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자아 정량화 빅데이터를 활용한 고령친화의 의료서비스 리빙랩 플랫폼 구축방안 : 상징적 상호작용 중심으로
Establishment of Age-Friendly Medical Service Living-lab Platform Using Big Data of uantified Self : Focused on Symbolic Interacti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B6070459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1 년 (2018년 09월 01일 ~ 2019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류재한
연구수행기관 전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이귀상(전남대학교)
정정호(전남대학교)
김민수(전남대학교)
신준호(전남대학교)
민춘기(전남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대한민국은 2026년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전망이며, 다른 선진국 대비 진입속도가 빨라 고령자를 위한 사회적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 현재 고령자의 사회·심리적 약화 현상은 우울증, 불안감에 의한 자살, 폭력범죄 등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액티브에이징을 위한 고령친화 산업을 육성하고 있지만, 사회적 함의를 탐색하는 개괄적 담론 수준으로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고령친화정책 미비, 장기요양인프라 미흡, 실버콘텐츠의 표준화 부재 등 실효성 없는 의료서비스로 고령자의 사회·심리적 태도변화는 미온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자의 사회·심리적 고립 및 소외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일환으로 고령자의 직접적인 사회참여를 견인하여 고령자 스스로 건강한 노후생활 유지 및 활기찬 삶을 영위하기 위한 고령친화 의료서비스 리빙랩 플랫폼 구축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고령친화 의료서비스 리빙랩은 사용자 참여형 혁신공간 테스트베드로써, 고령자 실제 참여하여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상호작용 속에서 유의미한 데이터 수집하고, 관측 실험을 통해 혁신적인 아이디어 상품을 창출할 수 있는 사회적 커뮤니티 메이커 공간으로 진화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의 사회적 관계 재구성을 위해 상징적 상호작용(Symbolic Interaction)에 의한 실생활의 감정, 심리, 행태, 경험, 수요 등을 관찰·측정하고, 자아 정량화(Quantified Self) 된 빅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고령자의 잠재욕구, 요구 및 불편사항 등을 정량·정성조사 분석을 통해 데이터마이닝하여 서비스컨셉을 도출한 의료서비스 리빙랩 설계를 목표로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향후 초고령 사회의 노인문제의 실제적인 해결방안 모색을 위해 고령자의 실생활 속에서 적극적인 건강관리 방안을 창출하기 위한 고령친화 의료서비스 리빙랩 플랫폼 구축방안을 제안할 것이다.
    이는 단기적인 일회성, 단순 개별측정, 분산된 데이터 수집이 아닌 고령자의 일상생활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자아 정량화 된 빅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고령자의 수요에 맞춘 최적의 의료서비스 리빙랩을 구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선순환 된 의료서비스의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하여 고령자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인돌봄, 고령친화체험 등 헬스케어 콘텐츠가 특화된 리빙랩 플랫폼으로 발전할 것이다.
    또한, 고령자 스스로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올바른 생활습관을 정립하고, 상시 자가 건강유지관리 및 동기부여를 통해 사회·심리적인 고립, 소외현상에 대한 긍정적인 의식 및 행태 변화를 견인할 것으로 기대해본다.
  • 연구요약
  • > 연구목적 및 내용

    - 고령자들의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건강 잠재력 향상 및 기능 회복, 건강 위험요인 대처, 심리적 성취감, 사회 참여의 동기부여 등 고령친화의 사회적인 대안 발굴을 모색함
    - 이를 위해 고령자의 상징적 상호작용 된 일상생활 속에서 자아 정량화 된 빅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편의성과 유용성이 확보된 유무형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콘텐츠가 반영된 의료서비스 리빙랩 플랫폼을 설계하고자 함

    > 연구추진방향

    고령자의 사회참여 니즈(Needs)별 유형 구분하여 데스크리서치, 현장조사, 관찰조사를 통해 주요 핵심요구사항을 도출하며, 이를 기반으로 해당 고령친화 의료서비스 대응방안 도출함

    > 1단계 연구내용 및 방법(1~8개월 차)
    고령자의 경험정의 및 분석에 의한 “자아 정량화(Quantified Self)”의 의료서비스디자인 및 콘텐츠 개발

    - 고령자의 인구통계확적, 물리적, 심리적 유형화
    - 행위 모니터링 및 위치 추적
    - 니즈 유형분석 및 Life-log 분석
    - 서비스 수용대상자의 관찰조사(쉐도잉, 사파리, 에쓰노그라피, Zmet)
    - 심리적 자기 평가(Psychological self-assessments) 분석
    - 고령자의 의료적 경험요소 분석 및 핵심요구사항 도출
    - 고령친화의 의료서비스 리빙랩 컨셉도출 및 개발전략 수립

    > 2단계 연구내용 및 방법(9~12개월 차)
    고령자의 “총체적 의료 환경(Holistic Medical Environment)”에서 리빙랩의 유무형 접점별 서비스 구체화 및 상용화 여부 검토, 추진

    - 서비스컨셉을 기반으로 의료서비스 리빙랩의 사례분석 및 기술검토
    - 디지털화 된 신체 정보(Digitizing body info) 데이터마이닝
    - 의료서비스의 경험요소별 서비스 플로우 설계
    - 학습모델을 통한 Prototype 개발 및 사용성 검증·평가
    - 최종 결과물의 상용화 및 법적 리스크 검토
    - 우선순위별 최종 서비스 블루프린트 개발 및 운영가이드 수립
    - 향후 리빙랩의 지역사회 문제해결 산학연계, 거버넌스 정책 제언 및 성공사례 공유·확산 성과관리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현재 대한민국은 고령사회이며 다른 선진국 대비 가장 빠른 속도로 2026년에 초고령화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국내는 초고령사회를 대비할 수 있는 사회적 대안이 시급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고령자의 사회적 고립감 및 소외감, 건강문제의 증가 등으로 인한 우울증, 자살 등 사회·심리적 악화 현상은 점차 심화되고 있다. 또한 정부의 고령자 지원 정책은 실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해 고령자의 사회·심리적 태도 변화가 미온적이라는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자의 사회·심리적 태도에 집중하여 고령자의 능동적인 사회활동 참여를 통한 건강한 노후생활의 영위를 견인하고자 고령친화 리빙랩 의료서비스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고령자의 지속적인 건강실천행위를 통한 사회적 활동을 견인하기 위해 사용자 참여형 혁신적 방법인 리빙랩 플랫폼 전략으로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실생활 속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관찰하여 고령자의 감정, 행태, 경험 등 분석할 수 있었으며, 고령자의 잠재욕구 및 요구사항 등을 도출하여 의료서비스 리빙랩의 청사진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리빙랩의 해외 선진 사례 분석, 현장조사와 관찰조사를 통한 고령자의 니즈 및 라이프스타일 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고령자의 사회적 관계망 속 라이프스타일을 유형화시켜 초고령사회에 대비할 수 있는 고령자 맞춤형 의료서비스 리빙랩 전략을 설계할 수 있었다. 이는 ①사회적 커뮤니티 속에서 고령자가 주체적으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운영, ②공공기관, 의료기관, 대학 등 다양한 주체 간의 협력을 통한 고령자 맞춤형 사회 케어 서비스, ③고령자의 의료서비스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보 서비스 프로그램 등으로 제안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국제학술대회 참가, KCI등재지 학술 논문 게재, 학술 세미나 개최의 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
  • 영문
  • Currently, South Korea is an aging society and compared to other developed countries, it is predicted to become a super aging society by 2026 at a record pace. At this, even though social alternatives are needed in Korea to prepare for a super aging society, social·psychological aggravations such as depression and suicide due to the social isolation and alienation and increased health problems of the aged are worsening.
    Also, senior support policies of the government cannot satisfy the desires of end users and problems in which the social·psychological attitude changes of the aged are lukewarm are continuing.

    At this, this study focuses on the social·psychological attitudes of the aged and proposes an age-friendly living lab medical service platform to lead in the management of healthy lives for the aged through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In particular, this study proposed a living lab platform strategy as an innovative user-participation method that can be used to lead social activities through the continuous health practices of the aged. For this, the emotions, behaviors, and experiences of the aged could be analyzed through observations of user experiences in actual life and the latent desires and demands of the aged were deduced to design blueprints for medical service living labs.

    This study analyzed overseas advanced cases of medical service living labs and conducted analyses of the needs and lifestyles of the aged through field surveys and observational studies and ultimately, lifestyles within the social networks of the aged could be categorized and medical service living lab strategies customized for the aged could be designed in preparation for a super aging society.
    This could be proposed as ① program operations so that the aged can autonomously perform health management within social communities, ② social care services customized for the aged through cooperation among diverse agents such as public institutions, medical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and ③ information service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medical service accessibility of the aged.

    Follow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participation was made in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s, academic theses were published in KCI registered journals, and academic seminars were hel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 1단계 연구내용 요약(1~8개월차)
    고령자의 사회적 관계 속 유의미한 행태 분석을 위해 상징적 상호작용 및 라이프스타일의 이론적 고찰, 데스크 리서치와 고령자의 의료서비스 환경 조사, 관찰 및 심층 인터뷰를 통해 주요 핵심 요구 사항을 도출하고 서비스 컨셉 전략 도출하였음
    - 초고령사회의 현황과 발생요인 및 문제점 고찰
    - 국내외 고령자에 대한 사회적 인프라 조사 및 시사점 고찰
    - 고령자 대상 콘텐츠의 개발 현황 및 사례 분석
    - 서비스 수용 대상자의 정량·정성적 조사 관찰 및 탐색
    - 서비스 수용대상자의 니즈 및 고충사항 탐색 및 경험 요소의 체계
    - 리빙랩의 융합콘텐츠 컨셉 도출 및 개발 전략 수립

    > 2단계 연구내용 요약(9~12개월차)
    1단계에서 조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비스 컨셉을 구체화하고 서비스 흐름 및 Prototype을 설계하여 이해관계자의 피드백을 받고 최종 아젠더를 기획하여 제안하였음
    - 의료서비스 리빙랩 컨셉 구체화
    - 최종 의료서비스 전략 및 운영 가이드 개발
    - 서비스 Prototype 설계
    - 향후 리빙랩의 지역사회 문제해결 산학연계, 거버넌스 정책 제언 및 성공사례 공유·확산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본 연구는 공학계열, 디자인, 인문학 등의 참여한 다학제적 융합연구로써, 다학제적 융복합 연구의 활성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사회·경제적 환경요인, 예방관리 요인 등 사용자 경험 중심의 고령친화 의료서비스의 다양한 의료서비스 연구의 확장을 기대할 수 있으며, 미래 고령친화 의료서비스의 상시 대응 전략을 모색할 수 있다.

    - 사용자 주도의 참여 플랫폼인 리빙랩 구축을 통해 고령자의 주체적인 건강관리와 사회참여 활동을 견인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활용하여 고령친화 의료서비스의 콘텐츠 개발 연구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으며, 예방관리의 인지도 향상을 통해 헬스케어 서비스의 기회점을 모색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주체의 참여를 통한 의료서비스 리빙랩 구축을 통해 의료서비스의 혁신적인 비즈니스 생태계를 제시할 수 있다.

    - 본 연구를 기반으로 중소 민간기업, 공공기관, 농촌마을 등 지역 보건의료산업의 이해관계자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보건의료 서비스 인프라를 고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고령친화산업 제품 및 서비스 개발,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 고령친화 경험정보 활용시스템, 헬스케어 유관기관 협력체계 구축 등 지역 상생의 융합 헬스케어 산업 육성을 위한 보건의료 리빙랩으로 구축할 수 있다.

    - 현재 국내 초기사업 단계인 보건의료 리빙랩의 활성화를 위해 리빙랩을 기반으로 한 지역 축제 및 문화예술 행사를 발굴할 수 있다. 고령자 및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예술 소통 콘서트, 소외계층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 미술·음악의 심리치료 프로그램 등 지역 내 대학과 공공기관, 고령친화체험관과 함께 운영하여 본 연구의 리빙랩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 복합적인 사회 문제를 통합적으로 볼 수 있는 융합인재를 양성할 수 있으며, 이는 의학적 지식체계, 공학적 분석능력, 디자인적 창조능력이 겸비된 전문인력으로 육성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고령친화, 상징적 상호작용, 자아 정량화, 리빙랩, 의료서비스디자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