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金昌翕의 樓亭詩에 나타난 歷史認識과 悲哀感
Historical awareness and sadness in the Pavilion Poems of Kim Chang-Heup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 #40;B유형& #41;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과제번호 2020S1A5B5A17091874
선정년도 2020 년
연구기간 1 년 (2020년 09월 01일 ~ 2021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심권
연구수행기관 영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첫째, 누정은 문인들에게 있어 중요한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누정시 또한 지역, 시기, 인물 등을 중심으로 다각도에서 논의되어 유의미한 성과를 냈다. 그러나 김창흡의 누정시에 대한 연구는 치밀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때문에 이 연구는 김창흡의 누정시를 분석하여, 누정시의 특징들을 구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둘째, 김창흡의 누정시 중 가문과 역사적 장소와 관련된 누정시를 다룬다. 일반적인 누정시에서 보이는 완상의 정조가 주를 이루지 않고 오히려 비애감 표출된다. 그렇다면 왜 완상이 아닌 비애의 정조가 주를 이루고 있는지를 살피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가 그 목적을 달성하여 논문으로 발표된다면 예상되는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1. 김창흡 누정시는 약 200여수에 달한다. 하지만 누정시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가 진행된다면, 후속 연구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2. 가문 또는 역사적 장소와 관련한 누정에서 김창흡의 감회 및 역사의식 등을 어떻게 토로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3. 김창흡의 누정시 ‘彈琴臺’와 ‘矗石樓’,‘泠泠亭’과 ‘塗磻溪亭舍仍宿’, ‘南門樓’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 .김창흡의 누정시 연구는 선행연구를 보완하는 측면과 후속 세대의 누정시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김창흡의 시문학 연구는 특히 산수시 분야에 집중되었다. 하지만 樓亭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樓亭詩를 다룬 연구는 아직까지 많지 않다. 하지만 김창흡의 산수시에 관한 많은 연구들을 통해 유의미한 연구 성과들이 축척하였다. 본고는 지금까지 산수시의 연구 성과들을 토대로 누정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김창흡의 시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선행연구를 보완하는 하나의 시도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의 누정시에는 그가 가진 사상이나 역사관, 그리고 경관에 대한 시각, 내면의 심사들이 잘 녹아있다고 생각된다. 때문에 이를 연구한다면 김창흡 누정시의 특징들을 구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가 그 목적을 달성하여 논문으로 발표된다면 예상되는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1. 김창흡 누정시는 약 200여수에 달한다. 하지만 누정시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가 진행된다면, 후속 연구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2. 가문 또는 역사적 장소와 관련한 누정에서 김창흡의 감회 및 역사의식 등을 어떻게 토로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3. 김창흡의 누정시 ‘彈琴臺’와 ‘矗石樓’,‘泠泠亭’과 ‘塗磻溪亭舍仍宿’, ‘南門樓’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 .김창흡의 누정시 연구는 선행연구를 보완하는 측면과 후속 세대의 누정시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三淵 金昌翕(1653~1722)은 17~18세기 시단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했던 시인이며, 학자이다. 그는 조선후기 대표적 경화거족인 壯洞金氏 출신이었으나 벼슬에 나가지 않고, 각지의 명승을 유람하며 200여 수에 달하는 누정시를 창작했다. 그의 누정시에는 그가 가진 사상이나 역사관, 그리고 경관에 대한 시각, 내면의 심사들이 잘 녹아있다.
    본고는 삼연이 지은 누정시에 나타난 역사인식과 비애감을 살펴 그 의미를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삼연은 역사, 가문과 관련된 누정시에서 비애감을 표출했다. ‘彈琴臺’와 ‘矗石樓’는 역사적인 전투의 현장이었으며, ‘泠泠亭’과 ‘塗磻溪亭舍仍宿’은 아버지인 김수항과 관련된 장소였으며, ‘南門樓’는 선조의 비석이 세워진 곳이었다. 이들 장소는 모두 삼연에게 비애감을 불러일으키는 장소였다.
    둘째, 삼연은 역사, 가문과 관련된 누정시에서 또한 역사 인식인식을 드러낸다. 비극적인 역사 현장에서 그 비극을 잊어버리고 유유자적한 사람들을 비난하기도 했으며, 아버지를 죽음으로 내 몬 당시 정국을 풍성검의 고사와 오나라 부차의 고사를 인용하여 비판하고 있다.
    셋째, 삼연은 누정시를 통해 비극적인 역사를 회고하며 희생된 이들을 애도하고, 당대의 세태를 비판하기도 한다. 이는 삼연의 가치관이 드러난 부분이다. 삼연은 비판적 시각으로 역사를 바라보았다고 하겠다.
  • 영문
  • Samyeon Kim Chang-heup(1653~1722) was a poet and scholar that held an important place in the poetical circles of the 17th~18th century. Although he was from the Kim family of Jangdong, which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families that lived in bustling districts of Seoul and enjoyed prosperity for generations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he did not hold government office and created approximately 200 landscape poems in the course of his excursion to scenic spots all over the country. His ideas, viewpoints of history, perspectives on landscapes, and inner thoughts were well melted in his landscape poems.
    This study examined his historical awareness and sense of sorrow in his landscape poems and found the following meanings in them:
    First, Samyeon expressed his sense of sorrow in his landscape poems about history and family. "Tangeumdae" and "Chokseokru" were historic battlefields, "Yeongryeongjeong" and "Dobangyejeongsaingsuk" were places related to his father Kim Su-hang, and "Nammunru" had the tombstone of King Seonjo. All of these places caused a sense of sorrow in him.
    Secondly, his historical awareness was also found in his landscape poems about history and family. He condemned those who were free and easy at places of historic tragedy by forgetting the tragedy and criticized the political situation that drove his father to death by citing ancient events involving the Pungseon Sword and Fuchai of Wu.
    Finally, Samyeon reflected on tragic history, mourned the victims, and criticized the social conditions of his times in his landscape poems, revealing his values. He looked at history in a critical viewpoi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三淵 金昌翕(1653~1722)은 17~18세기 시단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했던 시인이며, 학자이다. 그는 조선후기 대표적 경화거족인 壯洞金氏 출신이었으나 벼슬에 나가지 않고, 각지의 명승을 유람하며 200여 수에 달하는 누정시를 창작했다. 그의 누정시에는 그가 가진 사상이나 역사관, 그리고 경관에 대한 시각, 내면의 심사들이 잘 녹아있다.
    본고는 삼연이 지은 누정시에 나타난 역사인식과 비애감을 살펴 그 의미를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삼연은 역사, 가문과 관련된 누정시에서 비애감을 표출했다. ‘彈琴臺’와 ‘矗石樓’는 역사적인 전투의 현장이었으며, ‘泠泠亭’과 ‘塗磻溪亭舍仍宿’은 아버지인 김수항과 관련된 장소였으며, ‘南門樓’는 선조의 비석이 세워진 곳이었다. 이들 장소는 모두 삼연에게 비애감을 불러일으키는 장소였다.
    둘째, 삼연은 역사, 가문과 관련된 누정시에서 또한 역사 인식인식을 드러낸다. 비극적인 역사 현장에서 그 비극을 잊어버리고 유유자적한 사람들을 비난하기도 했으며, 아버지를 죽음으로 내 몬 당시 정국을 풍성검의 고사와 오나라 부차의 고사를 인용하여 비판하고 있다.
    셋째, 삼연은 누정시를 통해 비극적인 역사를 회고하며 희생된 이들을 애도하고, 당대의 세태를 비판하기도 한다. 이는 삼연의 가치관이 드러난 부분이다. 삼연은 비판적 시각으로 역사를 바라보았다고 하겠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고에서는 삼연이 지은 역사적 장소, 가문과 관련된 누정시에 나타난 비애의 정조와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삼연은 역사, 가문과 관련된 누정시에서 비애감을 표출했다. ‘彈琴臺’와 ‘矗石樓’는 역사적인 전투의 현장이었으며, ‘泠泠亭’과 ‘塗磻溪亭舍仍宿’은 아버지인 김수항과 관련된 장소였으며, ‘南門樓’는 선조의 비석이 세워진 곳이었다. 이들 장소는 모두 삼연에게 비애감을 불러일으키는 장소였다.
    둘째, 삼연은 역사, 가문과 관련된 누정시에서 또한 역사 인식을 드러낸다. 비극적인 역사 현장에서 그 비극을 잊어버리고 유유자적하는 사람들을 비난하기도 했으며, 아버지를 죽음으로 내 몬 당시 정국을 풍성검의 고사와 오나라 부차의 고사를 인용하여 비판하고 있다.
    셋째, 삼연은 누정시를 통해 비극적인 역사를 회고하며 희생된 이들을 애도하고, 당대의 세태를 비판하기도 한다. 이는 삼연의 가치관이 드러난 부분이다. 삼연은 비판적 시각으로 역사를 바라보았다고 하겠다.
  • 색인어
  • 삼연, 김창흡, 누정시, 가문, 역사, 조선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