효용은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선행 연구에서는 경제학자들은 문화 자원의 형태나 활용이 달라지면서 유발되는 사용자나 잠재 사용자의 수요와 선호의 변화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밖에 없었는데 이를 통해 해당 자원이 갖는 경제적 가치를 추정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간접적 파악이 아닌 비사용가치가 측정가능 한 진술 선호 기법에의 적용을 바탕으로 무형문화자원에 타당하고 적합한 가치 측정 방법을 도출 하고자 한다.
    3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선 비시장적 가치개념의 재화인 공공재 또는 환경재의 총가치 규정에 대한 많은 연구의 개념을 바탕으로 사용가치와 비사용가치로 경제적 총가치를 이루고 있는 무형문화자원에 대한 새로운 경제적인 가치 개념을 형성하여 이를 측정에 활용하고자 한다. 그리고 경제적 가치측정방법 중 Tietenberg (2003)이 주장하는 문화자원을 사용하거나 체험하는 소비자 행동을 통해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는 현시선호기법과 진술된 자료를 이용하여 소비자들의 설문을 통해 경제적 방법을 추정하는 진술 선호 기법 중 진술 선호 기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문화자원은 시장성립이 대단히 어렵고 특히나 아리랑과 같이 스토리, 예술, 음악과 같은 무형의 형태를 가진 문화자원일 경우 더욱 시장에서의 가치 측정이 어렵다. 그러므로 문화 자원에 어떠한 형태로든 가치를 지불하는 사용자가 특정 문화자원에 부여하는 경제적 가치나 이들 자원의 향유나 소비 과정에서 체험하는 효용(utility)의 측정이 쉽지 않다 (김사헌 2008).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무형 문화자원의 유형별 매력도를 객관적 수치로 경제적 가치를 제시 하고자 한다. 더군다나 문화자원에 있어서 무형 문화자원의 존재는 유형문화자원의 근간과 뿌리일 뿐 아니라 그 시대의 지식정보, 생활양식, 풍물과 관습들이 통합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근원적 자산이며 관광 자원으로도 파생 될 수 있는 주요한 자원 중 하나 이다. 이러한 무형문화자원의 정책적 활용에 대한 정책입안자들과 사업자들의 활용에 관한 관심은 증대했으나, 가치 측정이 가능한 활용 모델에 대해 전반적으로 구체적인 방법론과 실무적용을 위한 기반 연구가 결여 되어 있어 이 연구를 제안하게 되었다.

    이에 유용한 문화자원과 같은 유-무형적 형태 자원의 경제적 가치를 소비자들의 설문을 통해 경제적 방법을 추정하는 진술선호기법 중 조건부 가치추정법을 통하여 탐색한다. 본 연구는 무형문화자원에 관한 연구로서 장소이동성이 용이한 무형문화자원을 평가 대상으로 한다. 장소이동이 용이한 평가 대상은 아리랑으로 (스토리, 예술, 음악의 콘텐츠로서) 사용하였다. 이는 한국적 특성과 정체성을 대변하는 인지도가 높은 대표적 유형 자원이다. 아리랑의 형태별 가치 추정을 조건부가치 측정법(CVM)으로 응답자에게 제시하는 지불의사 금액을 사전조사 후 가상적 상황의 설문지를 작성해 응답자의 지불의사와 수요곡선을 이로부터 도출해 자원가치를 추정하였다.

    아리랑의 음악, 예술공연, 스토리 컨텐츠로서의 지불의사금액은 만 19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조건부가치평가법(CVM)을 적용하여 작성하였다. 기본적인 인구사회적 항목을 서두에 배치하고 응답자의 자원의 인식정도를 파악한 후 지불의사를 질문했다. 설문지는 아리랑을 뮤지컬이나 공연컨텐츠로 제작하는 것을 가상해, 현재 국내 공연 예술 분야, 콘서트와 뮤지컬 등에서 판매하고 있는 공연료 평균가격 중, 2019년~2022년 인기 콘서트 평균 최고가격과 국내 대극장 뮤지컬 티켓가격 범주인 VIP 140,000원 R석 120,000원 중극장 80,000원 소극장 R석 60,000원, S석 40,000원을 기준으로 정하여 5개의 가격대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영화화나 스토리 콘텐츠화하여 코로나가 불식 되지 않는 상활 속에서도 체험 사용할 수 있도록, 케이블과 모바일 TV 서비스인 인 B TV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모바일 과 케이블서비스 요금을 참조하여 7일간 대여 가격인 11,000원, 7,700원, 5,500원, 2,750원, 1,540원 으로 5개의 가격대로 구분 하여 질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금액은 아리랑의 공연 뮤지컬 재화와 모바일 TV에서의 컨텐츠로서 사용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중양분선택형 CVM을 이용하여 지불의사를 추정하는데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아리랑 가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중 아리랑문화를 체험 하려는 인식에서는 ‘아리랑의 역사적 상징성’,‘아리랑의 문화적 소통’,‘민족적 공감과 단결’ 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민족 정체성’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건부가치평가법(CVM)에 의한 가치추정을 위해 이중 양분선택법을 사용하여 아리랑의 뮤지컬이나 공연컨텐츠로 제작시 지불의사액은 45,337원으로 모바일 과 케이블TV 서비스 요금으로는 5,750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리랑에 대한 재화 유형별 인식도 및 이용의사에 대한 파악으로 아리랑의 뮤지컬, 공연, 모바일 TV 컨텐츠화 되어 문화 상품으로서 가시화되었을 때, 아리랑의 형태별 문화상품의 가치를 계량적으로 추정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와 차별화를 가졌다. 특히 현시대에 맞게 ‘아리랑 무형문화재’가 문화 상품화 되었을 때를 가상의 상황으로 설정하여 재화의 경제적 가치를 계량화를 추정하고자 한 것은 아리랑을 문화상품적 컨텍스트를 이용한 고유의 문형 문화재 상품화의 활성화에 기초자료 및 이론적 근거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성과를 통해 아리랑의 무형문화자원의 트렌드에 맞는 유형별 개별 시장 경제적 가치를 객관적 수치로 제시 할 수 있는 수치를 구할 수 있었다. 이렇게 수치화 계량화 해야만 사업과 정책을 추진해 나갈 수 있는 예산과 인력 조직 편성을 만들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고 관리와 기획 과정에서 향후 예상되는 비용과의 그 가치 비교를 통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 그리고 아리랑의 무형문화자원 형태 중 장소이동성이 높은 모바일 TV와 케이블 컨텐츠로서의 문화컨텐츠 상품으로서 자원 활용 가치를 순위로 유형별 정책을 추진해 나갈 때 자원의 관리와 복원, 문화관광 산업에서의 활용과정에서 향후 예상되는 비용과의 그 가치 비교를 통해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준다
  • 영문
  • Cultural resources are very difficult to establish a market, and especially if they are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such as stories, art, and music, it is more difficult to measure their value in the market. Therefore, it is not easy to measure the economic value that a user who pays value to a cultural resource in any form or the utility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enjoying or consuming these resources (Kim Sa-heon 2008)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present economic value as an objective value for the attractiveness of each type of intangible cultural resource. Furthermore, the existence of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in cultural resources is not only the basis and root of tangible cultural resources, but is also a fundamental asset that integrates knowledge information, lifestyles, customs, and is one of the main resources that can be derived as tourism resources. Interest in the use of policymakers and operators in the policy use of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has increased, but this study has been proposed because there is a lack of concrete methodology and basic research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value-measurable utilization models.

    The economic value of tangible or intangible resources such as cultural resources useful for this is explored through conditional value estimation among statement preference techniques that estimate economic methods through consumer surveys. This study is a study on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and targets the evaluation of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that are easy to move places. Arirang was used (as content of story, art, and music) as the evaluation target for easy location movement. This is a representative tangible resource with high recognition representing Korean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After a preliminary survey on the amount of willingness to pay respondents to estimate the value of Arirang by type (CVM), a virtual situation questionnaire was prepared to estimate the resource value by deriving the respondent's willingness to pay and demand curve from it.

    Arirang's willingness to pay as music, art performance, and story content was prepared by applying the Conditional Value Evaluation Act (CVM) for adults aged 19 or older. Basic demographic and social items were placed at the beginning,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respondents' resources was identified, and their intention to pay was questioned.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five prices based on the average price of popular concerts between 2019 and 2022, VIP 140,000 won, R 120,000 won, R 80,000 won, and S 40,000 won, among the average price of popular concerts in Korea. In addition, five prices were divided into 11,000 won, 7,700 won, 5,500 won, 2,750 won, and 1,540 won, which are rental prices for seven days, referring to mobile and cable TV service fees so that COVID-19 can be used even in daily life. In this study, the proposed amount was used to estimate the willingness to pay using double-quantum selective CVM as a means of evaluating the value of use as content in Arirang's performance musical goods and mobile TV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the variables that affect Arirang's value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Arirang's historical symbolism', 'Arirang's cultural communication', and 'national empathy and unity' all had a significant effect, and 'ethnic identity' was also significant. In order to estimate the value under the Conditional Value Assessment Act (CVM), the intention to pay KRW 45,337 when producing Arirang's musical or performance content using the double-quantum selection method was KRW 5,750 for mobile and cable TV service fees. This study differentiated itself from previous studies by quantitatively estimating the value of Arirang's cultural products by form when it was visualized as a cultural product by becoming Arirang's musical, performance, and mobile TV content by understanding the perception and intention of using Arirang. In particular, the attempt to estimate the economic value of goods by setting the situation as a virtual situation when "Arirang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was commercializ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era can be presented as basic data and theoretical basis for the activation of Arirang's unique literary cultural property commercialization using the context.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obtain figures that could present the economic value of individual markets by type suitable for the trend of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of Arirang as objective figures. Only by quantifying and quantifying in this way can it be the basis for creating a budget and manpower organization to promote projects and policies, and can make appropriate decisions through comparison of values with expected costs in the management and planning process. As a cultural content product of mobile TV and cable contents with high mobility among the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of Arirang, it provides a basis for making efficient decisions by comparing the value of resource management, restoration, and utilization in the cultural tourism industr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문화자원은 시장성립이 대단히 어렵고 특히나 아리랑과 같이 스토리, 예술, 음악과 같은 무형의 형태를 가진 문화자원일 경우 더욱 시장에서의 가치 측정이 어렵다. 그러므로 문화 자원에 어떠한 형태로든 가치를 지불하는 사용자가 특정 문화자원에 부여하는 경제적 가치나 이들 자원의 향유나 소비 과정에서 체험하는 효용(utility)의 측정이 쉽지 않다 (김사헌 2008).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무형 문화자원의 유형별 매력도를 객관적 수치로 경제적 가치를 제시 하고자 한다. 더군다나 문화자원에 있어서 무형 문화자원의 존재는 유형문화자원의 근간과 뿌리일 뿐 아니라 그 시대의 지식정보, 생활양식, 풍물과 관습들이 통합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근원적 자산이며 관광 자원으로도 파생 될 수 있는 주요한 자원 중 하나 이다. 이러한 무형문화자원의 정책적 활용에 대한 정책입안자들과 사업자들의 활용에 관한 관심은 증대했으나, 가치 측정이 가능한 활용 모델에 대해 전반적으로 구체적인 방법론과 실무적용을 위한 기반 연구가 결여 되어 있어 이 연구를 제안하게 되었다.

    이에 유용한 문화자원과 같은 유-무형적 형태 자원의 경제적 가치를 소비자들의 설문을 통해 경제적 방법을 추정하는 진술선호기법 중 조건부 가치추정법을 통하여 탐색한다. 본 연구는 무형문화자원에 관한 연구로서 장소이동성이 용이한 무형문화자원을 평가 대상으로 한다. 장소이동이 용이한 평가 대상은 아리랑으로 (스토리, 예술, 음악의 콘텐츠로서) 사용하였다. 이는 한국적 특성과 정체성을 대변하는 인지도가 높은 대표적 유형 자원이다. 아리랑의 형태별 가치 추정을 조건부가치 측정법(CVM)으로 응답자에게 제시하는 지불의사 금액을 사전조사 후 가상적 상황의 설문지를 작성해 응답자의 지불의사와 수요곡선을 이로부터 도출해 자원가치를 추정하였다. 아리랑의 음악, 예술공연, 스토리 컨텐츠로서의 지불의사금액은 만 19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조건부가치평가법(CVM)을 적용하여 작성하였다. 기본적인 인구사회적 항목을 서두에 배치하고 응답자의 자원의 인식정도를 파악한 후 지불의사를 질문했다. 설문지는 아리랑을 뮤지컬이나 공연컨텐츠로 제작하는 것을 가상해, 현재 국내 공연 예술 분야, 콘서트와 뮤지컬 등에서 판매하고 있는 공연료 평균가격 중, 2019년~2022년 인기 콘서트 평균 최고가격과 국내 대극장 뮤지컬 티켓가격 범주인 VIP 140,000원 R석 120,000원 중극장 80,000원 소극장 R석 60,000원, S석 40,000원을 기준으로 정하여 5개의 가격대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영화화나 스토리 콘텐츠화하여 코로나가 불식 되지 않는 상활 속에서도 체험 사용할 수 있도록, 케이블과 모바일 TV 서비스인 인 B TV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모바일 과 케이블서비스 요금을 참조하여 7일간 대여 가격인 11,000원, 7,700원, 5,500원, 2,750원, 1,540원 으로 5개의 가격대로 구분 하여 질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금액은 아리랑의 공연 뮤지컬 재화와 모바일 TV에서의 컨텐츠로서 사용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중양분선택형 CVM을 이용하여 지불의사를 추정하는데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아리랑 가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중 아리랑문화를 체험 하려는 인식에서는 ‘아리랑의 역사적 상징성’,‘아리랑의 문화적 소통’,‘민족적 공감과 단결’ 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민족 정체성’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건부가치평가법(CVM)에 의한 가치추정을 위해 이중 양분선택법을 사용하여 아리랑의 뮤지컬이나 공연컨텐츠로 제작시 지불의사액은 45,337원으로 모바일 과 케이블TV 서비스 요금으로는 5,750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리랑에 대한 재화 유형별 인식도 및 이용의사에 대한 파악으로 아리랑의 뮤지컬, 공연, 모바일 TV 컨텐츠화 되어 문화 상품으로서 가시화되었을 때, 아리랑의 형태별 문화상품의 가치를 계량적으로 추정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와 차별화를 가졌다. 특히 현시대에 맞게 ‘아리랑 무형문화재’가 문화 상품화 되었을 때를 가상의 상황으로 설정하여 재화의 경제적 가치를 계량화를 추정하고자 한 것은 아리랑을 문화상품적 컨텍스트를 이용한 고유의 문형 문화재 상품화의 활성화에 기초자료 및 이론적 근거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의 성과를 통해 아리랑의 무형문화자원의 트렌드에 맞는 유형별 개별 시장 경제적 가치를 객관적 수치로 제시 할 수 있는 수치를 구할 수 있었다. 이렇게 수치화 계량화 해야만 사업과 정책을 추진해 나갈 수 있는 예산과 인력 조직 편성을 만들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고 관리와 기획 과정에서 향후 예상되는 비용과의 그 가치 비교를 통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 그리고 아리랑의 무형문화자원 형태 중 장소이동성이 높은 모바일 TV와 케이블 컨텐츠로서의 문화컨텐츠 상품으로서 자원 활용 가치를 순위로 유형별 정책을 추진해 나갈 때 자원의 관리와 복원, 문화관광 산업에서의 활용과정에서 향후 예상되는 비용과의 그 가치 비교를 통해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준다

    활용방안 으로는 첫째, 기존의 무형문화자원의 시장가치의 평가 등 경제적 평가부분에서의 연구는 선행 연구가 드물어 경제 가치 평가 모델 설정의 어려움이 있었다. 문화예술분야에서 아리랑을 가치평가로 다룬 연구가 존재 한다( 류영호 2019). 이는 출생 거주지에 의해 밀양 아리랑에 대한 지불의사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에 한정 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아리랑이라는 무형의 문화자원의 유형별 기본적인 가치 평가 모델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아리랑 문화 자원을 어떻게 상품유형별로 정책적 활용을 하느냐 하는 문제에 있어 경제적 가치를 알아보는 용이성을 부여 하였다. 이는 문화유산의 속성만 파악 된다면 다양한 상품으로 개발 할 수 있는 후속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학술적 가치를 제공할 것이다.

    둘째, 이러한 아리랑과 같은 무형문화자원의 형태별 계량화를 통하여 향후 무형문화자원의 범주를 분류하여 관리할 때 무형의 자산을 수치화된 기준근거를 활용하여 관리 할 수 있고 무형문화자원의 가치를 비교․분석할 수 있는 선행연구로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아리랑이라는 무형 문화자원을 영화나 스토리 컨텐츠 등 모바일과 TV 매체 상품으로 활용하여 이용자의 거주공간에서 시작되는 소비로의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방향성을 제기 해 볼 수 있다. 장소이동이 용이한 아리랑이라는 무형문화재의 스토리 콘텐츠 등의 상품가치가 장소에 기반을 두지 않고 어떤 장소에서도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김동영 외 2인2018). 이렇게 문화자원은 세계인 이 공감 하는 컨텐츠로만 만들어 진다면 되어 Netflix 의해 실시간으로 세계가 경험 할 수 있다

    기대효과로서 무형문화자원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는 첫째, 무형문화자원의 경제적 가치에 대한 재무재표 상 자산으로 관리가 가능하다. 무형문화자원의 유형별 지불의사금액은 다르므로, 유형별 가치평가의 차이유무를 검증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둘째, 무형문화 자원의 가치를 추정할 수 있는 유형별 최적 로짓모형을 선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아울러 가치추정모형을 설명할 수 있는 결정요인을 확인해내고, 어느 변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셋째, 가치평가방법을 이용하여 아리랑 무형문화자원의 형태별 상품에 대한 활용과 관리 보존의 필요성을 계량화된 지표를 통하여 각 관리 주체들이 적절한 예산을 편성하고 관리 기획 활용 할 수 있다.
  • 색인어
  • 아리랑 무형문화자원 조건부 가치측정법(CVM Contingent Valuation Method) 이중양분선택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