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증거기반실천(EBP)을 위한 지체장애노인의 Salutogenic 이론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Development of Salutogenic Theory-based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Elderly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Examination of Its Effects for Evidence-based Practice (EBP)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B6070028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1 년 (2018년 09월 01일 ~ 2019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현수
연구수행기관 부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재화(한남대학교)
이윤주(부산대학교)
김혜민(부산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최근 국내외 사회복지 및 보건 분야에서는 당사자 중심의 접근방안으로 건강생성이론(Salutogenic Theory)을 주목하고 있다. 건강생성이론이란 인간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보다 질적으로 풍부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 주로 작용하는 세 가지 요인(이해성, 관리성, 의미성)을 중심으로 실천하고자 하는 접근방법을 말한다. 최근 국외에서 지체장애노인에게 건강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내적 심리적 자원인 통합성(SOC)과의 인지심리학적, 신경생리학적 측면에서의 분석연구가 이루어진 바가 있는데, 국내에서는 대상자의 심리자원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개발 미흡과 참여로 인해 제한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지체장애노인에게 인지심리학적, 신경생리학적으로 낮아져 있는 측면에서 긍정적이고 효과적인 증진을 위해 건강생성이론을 기반으로 한 건강생성(Salutogenic) 신체활동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의 필요성이 있다. 또한 특수교육 현장에서 증거기반실제(EBP)는 필연적으로 아동의 특별한 교육적 요구에 기초한 평가 활동을 토대로 하며, 대상자의 특성과 평가 목적에 부합하는 평가가 갖추어진 상태에서 그 효과성이 과학적으로 검증된 것이라야 한다. 이에 따라 국외 운동 및 재활 분야에서 이미 활발하게 이루어졌지만, 국내 장애인 체육 분야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며, 장애노인을 대상으로는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증거기반의 실천을 위해, 지체장애노인에게 적합한 평과과정과 기존 연구에서 과학적으로 입증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입증하고자 한다. 이에 지체장애노인을 위한 건강생성(Salutogenic)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함으로써 언어치료교육 분야의 음향학적 분석 평가, 인지 심리학 분야의 주의집중력 평가, 전전두엽 실행기능 평가를 적용시켜 연구주제에 대한 보다 창의적이며 과학적인 결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첫째, 교육적 기여도 측면에서는 지체장애 노인들이 건강생성(Salutogenic)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개인·사회 심리적으로 소외 및 낮은 자존감을 회복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그동안 지체장애노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던 물리적, 의료적인 재활교육프로그램을 개선하고 이를 책임지는 지도자 및 담당교육자들에 대한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술적 기여도 측면에서는 특수체육학에 있어 장애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회복에 있어 건강생성(Salutogenic Theory)이론에 대한 학문적 접근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제시하여 추후 지체장애노인 뿐만 아니라 연령별 장애유형별 맞춤형 건강생성 신체활동 프로그램 관련 다양한 후속 연구 활동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증거기반실제를 위해 의사소통능력, 전전두엽, 주의집중력에 대한 과학적이고 융합적인 연구활동은 추후 특수체육학 분야의 창의적 연주주제에 대한 과학적 결과 도출을 위한 융합적 연구활동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낮은 신체활동 참여율을 보이고 있는 지체장애노인에게 특별한 중재활동 혹은 교수활동(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활동 포함)을 적용시킴으로써 어떠한 효과성이 있는가를 밝혀내는 증거기반실제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특수체육학에 과학적인 근거에 기반 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증거기반실제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사회적 기여도 및 활용도 측면에서는 건강생성(Salutogenic) 신체활동 프로그램으로 인하여 지체장애노인의 건강한 삶을 유지시키고 긍정적인 사회관계와 내적 심리적 자원을 형성해 나아갈 수 있는 통합성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구체적으로 지체장애노인에 대한 내적 심리자원을 증진시키는 맞춤형 프로그램인 건강생성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시킴으로써, 지체장애노인의 특성(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인지적, 정서적 제약)으로 인하여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매우 부족한 현실적 문제를 개선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사회문제해결 측면에서는 고령화 사회로 들어선 우리나라의 현실을 고려할 때 지체장애노인 뿐만 아니라 사회적 소외계층이 될 수 있는 노년기 사회구성원들이 가지게 되는 우울, 불안, 무기력증 등의 심리적 문제에 대한 사회지원안전망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요양원, 요양병원, 노인복지관, 장애인 시설 등에 있는 소외계층의 삶을 회복시키는데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인지적,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체장애노인을 위해 총체적 접근법인 학제간 융합을 통해 증거기반실제라는 창의적 아이디어와 건강생성이론을 접목한 맞춤형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검증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 순차적 연구 설계로 진행하고자하며 연구대상자는 P대학 IRB 윤리위원회의 규정절차에 따라 확보할 것이며, 연구 참가자는 편의표집(convenient sampling)에 의하여 P시에 소재하고 있는 요양병원 가운데, 본 연구의 대상자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지체장애노인 30명(실험군 15명, 통제군 15명)으로 선정할 것이다. 지체장애노인을 위한 건강생성(Salutogenic)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의 핵심은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증거기반실천(EBP)을 위한 객관적인 효과의 입증이다. 따라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어질 때 일반화가 가능한지의 여부와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가 객관적으로 입증될 수 있는지를 고려하여하여 수행해 나아갈 것이다.
    지체장애노인을 위한 건강생성(Salutogenic)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하여 정서적, 사회적, 인지적 능력에 긍정적인 변화를 제공 할 수 있는가를 의사소통능력, 주의집중력, 전전두엽 실행기능 등의 보다 구체적이며 과학적인 측면에서의 결과를 분석 및 검증하고자 한다. 측정도구는 발화능력평가 방법으로 KAY-PENTAX사의 컴퓨터 음성분석기인 CSL 4500(Computerized Speech Lab)과 전산화된 주의력장애 진단시스템인 ADS(ADHD Diagnosis System)의 최신버전 ATA(Advanced Test of Attention) 그리고 전전두엽실행기능 평가 방법으로는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의 소검사인 stroop color word test로 측정할 예정이다. 연구과제 수행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version 20.0을 이용하여 발성한 단모음(5개)과 모음이 들어있는 단어(5개)를 CSD의 MDVP 프로그램을 통한 음향학적 및 공기역학적인 결과(Fo, Jitter, Shimmer, NHR, MFo, MPT)수치와 전전두엽 실행기능 반응시간을 통계 처리하여 분석할 예정이다. 연구과제 수행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version 24.0을 이용하여 발성한 단모음(5개)과 모음이 들어있는 단어(5개)를 CSD의 MDVP 프로그램을 통한 음향학적 및 공기역학적인 결과(Fo, Jitter, Shimmer, NHR, MFo, MPT)수치를 측정할 것이다. 주의집중력의 결과 값은 주의 분산성을 측정하는 ‘누락 오류(omission error)'값과 ‘정반응시간(response time)'값, 인지적 행동적 충동성을 측정하는 오경보 횟수(commission error), 과제처리 속도를 측정하는 반응시간 평균(mean reaction time), 주의집중의 일관성을 측정하는 반응시간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of reaction time)값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전전두엽 실행기능 반응시간을 통계 처리하여 분석할 예정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지체장애노인의 건강생성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확인을 연구목적으로 두고 사업을 진행함. 건강생성이론 기반 신체활동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요양병원 관련자(사회복지사) 1명과 요양병원 장애노인 3명을 면담을 통해서 수요자의 요구를 파악하여 초안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전문가 및 지도사의 회의 거쳐 1차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함. 개발된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과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지체장애노인 15명에게 적용됨. 건강생성(Salutogenesis)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12주간 주 2회, 회당 60분, 총 24회기로 구성하였으며, 지도자 3명과 보조자 6명(사회복지사 1명, 요양보호사 5명) 함께 진행함. 연구측정은 중재법 전·후 연구변인(통합성, 의사소통능력, 주의집중력, 전전두엽기능)들을 측정하였으며 참가자들에게 심층 면접을 실시함. 신체활동프로그램 개발과 적용과정을 거쳐 나타난 구체적인 성과는 연구결과보고서 본문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음. 건강생성이론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은 건강생성이론의 중심개념인 통합성(sense of coherence)을 최대한 접목하여 고안됨. 통합성은 사람들이 삶을 어떻게 바라보며 역경과 고난에서 어떻게 자신의 주변 자원을 활용하여 극복하고 건강을 유지 ․ 발전하는지 알아보는 척도로서 주요 구성요인으로 이해성, 관리성, 의미성이 있음. 신체활동프로그램은 크게 3단계로 구성하고, 1단계는 건간생성이론의 이해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신체활동을 구성함(1-4주)로 구성함. 2단계는 관리성 증진 신체활동으로 계획됨(5-8주)로 구성함. 3단계는 의미성 증진 목표로 신체활동을 구성됨(9-12주). 건강생성이론 신체활동프로그램은 실제 장애노인을 대상으로 적용해 본 결과 다양한 연구변인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남. 전전두엽 실행 기능 향상, 주의집중력 증진, 의사소통능력이 향상을 보임.
    본 연구의 성과는 성과교류회 참여 2회(학제간융합연구 씨앗·새싹형 성과발표회, hubcon 컨퍼런스)와 국제학술대회 1회를 통해 발표하였음. 학제간융합연구 씨앗·새싹형 성과발표회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주최, 단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융합연구총괄센터 주관 발표회로서 여러 융합연구팀과의 결과 공유와 인적네트워크를 확장하는 장이었음. 2019 Hubcon 컨퍼런스는 한국연구재단에서 주최하고 융합연구총괄센터에서 주관하는 발표회로서 책임연구자와 공동연구자가 서로 나뉘어 다른 연구팀과의 성과교류와 유사 연구 간의 연구방법 및 대안에 대한 토론에 참여함. 2019년 국제사회과학컨퍼런스는 사회과학(스포츠과학부분) 컨퍼런스로서, 사회과학분야에서 교육과 스포츠과학 분야 연구결과를 발표하는 국제학술대회로서 태국 방콕에서 개최함. 학제간융합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동시에 해외 체육학자들과의 학문적 교류와 국제적인 연구역량을 증진함.
  • 영문
  • The development of health-producing physical activity programs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the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are conducted for research purposes. In order to develop a physical activity program based on the theory of health, the medical institution developed a draft program by identifying the needs of the consumers through a meeting with one person (social welfare worker) and three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nursing hospital, and developed the primary physical activity program after a meeting of experts and leaders. Applicable to 15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check the availability and effectiveness of developed programs. The Salutogenesis Physical Activity Program consists of two sessions per week, 60 minutes per session, and 24 sessions, and is conducted with three leaders and six assistants (one social welfare worker and five nursing care workers) for 12 weeks. The research measurement measures the research variables before and after the arbitration act (integrity, communication ability, attention concentration, prefrontal lobe function) and conducts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Specific achievements presented afte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hysical activity programs are recorded in the body of the research result report in detail The development of a health-generating theory-based physical activity program is designed by incorporating as much sense of unity as possible, a central concept of health-producing theory. Integrity is a measure of how people look at life, how they overcome their own resources in adversity and hardship, and how they develop. It is understood, manageable, and meaningful.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consists of three stages, and the first stage consists of physical activity (1-4 weeks) to enhance understanding of dry production theory. Step 2 is planned as a manageability physical activity (5-8 weeks). Step 3 consists of physical activity with a goal of enhancing meaning (9-12 weeks).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based on the theory of health production is applied to the physically handicapped and shows positive changes in various research variables. Improves the execution of prefrontal lobe, increases attention concentration, and improves communication skill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nnounced through two participation sessions of performance exchange meetings (interdisciplinary research seeds and sprouts-type performance presentations, and one conference of the Hubcon and an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seed and sprout type performance presentation was ho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nd organized by Dankook University, the Knowledge Content Research Institute, and the Center for Convergence Research, which expanded the sharing of results and human network with various convergence research teams. The 2019 Hubcon Conference is a presentation host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nd organized by the Center for Convergence Research, where the responsible and joint researcher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to participate in discussions on performance exchanges with other research teams and alternatives between similar studies. The 2019 International Science Conference was held in Bangkok, Thailand, as an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to announce the results of research in education and sports science in social science. Announcing the results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while simultaneously promoting academic exchanges with overseas physicalists and increasing international research capabilit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지체장애노인의 건강생성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확인을 연구목적으로 두고 사업을 진행함. 건강생성이론 기반 신체활동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요양병원 관련자(사회복지사) 1명과 요양병원 장애노인 3명을 면담을 통해서 수요자의 요구를 파악하여 초안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전문가 및 지도사의 회의 거쳐 1차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함. 개발된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과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지체장애노인 15명에게 적용됨. 건강생성(Salutogenesis)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12주간 주 2회, 회당 60분, 총 24회기로 구성하였으며, 지도자 3명과 보조자 6명(사회복지사 1명, 요양보호사 5명) 함께 진행함. 연구측정은 중재법 전·후 연구변인(통합성, 의사소통능력, 주의집중력, 전전두엽기능)들을 측정하였으며 참가자들에게 심층 면접을 실시함. 신체활동프로그램 개발과 적용과정을 거쳐 나타난 구체적인 성과는 연구결과보고서 본문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음. 건강생성이론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은 건강생성이론의 중심개념인 통합성(sense of coherence)을 최대한 접목하여 고안됨. 통합성은 사람들이 삶을 어떻게 바라보며 역경과 고난에서 어떻게 자신의 주변 자원을 활용하여 극복하고 건강을 유지 ․ 발전하는지 알아보는 척도로서 주요 구성요인으로 이해성, 관리성, 의미성이 있음. 신체활동프로그램은 크게 3단계로 구성하고, 1단계는 건간생성이론의 이해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신체활동을 구성함(1-4주)로 구성함. 2단계는 관리성 증진 신체활동으로 계획됨(5-8주)로 구성함. 3단계는 의미성 증진 목표로 신체활동을 구성됨(9-12주). 건강생성이론 신체활동프로그램은 실제 장애노인을 대상으로 적용해 본 결과 다양한 연구변인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남. 전전두엽 실행 기능 향상, 주의집중력 증진, 의사소통능력이 향상을 보임.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성과는 성과교류회 참여 2회(학제간융합연구 씨앗·새싹형 성과발표회, hubcon 컨퍼런스)와 국제학술대회 1회를 통해 발표하였음. 학제간융합연구 씨앗·새싹형 성과발표회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주최, 단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융합연구총괄센터 주관 발표회로서 여러 융합연구팀과의 결과 공유와 인적네트워크를 확장하는 장이었음. 2019 Hubcon 컨퍼런스는 한국연구재단에서 주최하고 융합연구총괄센터에서 주관하는 발표회로서 책임연구자와 공동연구자가 서로 나뉘어 다른 연구팀과의 성과교류와 유사 연구 간의 연구방법 및 대안에 대한 토론에 참여함. 2019년 국제사회과학컨퍼런스는 사회과학(스포츠과학부분) 컨퍼런스로서, 사회과학분야에서 교육과 스포츠과학 분야 연구결과를 발표하는 국제학술대회로서 태국 방콕에서 개최함. 학제간융합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동시에 해외 체육학자들과의 학문적 교류와 국제적인 연구역량을 증진함.
  • 색인어
  • 증거기반실제, 지체장애노인, Salutogenic 이론, 신체활동 프로그램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