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중학생의 교과흥미 및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교수 및 평가 실제와 학생의 학습자 특성 분석: 다층모형분석 활용
Effects of Teacher' Teaching and Assessment Practices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on Student' Subject-Specific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Using HL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 #40;B유형& #41;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과제번호 2020S1A5B5A17090567
선정년도 2020 년
연구기간 1 년 (2020년 09월 01일 ~ 2021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유신복
연구수행기관 경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우리나라는 OECD PISA 2015 평가에서 주영역인 과학에서 평균 점수 516점으로 OECD 35개 회원국(평균 점수 493점) 중 5∼8위의 성취를 기록하였다. PISA 2012와 비교하면 평균 점수가 22점 하락(538점→516점), 순위 구간에서는 2∼4위에서 5∼8위로 하향된 것이다(OECD, 2016). 이러한 성적의 하락에는 여러 분석이 가능하겠지만, 우리나라 학생들이 PISA 평가에서 교과 학습에 대한 흥미, 동기, 효능감, 자아개념 등에 있어 지속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인 현상과 무관하지 않다. PISA 2015에서 우리나라는 과학의 즐거움(-0.14), 과학에 대한 흥미(-0.07), 과학교육에 대한 도구적 동기(0.03), 과학에서의 자아 효능감(-0.02), 과학에 대한 활동(-0.28) 등 과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있어 OECD 평균 보다 낮게 나타났다(OECD, 2016). 또한 4년 주기로 반복 실시되는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2015 결과에 따르면, 중학교 2학년의 수학․과학이 이전 주기인 TIMSS 2011과 유사하게 수학 2위, 과학 4위의 성취도 수준을 보였다(상경아 외, 2016). 그러나 학생 수준의 교육맥락변인으로 학생 특성 변인을 조사하여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학․과학 성취도 상위 15개국과 비교할 때 우리나라 학생의 수학․과학 학습에 대한 인식, 교과에 대한 자신감, 교과 학습에 대한 흥미 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정규 수업시간 이외의 방과후 학습시간이 길고 사교육비 지출이 높을 뿐 아니라 학교에서 느끼는 행복감이 매우 낮은 편에 속하며 우리나라 청소년의 자살률은 28.4%로 34개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OECD, 2010).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 학생의 인지적 성취와 정의적 특성의 불균형은 교육장면에서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 가운데 하나로 인식될 수 있다.
    학업성취와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요소들 가운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교과 흥미이다(우연경, 김성일, 2015). 교과에 흥미를 느끼는 학습자는 수업시간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더 높은 성취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송주연, Yi Jiang, 김성일, 2013).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의 핵심은 가르치고 배우는 일이며, 교사와 학생의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과 수업에서의 상호작용이다. 동일한 교과일지라도 교사가 어떠한 교수방법 및 평가방법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상이할 수 있다. 교사가 가진 특성은 자신이 수행하는 다양한 교수 활동과 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의 학습에도 영향을 미친다. So(2009)의 연구에서는 교사보다 학생이 수업환경을 어떻게 지각하느냐가 학생의 교과 흥미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의 평가 활동이 학습내용과 학습방법과 잘 연계될 때, 학생의 성취도와 동기는 향상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McMillan(2013)은 좋은 교사란 학습목표에 비추어 학생들을 끊임없이 평가하고, 평가 정보에 기반하여 자신의 수업을 교정할 수 있는 교사라고 정의하며 교사의 이러한 활동은 학생들의 동기를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인지적 성취와 직접적인 관련을 갖는다고 논의하였다. 또한 교사의 평가활동을 단순히 학습결과에 대한 평가(Assessment Of Learning: AOL)의 관점을 넘어서 교수학습단계별로 시행될 수 있는 평가활동에 주목하는 학습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 AFL)의 유용성이 재조명되고 있는 최근 동향을 고찰해볼 때에도 교실맥락 속에서 평가의 중요성은 강조될 수 있다(손원숙 외, 2014 재인용).
    본 연구는 학교 장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교수방법 및 평가 실제(classroom assessment practice)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한국교육종단자료(KELS)를 사용하여 교사의 교실 실제와 학생의 정의적·인지적 성취 간의 관련성에 관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생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교실 수업 방법 및 평가방법 개선, 지원 방안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연구의 결과를 통한 기대효과 및 결과 활용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중학생의 정의적 및 인지적 양상을 탐색하여 보다 적응적인 학습자로의 적응을 위한 교육적 개입 및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교과별 흥미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평가실제라는 경험적인 증거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교사 및 학생의 2수준에서의 영향 변인 탐색으로 학생의 인지 및 정의적 성취에 대한 유용성을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의 교사의 교수 및 평가활동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교사가 시행하는 교수 및 평가방법의 빈도, 유형, 활용도에 따른 학생들의 교과 흥미 및 학업 성취도의 차이를 경험적으로 확인함으로서, 교사의 교수 및 평가 실제에 있어서의 약점과 강점 등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정보는 교사의 양성 및 재교육 프로그램에서 교사의 평가 전문성(teachers' Assessment Literacy)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교과별 교수학습 지원 프로그램 및 교사 직무연수 과정 개발의 기초자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과 교사 친화적인 교실 수업 개선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를 토대로 교수 및 평가의 역할을 확인하고, 교과별 비교를 통하여 공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과별로 특수한 교수 및 평가방법이 학생들의 교과 흥미 및 학업성취도에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에 특정 교과에 따라 차별화된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시도 수준에서 각 교과별로 교실수업 및 평가 방안과 관련한 정책을 수립하고자 할 때, 경험적인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우리나라 학생의 인지적 성취와 정의적 특성의 불균형은 교육장면에서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 가운데 하나로 인식될 수 있다. 교사의 평가 활동이 학습내용과 학습방법과 잘 연계될 때, 학생의 성취도와 동기는 향상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McMillan(2013)은 좋은 교사란 학습목표에 비추어 학생들을 끊임없이 평가하고, 평가 정보에 기반하여 자신의 수업을 교정할 수 있는 교사라고 정의하며 교사의 이러한 활동은 학생들의 동기를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인지적 성취와 직접적인 관련을 갖는다고 논의하였다. 또한 교사의 평가활동을 단순히 학습결과에 대한 평가(Assessment Of Learning: AOL)의 관점을 넘어서 교수학습단계별로 시행될 수 있는 평가활동에 주목하는 학습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 AFL)의 유용성이 재조명되고 있는 최근 동향을 고찰해볼 때에도 교실맥락 속에서 평가의 중요성은 강조될 수 있다(손원숙 외, 2014 재인용). 본 연구는 학교 장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교수방법 및 평가 실제(classroom assessment practice)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한국교육종단자료(KELS)를 사용하여 교사의 교실 실제와 학생의 정의적·인지적 성취 간의 관련성에 관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크게 ‘1) 교사의 교수방법 및 평가방법의 실태 분석, 2) 학생의 교과흥미 및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교수방법 및 평가실제와 학생의 학습자특성 탐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추가적인 선행연구 탐색 및 기초자료 분석 등을 통하여 본 연구모형은 좀 더 세련화시킬 예정이며, 교사의 교수 및 평가 방법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교사 및 학생의 배경변인과 같은 통제변인을 모형에 투입할 예정이다. 분석 모형으로는 자료의 위계적 성격을 고려하여서 2수준 HLM 분석 모형을 활용할 예정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우리나라 학생의 인지적 성취와 정의적 특성의 불균형은 교육장면에서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 가운데 하나로 인식될 수 있다. 교사의 평가 활동이 학습내용과 학습방법과 잘 연계될 때, 학생의 성취도와 동기는 향상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McMillan(2013)은 좋은 교사란 학습목표에 비추어 학생들을 끊임없이 평가하고, 평가 정보에 기반하여 자신의 수업을 교정할 수 있는 교사라고 정의하며 교사의 이러한 활동은 학생들의 동기를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인지적 성취와 직접적인 관련을 갖는다고 논의하였다. 교사의 평가활동을 단순히 학습결과에 대한 평가(Assessment Of Learning: AOL)의 관점을 넘어서 교수학습단계별로 시행될 수 있는 평가활동에 주목하는 학습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 AFL)의 유용성이 재조명되고 있는 최근 동향을 고찰해볼 때에도 교실맥락 속에서 평가의 중요성은 강조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교 장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교수방법 및 평가 실제(classroom assessment practice)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교사의 교실 실제와 학생의 정의적·인지적 성취 간의 관련성에 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크게 ‘1) 교사의 교수방법 및 평가방법의 실태 분석, 2) 학생의 교과흥미 및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교수방법 및 평가실제와 학생의 학습자특성 탐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탐색하여, 연구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영문
  • The imbalance of cognitive and affective achievement of Korean students can be recognized as one of the important problems that must be solved in the educational scene. It is reported that when the teacher's assessment practice is well linked with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 class, student achievement and motivation are improved. McMillan (2013) suggests that a good teacher is a teacher who constantly evaluates students in light of their learning goals and revises their classes based on the evaluation information. It was discussed that teachers' teaching and assessment activities improve students' motivation and ultimately have a direct relationship with cognitive achievement.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lassroom practice and students' affective and cognitive achievements by paying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eachers' classroom assessment practice in the school setting. In order to carry out the research plan, previous studies were researched and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explor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우리나라 학생의 인지적 성취와 정의적 특성의 불균형은 교육장면에서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 가운데 하나로 인식될 수 있다. 교사의 평가 활동이 학습내용과 학습방법과 잘 연계될 때, 학생의 성취도와 동기는 향상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McMillan(2013)은 좋은 교사란 학습목표에 비추어 학생들을 끊임없이 평가하고, 평가 정보에 기반하여 자신의 수업을 교정할 수 있는 교사라고 정의하며 교사의 이러한 활동은 학생들의 동기를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인지적 성취와 직접적인 관련을 갖는다고 논의하였다. 교사의 평가활동을 단순히 학습결과에 대한 평가(Assessment Of Learning: AOL)의 관점을 넘어서 교수학습단계별로 시행될 수 있는 평가활동에 주목하는 학습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 AFL)의 유용성이 재조명되고 있는 최근 동향을 고찰해볼 때에도 교실맥락 속에서 평가의 중요성은 강조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교 장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교수방법 및 평가 실제(classroom assessment practice)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교사의 교실 실제와 학생의 정의적·인지적 성취 간의 관련성에 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크게 ‘1) 교사의 교수방법 및 평가방법의 실태 분석, 2) 학생의 교과흥미 및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교수방법 및 평가실제와 학생의 학습자특성 탐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선행연구 탐색을 통해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분석하여 연구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기대효과 및 결과 활용 계획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중학생의 정의적 및 인지적 양상을 탐색하여 보다 적응적인 학습자로의 적응을 위한 교육적 개입 및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교과별 흥미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평가 실제라는 경험적인 증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영향 변인 탐색으로 학생의 인지 및 정의적 성취에 대한 유용성을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교수 및 평가활동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교사가 시행하는 교수 및 평가방법의 빈도, 유형, 활용도에 따른 학생들의 교과 흥미 및 학업 성취도의 차이를 경험적으로 확인함으로서, 교사의 교수 및 평가 실제에 있어서의 약점과 강점 등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즉, 이러한 정보는 교사의 양성 및 재교육 프로그램에서 교사의 평가 전문성(teachers' Assessment Literacy)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교과별 교수학습 지원 프로그램 및 교사 직무연수 과정 개발의 기초자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과 교사 친화적인 교실 수업 개선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를 토대로 교수 및 평가의 역할을 확인하고, 교과별 비교를 통하여 공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과별로 특수한 교수 및 평가방법이 학생들의 교과 흥미 및 학업성취도에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에 특정 교과에 따라 차별화된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시도 수준에서 각 교과별로 교실수업 및 평가 방안과 관련한 정책을 수립하고자 할 때, 경험적인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교수 및 평가 실제, 교과흥미, 학업성취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