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영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중등학교 저경력 교사들이 경험하는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과 후속 과제
In Search of Secondary School Novice Teachers’ Difficulties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ull Curriculum and Future Task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과제번호 2021S1A5B5A17054961
선정년도 2021 년
연구기간 1 년 (2021년 09월 01일 ~ 202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지은
연구수행기관 경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학교에서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어떻게 계획하고 실행하느냐에 따라 실제 운영되는 교육과정의 모습은 달라진다. 이렇게 교사수준 교육과정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가 어떤 부분에 있어 운영의 어려움을 느끼는지를 잘 포착하여 그 부분을 해결하거나 지원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모든 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들은 포괄적인 수준에서의 어려움을 인지시켜주는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경력에 따라 업무 수용도와 수행도가 다르듯이, 결국 공통의 어려움 범주 내에서도 교사들은 경력별로 서로 조금씩 다른 경험을 할 것이다. 특히 고경력 교사에 비해 저경력 교사의 지원이 우선적으로 더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저경력 교사들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저경력 교사들이 경험하는 어려움과 관련하여서도 다양한 원인이 존재하나, 그 중 정식 교사에 입문하기 이전 교원양성기관에서의 교육 부재에서 비롯되는 중등학교 저경력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을 집중적으로 다루어보고자 한다.
    교사가 된 이후 경험하는 어려움과 적응 과정에만 주목하여 모든 것을 교사 개인이 해결해야 하는 문제로 접근하기보다는 예비교사일 때의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과 접목하여 그 어려움을 탐구할 때 더욱 체계적이고 맞춤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본 연구는 그러한 점에 착안하여 저경력 교사들이 교원양성기관의 영 교육과정으로 인해 어떠한 어려움을 겪었는지를 탐구하고 그에 따른 후속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과 저경력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을 개선하고 지원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 기대효과
    첫째, 저경력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의 학문적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과 연계되는 저경력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어려움에 대한 연구는 선행연구들이 논의하는 교직사회화나 전환 충격에서 다루어지는 요소들에 대한 담론에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국가 교육과정 연구에서 더욱 심도 있는 논의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은 국가 교육과정 연구에서 교사들의 역할과 지원도 중요한 연구 영역임을 재확인시켜줄 수 있도록 유의미한 의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사회적으로 국가-지역교육청-대학의 협력 구조를 재확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연구결과로 도출될 저경력 교사의 어려움이나 후속 과제는 어느 한 기관에서 단독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일 수도 있지만 동시에 여러 주체(기관) 간의 협력을 통해 개선할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한 점에서 초·중등교육과 고등교육 모두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활용방안
    첫째,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 개편에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반영하여 차기 사범대학 교육과정을 개편하면서, 대학과 교육청 간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교원양성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재확립하고 양성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더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둘째, 교육청의 교사연수 개선에 활용할 수 있다. 면담 결과로 나타난 교사들의 어려움은 교원양성기관뿐만 아니라 교육청에서도 향후 신규교사 및 저경력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수에서 기존의 어떠한 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셋째,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 활용할 수 있다.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는 학교의 교육과정이 잘 운영되기 위한 장들에 저경력 교사의 원활한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국가, 교육청, 학교 수준의 지원에 대한 내용을 보완하여 기재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6주기교원양성기관평가의 지표 개선에 활용할 수 있다. 연구결과에서 논의될 교원양성 교육과정에서의 부족함에서 나타나는 부분들을 향후 반영하여 대학 교육과정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
  • 연구요약
  • ○ 연구목적
    저경력 교사들은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원인으로 여러 어려움을 경험한다. 그 중, 교사가 되기까지 4년의 대학 정규 교육과정을 이수하며 신규교사연수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수많은 어려움을 경험하는 점은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의 보완이 시급함을 시사하기도 한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교사 발령 이후의 단편적인 어려움에만 초점을 맞추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저경력 교사들의 교사 발령 이전 교원양성기관의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의 교육 부재(영 교육과정)로 인해 중등학교 저경력 교사들이 교육과정 운영에서 어떠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상의 후속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주요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등학교 저경력 교사들은 영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어떠한 어려움을 경험하는가?
    2) 중등학교 저경력 교사들을 지원하기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후속 과제는 무엇인가?

    ○ 연구내용 및 방법
    첫째, 연구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으로 영 교육과정의 개념과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 현황 및 관련 선행연구를 정리한 뒤, 저경력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과 관련된 주제 및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과 관련된 주제의 국내․외 문헌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종합․정리하고자 한다.
    둘째,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반 구조화된 면담지를 제작하여 1급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전에 있는 1~5년차 중등학교 교사 5~10인을 면담참여자로 설정하여 총 2회에 걸쳐 면담을 실시하고자 한다. 1차 면담(2021.12~2022.1)은 어려움과 관련된 경험을 사범대학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Tyler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측면에서 탐색하고자 한다. 이후 추가로 진행될 2차 면담(2022.3~4)에서는 더 구체적으로 논의할 사항과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교원양성기관에서 어떠한 개선이 필요한지를 다루어보고자 한다.
    셋째, 2회에 걸친 면담 전사록을 기반으로 반복적인 읽기를 통해 내용을 코딩하고 범주화하여 연구결과를 기술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원양성기관의 후속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저경력 교사들이 현장에서 교육과정 운영 시 경험하는 어려움을 교원양성기관의 영 교육과정 측면에서 분석하여 그에 대한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주요 목적이었다. 저경력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 잘 적응하고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의 재교육이나 연수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교원양성기관에서의 교육과정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1~5년차의 근무경력을 지닌 전국의 5명의 교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으며, 어떻게 극복을 하였으며, 향후의 교원양성기관의 과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첫 번째로 저경력 교사들이 경험한 어려움으로는 생활지도와 상담, 교수법, 평가, 행정업무, 컴퓨터 활용, 학교문화의 측면에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두 번째로 교사들은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시행착오를 경험하거나 주변 교사들의 도움을 받거나 외부의 자료들을 참고하였다. 세 번째로 근본적으로 이러한 어려움을 경험한 주요 원인에 해당되는 교원양성기관의 영 교육과정으로는 실제 수업 적용 방안, 실제 업무 적용 방안 및 사례, 컴퓨터 활용 능력 신장 수업이 교과 교육과정에서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과 교육과정의 경우, 학교 현장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가능케 하는 기회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로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교사들은 앞으로의 교원양성기관이 다양한 교양 수업과 컴퓨터 활용 능력 신장 수업, 화법이나 화술 관련 수업을 수강하게 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전공 및 교직 수업에서는 디지털 수업 도구 활용법, 이론 및 모형의 실제 수업 적용 실습, 평가 문제 출제 실습, 문제 상황에 대한 실제 사례가 내용이나 활동으로 반영되면 좋을 것으로 보았다. 이 외에 현장실습 확대, 현장교원의 수업, 모델코스 지도 등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앞으로의 교원양성기관에서는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스코프와 시퀀스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예비교사들이 현장에 잘 나아갈 수 있기 위한 계속성과 연계성을 잘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통합성과 균형성의 차원에서도 개선을 해야 할 것이다.
  • 영문
  • This research mainly analyzed secondary school novice teachers’ difficulties when implementing the school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s college’s null curriculum and suggested the future tasks. This is because the teachers college’s well-made curriculum is significant as well as in-service trai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order to adapt to the school and perform diverse tasks. This research had an in-depth interview with nationwide five secondary school teachers with one to five year teaching experiences and mainly discussed what kind of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at school, how they overcame the difficulties, and what is the future tasks of the teachers colle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fficulties that novice teachers experienced were: guidance and counseling, teaching, assessment, computer utilization, and school culture. Second,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trials and errors; got help from colleague teachers; and referred to the external materials such as books and blogs. Third, the teachers college’s null curriculum, the fundamental reasons of experiencing the aforementioned difficulties, is ways to apply the theory to the practice, ways to apply administrative affairs to practice and cases, and a class that develops computer skills in subject curriculum. In the case of extracurricular side, the chances to fully understand the secondary school are lacking. Fourth, to resolve the problems, interview participants suggested taking diverse liberal education, a computer class, and a speech class. In the case of major and teaching classes, the followings should be provided as contents or activities: ways to utilize digital devices or programs in class; ways to apply theories and models to practice; practice of making questions for assessment; and school cases of problematic situations. Additionally, more teaching practicum, a school teacher’s university class, guidance based on a model course should be considered. By reflecting the results, the future teachers college should adjust the scope and the sequence of subject and non-subject curriculum; strengthen the continuity and the articul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who will perform tasks at school in the future; and improve the integrity and the balance in the curriculu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저경력 교사들이 현장에서 교육과정 운영 시 경험하는 어려움을 교원양성기관의 영 교육과정 측면에서 분석하여 그에 대한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주요 목적이었다. 저경력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 잘 적응하고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의 재교육이나 연수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교원양성기관에서의 교육과정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1~5년차의 근무경력을 지닌 전국의 5명의 교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으며, 어떻게 극복을 하였으며, 향후의 교원양성기관의 과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첫 번째로 저경력 교사들이 경험한 어려움으로는 생활지도와 상담, 교수법, 평가, 행정업무, 컴퓨터 활용, 학교문화의 측면에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두 번째로 교사들은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시행착오를 경험하거나 주변 교사들의 도움을 받거나 외부의 자료들을 참고하였다. 세 번째로 근본적으로 이러한 어려움을 경험한 주요 원인에 해당되는 교원양성기관의 영 교육과정으로는 실제 수업 적용 방안, 실제 업무 적용 방안 및 사례, 컴퓨터 활용 능력 신장 수업이 교과 교육과정에서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과 교육과정의 경우, 학교 현장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가능케 하는 기회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로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교사들은 앞으로의 교원양성기관이 다양한 교양 수업과 컴퓨터 활용 능력 신장 수업, 화법이나 화술 관련 수업을 수강하게 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전공 및 교직 수업에서는 디지털 수업 도구 활용법, 이론 및 모형의 실제 수업 적용 실습, 평가 문제 출제 실습, 문제 상황에 대한 실제 사례가 내용이나 활동으로 반영되면 좋을 것으로 보았다. 이 외에 현장실습 확대, 현장교원의 수업, 모델코스 지도 등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앞으로의 교원양성기관에서는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스코프와 시퀀스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예비교사들이 현장에 잘 나아갈 수 있기 위한 계속성과 연계성을 잘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통합성과 균형성의 차원에서도 개선을 해야 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결과는 정책적으로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교육부 및 교육청에서 저경력 교사들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교원양성기관과 협력하여 함께 새로운 정책을 추진하거나 기존의 제도를 개선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두 기관의 노력이 함께 되어야 교원양성기관도 현장 연계성을 더욱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대학의 교육과정 개선에 활용할 수 있다. 사범대학이 설치되어 있는 교원양성기관이라면 교양, 교직, 전공 교육과정 및 비교과 교육과정에 있어 본 연구 결과를 참고 및 반영하여 재구조화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교원양성기관이나 교원 정책을 주요하게 다루는 한국교육개발원 등의 연구기관에서 교원양성기관평가 지표나 관련 정책 등을 개선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술적인 차원에서는 교사 전문성이나 교사와 관련된 연구가 그동안 풍성하게 논의되어 왔는데, 특히 본 연구는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초점을 두어 저경력 교사를 연구한 점에서 향후 해당 부분 학술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밑거름을 마련함으로써 학술 분야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 색인어
  • 저경력 교사,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 중등교사, 교원양성기관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