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공급사슬역량이 공급사슬위험관리와 공급사슬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ply Chain Capabilities on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and Supply Chain Performanc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 #40;B유형& #41;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과제번호 2020S1A5B5A17090480
선정년도 2020 년
연구기간 1 년 (2020년 09월 01일 ~ 2021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종훈
연구수행기관 & #40;사& #41;한국대학교육협의회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코로나19로 인한 이동제한·격리·감염 등은 글로벌 기업들이 부품 생산과 공급 네트워크를 전세계에 구축하고 있는 상황에서 부품 공급물량 차질에 따른 공급 감소뿐만 아니라, 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수요 감소를 일으켜 제조업 공금사슬 전반에 위기를 심화시키고 있다(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이나 자연재해로 인해 글로벌공급사슬(Global Supply Chain)이 단절되거나 붕괴되는 사례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글로벌 공급사슬구조를 통해 전이된 공급 충격과 수요 충격으로 인해 전 세계 산업계와 공급사슬에까지 도미노식 위기가 이어짐에 따라, 공급사슬의 변화는 불가피할 전망이다(하나금융연구소, 2020). 따라서 팬데믹 이후 기업들의 공급사슬관리와 대응전략 모색을 위한 실증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위기관리 능력이 뛰어난 기업이 위기와 피해를 조기 차단함으로써 이를 반전시킬 수도 있다(최정욱, 2005).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부 연구목적을 갖고 있다.
    첫째, 공급사슬역량과 공급사슬위험관리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와 실무자 인터뷰를 기반으로 통합된 공급사슬역량의 하위요인들을 도출한다. 이를 위한 선행연구 분야는 자원기반관점과 동적역량 및 거래비용관점 등을 비롯하여 공급사슬 및 공급사슬회복탄력성을 포함한 공급사슬위험관리에 관한 문헌검토이다.
    둘째, 본 연구는 도출한 통합된 공급사슬역량을 위기상황에서뿐만 아니라 경쟁우위를 가져다 줄 수 있는 핵심역량(core competence)이 될 수 있는지를 규명한다. 핵심역량이란, 기업이 경쟁우위를 개발 유지하는데 필요한 기술, 기능, 자산, 그리고 관리 절차 등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기업의 능력과 장점이라 할 수 있다(Prahlad and Hamel, 1990).
    셋째, 본 연구는 공급사슬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실증적 효과를 규명한다. 기업들은 공급사슬위험관리가 중장기적 측면에서 공급사슬위험관리를 통해 얻는 성과가 크지 않다 여겨 투자가 미흡한 측면이 있다(양정호, 2008; 김진수 등, 2014).
    마지막으로 공급사슬의 위기 상황에서 발현될 수 있는 기회주의적 행동의 영향을 규명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교환이론을 바탕으로 공급사슬관계에서 조절 및 매개역할로서 기회주의적 행동이 미치는 영향 실증적으로 확인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한 기대효과는 학문적 그리고 실무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학문적 기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위기상황에서 기업들의 공급사슬역량 차이에 따라 경쟁의 판도가 달라졌는지에 대해 이론적 기틀로서 자원기반관점과 동적역량, 거래비용이론과 기회주의적 행동, 사회교환이론에 근거하여 실증적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상을 설명한다.
    둘째, 기존연구들은 공급사슬관리와 공급사슬위험관리를 별도로 분리하여 각각의 활동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별개로 구분하여 접근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공급사슬역량에 공급사슬위험관리 영역을 포괄하여 제시함으로써 기존 공급사슬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높였다
    셋째, 본 연구는 기존에 진행되어 왔던 기회주의적 행동 발현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생산운영관리 분야에 행동연구(behavior research)분야를 반영하여 지금보다 폭넓은 학문적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한편, 본 연구의 실무적 기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전반적인 산업경제가 침체기에 접어든 상황에서 이러한 위기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의적절하다.
    둘째,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지속가능한 공급사슬관리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새로운 경쟁우위의 원천을 탐색하고 창출할 수 있는 기회의 초석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셋째, 구매자와 공급자 모두에게 올바른 공급사슬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노력 방안을 제시하고 지속적이고 협력적인 공급사슬관계 구축방안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경영자들은 공급사슬 위험에 대처하기 위한 전략수립을 위한 세부방안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학문적·사회적 기여점을 학술대회발표, 학술지 게재, 세미나 개최 등을 통해 학계와 현업에 연구결과를 전파하여 공유함으로써 포스트 코로나 이후 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을 마련하여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 연구요약
  • 글로벌 공급사슬구조를 통해 전이된 공급 충격과 수요 충격으로 인해 전 세계 산업계와 공급사슬에까지 도미노식 위기가 이어짐에 따라, 공급사슬의 변화는 불가피할 전망이다(하나금융연구소, 2020). 따라서 팬데믹 이후 기업들의 공급사슬관리와 대응전략 모색을 위한 실증연구가 필요하다. 위기관리 능력이 뛰어난 기업이 위기와 피해를 조기 차단함으로써 이를 반전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최정욱, 2005). 따라서 위기에 대한 기업들의 공급사슬관리 역량 차이에 따라 코로나19 사태 회복 이후 시장에서의 경쟁 판도는 달라질 수 있다.
    공급사슬위험관리란 공급사슬위험 요인을 예방 및 예측하는 한편 위험을 식별하고 이를 통제하고자 공급사슬 내 이해당사자들이 조정 및 협업하여 피해 최소화하기 위한 의사결정이다(조성원 2013; 윤국 등, 2015; Dani and Ranganathan 2008).
    기존 공급사슬위험관리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내·외부 위험요인, 위험관리프로세스, 공급사슬위험 관리 전략 및 위험관리전략과 성과 간 관계에 관한 연구(Juttner and Maklan, 2011; 김동정과 이영재, 2014). 또는 위험관리를 단계적 프로세스로 구분하고 성과 간 관계를 연구하고 있다(조성원, 2013).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직 내부와 외부 간 협력관계에 대한 실증연구는 미흡한 측면이 있다(남현정과 이상현, 2017).
    이에 본 연구는 공급사슬위기관리로 한정하지 않고 이를 포함한 포괄적 공급사슬역량(supply chain competence, SCC)을 경쟁우위로서 바라보고 이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로 자원기반관점(Barney, 1991)과 동적역량관점(Teece et al., 1997), 거래비용이론(기회주의적 행동), 사회교환이론에 기초하여 연구 필요성을 제안한다.
    본 연구목적은 공급사슬 전반의 위기상황에서 출구 전략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기존 이론들에 기초하여 공급사슬역량을 밝히고자 한다.
    공급사슬위험관리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내·외부 위험요인, 위험관리프로세스, 공급사슬위험 관리 전략 및 위험관리전략과 성과 간 관계에 관한 연구(Dani, 2008; Juttner and Maklan, 2011; 김동정과 이영재, 2014), 또는 위험관리를 단계적 프로세스로 구분하고 성과 간 관계를 연구하거나(조성원, 2013) 공급사슬위험관리를 구조와 문화로 구분하여 접근하고 있다(남현정과 이상현, 2017). 김동현과 김석태(2017)는 공급사슬 리스크 관리 성숙도 모형을 이용하여 리스크 인식, 관리방법 및 관리방안이 성과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Juttner and Maklan (2011)은 공급사슬회복탄력성, 공급사슬취약성 및 공급사슬위험관리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Christopher and Peck (2004)은 공급사슬의 회복탄력성의 원리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앞서 제시한 이론에 근거하여 다양한 실증연구를 검토하여 공급사슬위험의 수준과 공급사슬성과 간 관계에서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통합적 공급사슬역량을 도출하고, 이러한 공급사슬역량이 공급사슬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한다. 또한, 기회주의적 행동의 발현 수준과 이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한다. 이를 위한 연구추진전략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급사슬, 공급사슬위험관리, 자원기반관점과 동적역량 및 거래비용관점(기회주의행동), 사회교환이론과 관련한 선행연구 검토와 실무자 인터뷰를 중심으로 공급사슬역량 변수를 도출하는 한편,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제안한다.
    둘째, 개발 문항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해 예비조사(pilot-test)를 실시하고 이후 자기보고법방식에 의한 최종 설문지를 작성, 배포 및 회수한다.
    셋째,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기술통계를 비롯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다양하고 복잡한 구성개념들 간 인과관계 분석 시에 동시추정이 가능한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한다.
    마지막으로, 검증된 연구결과를 국내외 학술대회에서 발표하고 학술지에 게재하여 학계와 산업계에 전파하고 공유하는 노력을 기울인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글로벌 공급사슬 구축에 따른 공급사슬의 복잡성 증대와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이나 자연재해 등으로 인하여 공급사슬이 단절되거나 붕괴되는 상황에서 공급사슬관리 방안을 모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기존 공급사슬역량에 대한 3가지 관점에 공급사슬위험관리 포함시켜 4가지 구성요소로 확장하였다. 이와 같은 공급사슬역량에 영향을 받는 후행요인으로 공급사슬능력(민첩성과 강건성)을 제안하였으며, 공급사슬능력은 공급사슬성과와 공급사슬위험관리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제안하였다. 분석결과 공급사슬역량은 공급사슬능력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공급사슬능력은 공급사슬성과 뿐만 아니라 공급사슬위험관리성과에도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대비한 공급사슬관리를 검토할 필요가 있는 상황에서 출구전략을 모색하는 기업들에게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다.
  • 영문
  • This study is a study on how to manage the supply chain in a situation where the supply chain is cut off or disrupted due to the increase in supply chain complexity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global supply chain and an infectious disease such as COVID-19 or natural disaster. To this end,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was included in the three perspectives of the existing supply chain competence and expanded into four components. Supply chain capability(agility and robustness) is proposed as a lagging factor affected by such supply chain competence, and the hypothesis that supply chain capability woul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pply chain performance and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performance was propo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upply chain compet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pply chain capability. And it was confirmed that supply chain capabil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pply chain performance as well as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performance. This study suggest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companies seeking an exit strategy in a situation where it is necessary to review supply chain management in preparation for the prolonged COVID-19 crisi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글로벌 공급사슬 구축에 따른 공급사슬의 복잡성 증대와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이나 자연재해 등으로 인하여 공급사슬이 단절되거나 붕괴되는 상황에서 공급사슬관리 방안을 모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기존 공급사슬역량에 대한 3가지 관점에 공급사슬위험관리 포함시켜 4가지 구성요소로 확장하였다. 이와 같은 공급사슬역량에 영향을 받는 후행요인으로 공급사슬능력(민첩성과 강건성)을 제안하였으며, 공급사슬능력은 공급사슬성과와 공급사슬위험관리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제안하였다. 분석결과 공급사슬역량은 공급사슬능력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공급사슬능력은 공급사슬성과 뿐만 아니라 공급사슬위험관리성과에도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대비한 공급사슬관리를 검토할 필요가 있는 상황에서 출구전략을 모색하는 기업들에게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로 촉발된 공급사슬에서의 위기관리에 대한 문제인식에서 시작하여, 이러한 위기관리가 이제는 한시적 사건에 국한되지 않고 공급사슬의 복잡성으로 인해 빈번해지고 있음을 문제점으로 인식하면서 출발한 연구이다. 즉, 본 연구는 위기의 연속선상에 처하게 된 기업들이 공급사슬위험관리를 포괄한 공급사슬역량을 갖출 필요성에서 제기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광범위한 문헌연구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공급사슬역량을 기존 3가지에서 공급사슬위험관리를 포괄한 4가지 관점에서 접근하여 제안하였다. 그리고 공급사슬역량을 통해 발현될 수 있는 공급사슬능력은 민첩성과 강건성을 구분하여 제안하였고, 이러한 공급사슬능력이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공급사슬성과 뿐만 아니라 공급사슬위험관리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날로 증대되어가는 현상에서 공급사슬위험관리 영역을 한시적 사건에 대비하기 위한 컨티전시 플랜으로 구축하기 보다 상시적으로 사건에 대비할 수 있는 체계로서 구축하였을 때 더 나은 공급사슬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급사슬위험에서도 상대적으로 더 나은 위치를 마련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색인어
  • 공급사슬관리, 공급사슬위험관리, 공급사슬역량, 공급사슬능력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