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여성 신체의 탈신화화를 위한 팝 페미니즘적 글쓰기 - 샤를로테 로쉬의 소설 <습지대>를 중심으로
Pop Feminist Writing for the Demythization of the Female Body - Focused on <Feuchtgebiete> of Charlotte Roch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amp; #40;B유형&amp; #41;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과제번호 2021S1A5B5A17048327
선정년도 2021 년
연구기간 1 년 (2021년 09월 01일 ~ 202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임유영
연구수행기관 충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2000년대 중반부터 신문, 잡지, 인터넷, TV 방송 등 대중 언론매체를 통해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독일의 팝 페미니즘의 특수성을 변화된 여성의 신체 담론과 결부시켜 검토한 후, 그것이 문학작품 속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샤를로테 로쉬 Charlotte Roche의 소설 『습지대 Feuchtgebiete』(2008)의 세밀한 분석을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3 물결의 페미니즘 혹은 뉴 페미니즘의 범주에 속하는 팝 페미니즘은 독일에서 그 용어가 처음으로 등장한 이후 미국의 영향을 받으면서 여러 가지 용어로 지칭되고 있다. 팝 문화를 통하여 페미니즘의 대중화를 모색한다는 의미에서 ‘퍼퓰러 페미니즘 Populär-Feminismus’으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대중매체에 자주 등장하는 유명인이나 연예인들의 페미니즘 발언 및 활동을 적극적으로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셀러브리티 페미니즘 Celebrity Feminismus’이라고도 하고, 개인주의를 중시하고 독립성이 강하며 자기 주장이 확실한 젊은 신세대 여성들을 중심으로 걸 파워(Girl Power)를 형성한다는 면에서는 ‘알파걸의 페미니즘’이라고도 불린다. 무엇보다도 독일의 팝 페미니즘은 뉴 페미니즘의 출발점으로 간주되는 미국의 여성 록그룹 ‘라이엇 걸스 Riot Grrrls’의 행동주의를 모방한 ‘스파이스 걸스 Spice Girls’, ‘루씨렉트릭 Lucilectric’, ‘레이디 비치 레이 Lady Bitch Ray’등과 같은 걸그룹 및 여성 레퍼뿐만 아니라 특별히 TV 음악 방송 <비바 II VIVA Zwei>에 등장하는 개성 넘치고 재치 있는 여러 여성 진행자들의 영향으로 급속도로 퍼지는 계기를 맞는다.
    소설 『습지대』의 작가 로쉬는 “독일 팝 텔레비전의 여왕 Queen of German Pop Television”(Meier 2009, 235)으로 불리는 <비바 II>의 간판 진행자로, TV 방송과, 특히 독일의 페미니즘 잡지인 <Missy Magazine>을 통해 자신이 페미니스트임을 공공연하게 선언함으로써 현재 독일 팝 페미니즘 세대의 여성 대표로 간주되고 있다. 무엇보다도 로쉬는 독일의 제2기 페미니즘을 대표하는 알리스 슈바르처 Alice Schwarzer에 반기를 들며 여성 신체를 노골적이면서도 도발적으로 테마화한 소설 『습지대』를 발표함으로써 명백히 뉴 페미니즘을 의도적으로 주창하는 팝문학을 완성하였다. “펑크와 페미니즘의 하이브리드”(Harms 2008) 혹은 “30년 전에 여성 페미니스트들이 포기한 테마를 다룬 급진적인 예술작품”(Schwab 2014, 24)이라는 평가는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소설 『습지대』는 항문 열구와 치질 수술을 받고 병실에 누워있는 “항상 매우 여자답지 못한 immer sehr unmädchenhaft”(Roche 2008, 8) 18세 소녀 헬렌 메멜 Helen Memel의 내적 독백을 담고 있다. 주로 성행위와 자위, 월경과 임신/출산, 그리고 다양한 분비물/배설물과 위생에 대한 그녀의 입장이 딸과 엄마의 투쟁이라는 큰 틀 안에서 묘사된다. 이 소설은 출간되자마자 엄청난 판매 부수로 아마존과 독일의 베스트셀러 목록에서 여러 달 일등을 고수하였고, 2008년부터 연극으로 제작되어 지금까지 여러 차례 무대에 오르기도 했으며, 2013년에는 다비드 벤트 David F. Wnendt의 연출로 영화화 되기도 하는 등 대중의 큰 관심과 상업적 성공을 거머쥐었음에도 불구하고 한동안 페미니즘을 상품화한 포르노 문학 혹은 의도적으로 계산된 스캔들 문학이라는 혹독한 비난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이 작품에서 로쉬는 그로테스크한 자기 신체를 끊임없이 긍정하고 예찬하는 헬렌이라는 “새로운 독일 소녀”(Ullrich 2009)를 주인공으로 하여 작가의 독특한 언어유희와 글쓰기 방식으로 에로틱을 외설적이고 불결한 신체성으로부터 완벽하게 구해냈다. 이러한 입장에서 본 논문은 구체적으로 독일의 팝 페미니즘의 특징은 무엇인가? 로쉬가 팝 페미니즘의 대표 작가로 간주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팝 페미니즘의 여성 신체 담론은 제1기와 제2기 페미니즘의 그것과 무엇이 다른가? 여주인공 헬렌에게 투영된 알파걸, 혹은 새로운 독일 소녀의 특징은 무엇인가? 여성 신체의 탈신화화를 위한 작가 특유의 언어유희와 팝 페미니즘적 글쓰기 방식은 무엇인가? 소설 『습지대』는 왜 포르노 문학이 아닌가? 소설에 나타난 독일의 팝 페미니즘의 한계성과 문제점은 무엇이며 이것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던지며 이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학문에 대한 기대효과
    ① 독일의 팝 페미니즘과 관련된 논의를 포괄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팝 페미니즘과 관련된 이론 및 서구 페미니즘의 위기를 둘러싼 논의가 한층 진전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국내외적으로 여전히 부족한 상태에 있는 뉴 페미니즘에 관한 학문적 연구의 외연이 확대될 것이다. 또한 사회화된 몸과 권력 질서에 얽혀있는 몸을 성찰해보는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다양하게 모색 중인 ‘몸의 페미니즘’ 연구에도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② 아직까지 국내에서 연구되지 않은 여성 작가를 새롭게 소개하며 팝 페미니즘적 글씨기 전략을 분석하고 있는 본 연구의 결과는 독일의 팝문학과 페미니즘 문학 연구의 지평을 확장함으로써 학술적 논의를 더욱 풍부하게 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③ 소설 『습지대』는 외설적인 소재를 예술로 승화시킨 일종의 안티-포르노 문학이다. 이를 포착하고 있는 본 연구의 결과는 문학 텍스트에서 외설과 예술을 구분하는 잣대로서 전문적 비평의 가능성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④ 새로운 감수성과 스타일을 꿈꾸는 문화 주체인 ‘새로운 독일 소녀’는 2000년대 이후 독일 하위문화를 대표하는 주체들이다. 이 새로운 주체들에 대해 다루고 있는 본 연구의 결과는 소녀문화와 하위문화와 관련하여 독일의 대중문화 연구에 학술적 아이디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2. 교육에 있어서의 기대효과
    ① ‘여성 팝문학 작가 Popliteratin’이자 페미니즘 여성작가로서 로쉬의 소설은 소위 ‘아가씨의 기적-소설 ein Fräuleinwunder-Roman’및 ‘스캔들 문학’과 연관되어 많이 거론되기도 한다. 따라서 로쉬의 문학을 다루고 있는 본 연구의 결과는 팝문학과 여성 문학뿐만 아니라 아가씨의 기적-소설, 스캔들 문학 등과 관련된 독일현대문학 강의를 위한 자료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② ‘새로운 독일 소녀’의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페미니즘의 관점으로 분석하는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과 대학원에서 여성학과 젠더연구뿐만 아니라, 독일 지역학, 독일의 문화연구, 청소년학 관련 수업자료 및 참고문헌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일반인 대상 여성 교육에서도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3. 사회 문화적 기대효과
    ① 독일과 마찬가지로 한국 사회에서도 지난 20여 년 동안 여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성평등정책이나 여성정책의 제도화에 많은 발전이 있었던 반면 페미니즘에 대한 혐오 내지 반격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후기 산업사회의 급격한 사회변동, 성평등정책의 발전, 신자유주의의 확산 등의 영향을 받은 21세기 신세대 여성들은 여성운동 및 페미니즘과 관련하여 기성세대들과는 다른 경험과 입장을 갖고 있기도 하다. 본 연구가 다루고 있는 팝 페미니즘의 독일 사례는 한국의 미래지향적 여성운동과 페미니즘의 실천적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② 여성의 몸과 욕망은 역사적으로 항상 억압되어 왔다. 몸이 물신적 위상을 차지하는 오늘날 여성의 몸은 손쉽게 소비사회의 상품화 도구로 전락할 가능성도 농후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여성 신체에 대한 새로운 담론을 담고 있는 본 연구의 결과는 여성들이 몸을 통해 어떻게 주체성을 획득할 수 있는지에 관한 대안적 논의를 제안하면서 몸과 정신의 관계를 새롭게 모색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③ 내일의 여성이 될 오늘의 소녀들은 자신이 뭘 해야 할지, 무엇을 좋아하는지, 어떻게 살고 싶은지 분명히 알고 있다. 하지만 세상이 여성을 바라보는 시선은 여전히 혼란스럽다. 소녀를 대하는 부모와 세상의 태도에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사고방식이 섞여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독일의 소녀를 다루고 있지만 이를 통해 과연 우리의 소녀들은 어떤 정체성을 공유하는지, 무엇에 분노하며 미래 계획은 어떻게 세워나가고 있는지 생각해볼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독일의 팝 페미니즘과 이와 연관된 여성 신체 담론을 샤를로테 로쉬의 소설 『습지대』의 분석을 통해 접근해 보려는 시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 즉 토대연구와 문학 분석연구로 나뉘어 단계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우선 로쉬의 소설을 분석하기 이전에 토대 연구로서 독일의 팝 페미니즘과 관련된 이론적 논의들과 그것의 실천적 특징, 팝 페미니즘에 대한 로쉬의 입장, 팝 페미니즘에서 주장하는 여성 신체 담론들의 특수성을 이와 관련된 독일의 언론 자료와 뉴 페미니즘 이론가들의 저서 및 논문, 그리고 작가의 각종 인터뷰 자료들을 주요 근거로 고찰하여 본다. 이를 토대로 하여 본격적인 문학 연구로서 소설 『습지대』에 나타난 여성 신체의 탈신화화를 위한 로쉬 특유의 팝 페미니즘적 글쓰기 전략을 '새로운 독일 소녀'로서 일인칭 여성화자, 여성 신체와 위생담론의 전복성, 여성의 주체화를 위한 시선 연출, 포르노 경계넘기로서 여성 신체의 그로테스크한 묘사와 유머를 중심으로 본론에서 정밀하게 분석될 것이다. 개괄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토대연구: 팝 페미니즘과 이에 따른 신체 담론에 대한 연구
    ① 팝 페미니즘의 용어 정의와 개념은 무엇인가? 독일 팝 페미니즘의 생성 배경과 역사적 전개 상황은 어떠한가? 뉴 페미니즘의 한 갈래로서 팝과 페미니즘이 결합된 팝 페미니즘의 특수성은 무엇인가? 독일의 팝 페미니즘은 미국으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았는가? 팝 페미니즘은 제1기와 제2기 페미니즘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② 독일의 뉴 페미니즘 잡지인 <Missy Magazine>, <Spex>, <Intro>, <De:Bug>에서 팝 페미니즘은 어떻게 거론되는가? 뉴 페미니즘의 대표 이론가로서 Sonja Eismann, Angela McRobbie, Anna Seidel, Katja Kauer 등은 팝 페미니즘에 대해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
    ③ 여성 신체에 대한 구 페미니즘과 뉴 페미니즘의 입장은 어떻게 다른가? 신체에 대한 페미니즘 논쟁이 팝의 영역에 유입된 배경은 무엇인가? 뉴 페미니즘의 영역에서 여성 신체를 다룬 이론서로서 Luce Irigaray, Waltraud Posch, Elizabeth Grotz 등의 글은 어떠한 주장을 담고 있는가?
    ④ 팝 페미니즘을 추구하는 주체로서 ‘새로운 독일 소녀’의 특징은 무엇인가? “팝은 아마 소녀 Pop offensichtlich ein Mädchen”(Hecken 2006, 141)라는 주장과 관련하여 팝이 소녀문화와 쉽게 연대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⑤ 팝 페미니스트로서 로쉬는 어떠한 활동을 했는가? 로쉬가 슈바르처에 반발한 이유는 무엇인가? 작가로서 로쉬는 어떠한 작품들을 발표하였으며, 그 문학적 특징은 무엇인가?
    ⑥ 팝 문학과 페미니즘이 결합된 팝 페미니즘 문학의 특징은 무엇인가? 팝 페미니즘 경향의 글을 쓴 또 다른 여성 작가들로 누가 있으며, 그들의 작품들은 로쉬의 그것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작품분석 연구: 소설 『습지대』에 대한 정밀분석 연구
    ① 헬렌이 ‘새로운 독일 소녀’로 간주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일인칭 여성 화자의 서사적 관점이 지닌 서술적 특징은 무엇인가? 헬렌은 현실과 기억을 오가며 이야기를 펼치고 있다. 이때 기억은 어떠한 방식으로 현실과 연결되는가? 플래시백뿐만 아니라 특정한 서사 시제와 서사 속도의 기능은 무엇인가?
    ② 전통적 여성 신체와 위생 담론에 대한 전복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부끄러움은 여성 신체 규범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 헬렌의 엄마가 추종하는 여성의 이상적 아름다움은 무엇인가? 화장, 면도, 문신, 다이어트 등 미디어를 통해 현대 여성의 신체는 어떻게 유행의 대상이 되는가? 헬렌은 여성 신체에 대한 사회 규범에 어떻게 대항하는가? 여성 화자의 신체에 대한 성적 자기결정권은 어떤 방식으로 드러나는가?
    ③ 여성 신체에 대한 사회적 시선의 권력 구조는 보기(Sehen)와 보여지기(Gesehenwerden)와 관련하여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여주인공의 시선 방향은 내러티브 관점에서 어떻게 강조되는가? 헬렌이 상처 부위를 사진으로 찍거나 부모와의 작별 편지를 글로 쓰지 않고, 사물로 시뮬레이션하여 이미지로 연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④ 포르노의 경계를 넘어서기 위한 글쓰기 전략으로서 신체는 어떠한 방식으로 그로테스크하게 과장되는가? 신체를 비유하는 작가 특유의 코믹한 언어의 예로 무엇이 있는가? 크로테스크와 유머는 브레히트의 생소화 효과와 관련하여 어떤 기능을 지니는가? 섹스와 분비물/배설물, 그리고 외설성과 역겨움은 어떻게 연결되는가? 외설성에 대해 로쉬는 어떠한 입장을 표명하였는가?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독일의 팝 페미니즘은 이데올로기적이고 도그마적인 제2기 페미니즘이 보여주었던 안티-남성, 안티-섹스, 안티-쾌락의 이미지를 거부하며 남성과 함께하는 섹시하고, 즐겁고, 지적인 페미니즘을 추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팝 페미니즘은 여성을 낙태, 포르노, 매춘의 피해자로 보는 입장에서 벗어나 자기 몸이 지닌 쾌락과 욕망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자신 있게 드러내는 새로운 여성상을 통해 상처 입고, 볼품없으며, 외설적이어서 그동안 부정적으로 코딩된 그로테스크한 여성 신체를 긍정적으로 포용한다.
    로쉬는 여성 신체와 섹슈얼리티를 도발적으로 테마화한 소설 󰡔습지대󰡕를 발표하여 팝 페미니즘의 대표적인 여성 작가로 자리매김한다. 소설 󰡔습지대󰡕에서 작가는 일인칭 화자 소설이자 틀소설이라는 장치를 이용하여 자유롭고 유쾌하며 자기 긍정적인 신세대 소녀 헬렌으로 하여금 자신의 몸과 마음의 상처를 금기 없는 성적인 판타지로 치유하는 과정을 말하게 한다. 또한 불결하고 외설적인 여성 신체의 그로테스크한 이미지를 코믹하게 표현하여 페미니즘 주제를 유쾌하게 전달하는 동시에 여성 신체를 보는 헬렌의 주체적인 시선을 부각하여 가부장적인 남성의 시선 구도를 파괴한다. 하지만 여성 신체에 대한 백인 중심적이고 이성애적인 시선, 여성 문제를 개인의 차원에서 해결하려는 시도는 이 소설에 나타난 팝 페미니즘의 한계성으로 지적될 수 있다.
  • 영문
  • German pop feminism rejects the images of anti-male, anti-sex, and anti-pleasure shown by the ideological and dogmatic second-period feminism, and pursues a sexy, enjoyable, and intelligent feminism with men. In this context, pop feminism moves away from viewing women as victims of abortion, pornography, and prostitution, and presents a new image of a woman who confidently reveals the pleasures and desires of her own body without being shy, positively embraces the grotesque female body.
    Roche has established herself as a representative female writer of pop feminism by publishing the novel <Feuchtegebiete> provocatively theming the female body and sexuality. In the novel <Feuchtegebiete>, the author uses the device of a first-person narrative novel and frame novel to tell Helen, a free, cheerful, and positive new generation girl, the process of healing her body and mind with a sexual fantasy without taboos. In addition, the grotesque image of the obscene female body is expressed comically to convey the theme of feminism in a pleasant way, while at the same time highlighting Helen’s subjective view of the female body, destroying the patriarchal male gaze composition. However, the white-centered and heterosexual view of the female body and attempts to solve female problems at the individual level can be pointed out as the limitations of pop feminism in this nove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논문은 아직 우리에게 생소한 독일의 팝 페미니즘의 특수성을 여성의 신체 담론과 결부시켜 검토한 후, 그것이 문학 작품 속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로쉬의 <습지대>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있다. 팝 페미니즘은 2000년대 초 독일의 사회 문화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소위 ‘쿨하고 핫한’ 젊은 신세대 여성들의 문화와 요구를 반영하면서 새롭게 등장했다. 이데올로기적이고 도그마적인 제2기 페미니즘을 거부하며 팝 페미니즘은 남성과 함께하는 섹시하고, 즐겁고, 지적인 페미니즘을 추구한다. 무엇보다도 팝 페미니즘은 그동안 부정적으로 코딩된 그로테스크한 여성 신체를 긍정적으로 포용한다. 그리고 피해자의 입장에서 벗어나 자기 몸이 지닌 쾌락과 욕망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자신 있게 드러내는 새로운 여성상을 제시한다.
    로쉬의 <습지대>는 여성의 신체와 섹슈얼리티를 도발적이고도 전복적으로 묘사하여 팝 페미니즘의 여성 신체 담론을 문학적으로 완성도 있게 잘 반영한 소설이다. 역사적으로 여성 신체에 부여된 이상적인 여성성의 신화를 해체하기 위해 로쉬는 일인칭 화자 소설이자 틀소설이라는 장치 안에서 자유롭고 유쾌하며 자기 긍정적인 헬렌으로 하여금 몸과 마음의 상처를 금기 없는 성적인 판타지로 치유하는 과정을 말하게 한다. 또한 불결하고 외설적인 항문과 성기와 같은 여성 신체의 그로테스크한 이미지를 코믹하게 표현하여 페미니즘 주제를 유쾌하게 전달하는 동시에 여성 신체를 보는 헬렌의 주체적인 시선을 부각하여 가부장적인 남성의 시선 구도를 비판하고 파괴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로쉬의 <습지대>는 여성의 신체와 섹슈얼리티를 도발적이고도 전복적으로 묘사하여 팝 페미니즘의 여성 신체 담론을 문학적으로 완성도 있게 잘 반영한 소설이다. 하지만 이 소설에는 팝 페미니즘이 지닌 몇 가지 한계성이 드러나기도 한다. 첫째, 팝 페미니즘은 인종의 차이를 무시하고 백인 중심적인 시각만을 강조한다. 소설에서 흑인 여성의 몸은 이국적이어서 특별히 조사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취급되는데, 이것은 마치 과거 식민지 시대에 백인이 흑인 여성의 몸을 대하는 듯한 느낌을 들게 한다. 둘째, 팝 페미니즘은 이성애 중심주의 시각만을 고집한다. 또 남성과의 성교에 있어서도 헬렌은 남성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에 몰두한다. 셋째, 팝 페미니즘은 여성의 문제를 사회연대가 아닌 개인의 차원에서 해결하고자 한다. 소설에서 헬렌은 신화화된 여성성에 대항하기 위해 자기가 혼자 불임수술을 받고, 혼자 성적인 판타지를 즐긴다. 이것은 사회적 불평등을 개인의 문제로 폄하시킬 우려가 있다. 10여 년 전의 독일처럼 우리나라도 현재 페미니즘에 대한 백래시로 혼란을 겪고 있다. 더 나아가 여성 혐오와 남성 혐오가 서로 극단적으로 대결하고 있기도 하다. 페미니즘에 대한 오해와 관점의 차이를 극복하고 양성평등과 사회 정의를 구현하기 위해 우리는 이러한 문제를 먼저 겪었던 독일의 사례를 참고하여야겠지만 페미니즘 백래시에 대한 하나의 대응으로 등장한 팝 페미니즘의 실천적 오류가 무엇인지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의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일의 팝 페미니즘과 관련된 논의를 포괄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팝 페미니즘과 관련된 이론 및 서구 페미니즘의 위기를 둘러싼 논의 및 뉴 페미니즘에 관한 학문적 연구가 확장될 것이다. 또한 사회화된 몸과 권력 질서에 얽혀있는 몸을 성찰해보는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다양하게 모색 중인 ‘몸의 페미니즘’ 연구에도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둘째, 아직까지 국내에서 연구되지 않은 여성 작가를 새롭게 소개하며 팝 페미니즘적 글쓰기 전략을 분석하고 있는 본 연구의 결과는 독일의 팝문학과 페미니즘 문학 연구의 지평을 확대함으로써 학술적 논의를 더욱 풍부하게 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셋째,‘여성 팝문학 작가 Popliteratin’이자 페미니즘 여성작가로서 로쉬의 소설은 소위 ‘아가씨의 기적-소설 ein Fräuleinwunder-Roman’및 ‘스캔들 문학’과 연관되어 많이 거론되기도 한다. 따라서 로쉬의 문학을 다루고 있는 본 연구의 결과는 팝문학과 여성 문학뿐만 아니라 아가씨의 기적-소설, 스캔들 문학 등과 관련된 독일현대문학 강의를 위한 자료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네째, 새로운 독일 소녀’의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페미니즘의 관점으로 분석하는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과 대학원에서 여성학과 젠더 연구뿐만 아니라, 독일 지역학, 독일의 문화연구, 청소년학 관련 수업자료 및 참고문헌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일반인 대상 여성 교육에서도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색인어
  • 샤를로테 로쉬, 습지대, 팝 페미니즘, 뉴 페미니즘, 새로운 독일 소녀, 여성 신체, 위생 담론, 신체의 탈신화화, 외설성, 안티-포르노 문학, 그로테스크한 몸, 여성의 주체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