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ICT 의료기기를 활용한 커뮤니티케어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모델 구축
Building a social value model for community care using ICT medical devic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융합연구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A2A03-2019S1A5A2A03040304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3 년 (2019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이규성
연구수행기관 삼성서울병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이문재(성균관대학교)
최항석(중앙대학교)
김한결(서울대학교병원)
이행준
최만규(고려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본 연구는 융합연구로서 ICT 의료기기를 활용한 커뮤니티케어 시범사업의 사회적 가치 구현 모델을 구축하고 그 적용가능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구체적으로 본 연구목표는 다섯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음.
    ①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의 현황분석과 함께 선도사업 대상 기초자치단체 주민을 대상으로 시설케어(institutional care)와 커뮤니티케어(community care)의 욕구조사를 통한 비교분석 실시
    ② 커뮤니티케어 사업에 적용되는 의료기기의 사회적 가치 실현정도를 근거이론에 의하여 질적으로 평가하여 사회적 가치 평가지표 도출
    ③ 질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선도사업의 의료기기를 적용한 사회적 가치실현 정도를 분석하고, 의료기기와 관련된 사회적 가치 평가를 위한 지표를 구성해 커뮤니티케어 사업의 성과평가 실시
    ④ 평가결과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회적 가치를 강화하기 위해 ICT를 활용한 의료기기 제품 컨셉을 도출
    ⑤ 도출된 ICT 의료기기를 커뮤니티케어 사업에 적용하기 위한 모델을 구축하고, 법적․제도적 적용가능성을 모색
  • 기대효과
  • ◉ 본 융합연구가 성공적으로 추진되었을 경우 다음과 같은 학문적, 사회적 기여가 있을 것임. 우선 학문적 측면에서의 기여도는 다음과 같음.
    ① 커뮤니티케어의 목표로서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활성화될 수 있음. 특히 선도사업에 대한 질적, 양적 평가를 통해 커뮤니티케어 사업의 사회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가능
    ② 외국의 커뮤니티케어 사업에서의 의료기기 적용사례를 우리나라와 비교해 봄으로써 한국의 커뮤니티케어 사업이 성공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 특히 이미 경험을 통해 축적되어있는 커뮤니티케어 사업의 발전과정을 로드맵화 하여 이론적으로 정립 가능
    ③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을 이용자와 제공자, 도시 규모, 의료자원 등 다양한 관점에서 입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커뮤니티케어 모델을 유형화
    ④ 커뮤니티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와 서비스를 제공받는 수혜자의 태도나 가치관의 차이를 검증하여 커뮤니티케어 성공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개선책 도출
    ⑤ 사회과학을 의료기기라는 의학, 의공학과 연계하여 연구함으로써 의료기기의 기술적 논의를 초월하여 제도적이고 가치적인 지향점을 제공. 또한 의료기기 적용과정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규제와 한계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근거마련의 계기
    ◉ 본 연구는 의학, 의공학, 사회복지학, 보건학, 정책학 등이 총망라되는 융합연구로서 실증적 분석을 통해 커뮤니티케어 사업의 방향과 의료기기 적용가능성을 모색하는 처방적 연구임. 따라서 본 융합연구가 기여할 수 있는 사회적 측면은 다음과 같음.
    ① 치매국가책임제 등 현 정부의 복지정책에 부합하는 치매환자 관련 보조기기 제품 지원 등을 통해 간병 및 요양비용 등 사회적 비용을 의료기기를 활용하여 절감가능
    ② 보조 의료기기 기술발달 수준에 비해 장애인 및 노인 대상 의료기기 서비스 관련 기업이 극히 부족한 국내사정을 감안할 때, 유사기업의 창업 및 육성을 위한 현장적용성을 높일 수 있고, 커뮤니케어 사업을 통해 이를 벤치마킹 가능
    ③ 노인들의 이동수단, 일생생활 보조기기, 통신기술 등이 가능한 생활환경을 조성하여 다양한 장애와 질병을 가진 노인들의 장벽 없는 삶과 사회환경을 구축하여 삶의 질을 제고
    ④ 커뮤니티케어 사업에 ICT 의료기기의 적용을 확장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수 있으며, 이에 근거하여 ICT 의료기기를 통하여 사회적 가치를 구현하는데 도움
    ⑤ 인공지능(AI)와 의료기기가 접목될 경우 고령화에 따른 웨어러블 소재의 네비게이션, 헬스케어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개발로 노인들의 신체적 활동에 도움
    ◉ 본 연구는 융합연구를 통한 ICT 의료기기의 커뮤니티케어 적용을 목적으로 하는 실용적 연구이므로 인력양성 및 교육연계 가능성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기여가 있음.
    ① 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의료기기의 활용은 노인들의 수준 높은 욕구를 충족시키고, 하이테크 정보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스타트업 창업으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의료기기 관련 기업가들에게 교육적 자료로 제공 가능
    ② 의료기기 창업을 원하는 예비 창업인을 대상으로 커뮤니티케어 국가사업을 설명할 수 있는 교육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의료기기 인허가와 관련된 규제와 한계점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 마련
    ③ 연구결과 도출된 ICT 의료기기 제품 컨셉을 발전시켜 실제적인 의료기기 제품개발을 통해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통로가 마련
  • 연구요약
  • ◉ 본 연구는 융합연구로서 ICT 의료기기를 활용한 커뮤니티케어 시범사업의 사회적 가치 구현 모델을 구축하고 그 적용가능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함. 본 연구는 다섯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음.
    ①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의 현황분석과 선도사업 대상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시설케어(institutional care)와 커뮤니티케어(community care)의 욕구조사를 실시하여 비교분석 실시
    ② 커뮤니티케어 사업에 적용되는 의료기기의 사회적 가치 실현정도를 근거이론에 의하여 질적으로 평가하여 사회적 가치 평가지표 도출
    ③ 커뮤니티케어 사업에 관한 질적 연구를 통해 도출된 사회적 가치 평가지표에 기초하여 커뮤니티케어 사업의 성과를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
    ④ 평가결과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회적 가치를 강화하기 위해 ICT를 활용한 의료기기 제품 컨셉을 도출
    ⑤ 도출된 ICT 의료기기를 커뮤니티케어 사업에 적용하기 위한 모델을 구축하고, 법적․제도적 적용가능성 모색
    ◉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크게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할 예정
    ① 서론에서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그리고 융합연구의 가능성 등에 대해 논의
    ② 이론적 논의부분으로 우선 커뮤니티케어의 필요성, 커뮤니티케어 사업의 의의, 해외 커뮤니티케어 사업의 사례 등에 대해 논의한 뒤, 커뮤니티케어 사업에 있어서 ICT 의료기기의 적용가능성에 대해 설명함. 또한 커뮤니티케어와 사회적 가치 구현의 관계와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융합연구의 필요성 논의
    ③ ICT 의료기기를 활용한 커뮤니티케어 사업의 사회적 가치 구현 모델 구축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동시에 수행하는 통합적 분석의 의의와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커뮤니티케어 사업을 평가하는 절차를 논의. 연구를 위한 분석틀과 분석을 위한 조사설계를 제시. 또한 사회적 가치를 구현하기 위한 ICT 의료기기 제품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
    ④ 이론적 논의와 방법론을 바탕으로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을 평가함. 구체적으로 커뮤니티케어 사업의 현황을 인력, 예산, 전달체계, 프로그램, 평가시스템 등을 중심으로 분석. 현황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선도사업 1년 경과 후 의료기기 적용과 관련하여 사회적 가치 구현에 대해 근거이론에 입각한 질적 연구를 수행. 이러한 수행결과를 바탕으로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을 양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표를 도출한 후 통합적 분석 실시.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의 질적, 양적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기초하여 사회적 가치를 구현할 수 있는 ICT 의료기기 제품의 개념을 도출.
    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ICT 의료기기 적용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적용가능성 모색
    ◉ 본 연구는 ICT 의료기기를 커뮤니티케어 사업에 적용하였을 경우 사회적 가치를 어떻게 구현하는지 분석함에 있어 하나의 방법론에 의존하기보다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혼합하는 통합적 연구방법(triangulation)이 요구
    ① 문헌연구(document research) :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커뮤니티케어, 사회적 가치, ICT 의료기기 등에 관련된 제도 및 실태, 통계자료, 선행이론 등을 수집하고 분석
    ② 근거이론(grounded theory)에 의한 질적 분석 : 현황분석 후에는 커뮤니티케어 사업 담당 공무원, 수혜자, 케어매니저,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근거이론을 이용한 질적 연구를 통해 의료기기 적용이 가져오는 사회적 가치의 경험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사회적 가치 평가의 이론적 평가체계 구축
    ③ 설문조사(survey)에 의한 양적 분석 : 질적 연구결과 도출된 사회적 가치 평가지표를 양적 지표로 재정의하여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 대상자의 양적 평가(설문조사) 실시
    ④ PMI 기법을 활용한 의료기기 컨셉 도출 : PMI 기법은 제안된 아이디어의 강점(Plus), 단점(Minus), 흥미로운 점(Interesting)을 따져 본 후 그 아이디어를 평가하여 하나의 아이디어에 대해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것임. 본 연구에서 질적, 양적 평가의 통합적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ICT 의료기기를 적용한 커뮤니티케어 사업에서 사회적 가치를 달성할 수 있는 의료기기 제품 컨셉을 개발하는데 이용.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표는 ICT 의료기기를 활용한 커뮤니티케어 시범사업의 사회적 기치 구현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의 현황분석과 시설케어와 커뮤니티케어의 욕구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근거이론에 의한 질적평가를 통해 커뮤니티케어 사업에 적용되는 의료기기의 사회적 가치 실현 정도를 확인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커뮤니티케어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가치를 강화하기 위해 ICT를 활용한 의료기기 제품 컨셉을 도출하고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1차년도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융합연구 가능성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론적 논의를 통해 기존에 수행된 커뮤니티케어 관련 연구, 사회적 가치의 관한 연구, 그리고 의료기기와 커뮤니티케어의 융합연구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ICT 의료기기 인허가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보건의료정보시스템을 활용한 건강증진 사업의 현황분석을 실시하여 현황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2차년도는 1차년도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질적 연구와 FGI를 실시하고, 돌봄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커뮤니티케어 사업의 양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커뮤니티케어 사업의 효과를 확인하고 현재의 한계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커뮤니티케어 사업의 평가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구현할 수 있는 지표를 구성하고자 돌봄서비스 품질평가 지표의 타당도를 분석하고 우선순위를 확인하였다. 3차년도는 1,2차년도에 수행한 연구내용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커뮤니티케어 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ICT 의료기기 제품의 개념을 다양한 유형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과 2016년 두 차례에 걸친 커뮤니티케어의 핵심사업인 돌봄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모든 돌봄서비스를 동일한 지표로 분석하기 보다는 지역단위, 개인단위의 평가지표와 평가영역을 확대하여 돌봄서비스 기관이 특성에 맞는 지표를 선택하여 평가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에게 맞춤형 커뮤니티케어를 제공하여 사회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과제 수행을 통해 궁극적으로 커뮤니티케어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더욱 세밀화되어 있는 지역별, 수요자별 측정방법이 필요하며, 수요자와 공급자 모두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커뮤니티케어를 통해 사회적 가치 중 행복지수, 미충족 의료, 주관적 건강상태를 실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CT 의료기기를 통한 실시간 의료서비스 제공으로 이를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영문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ocial banner realization model for a community care pilot project using ICT medical devices. To this end,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ty care leading projects and a survey of needs for facility care and community care were conducted. In addition, through qualitative evaluation based on grounded theory, the degree of social value realization of medical devices applied to the community care project was confirmed, and based on this, an index to evaluate community care was constructed. Finally, in order to enhance social value, the concept of medical device products using ICT was derived and the applicability was sought. In the first year,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research were discuss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 it was divided into previously conducted community care-related studies, studies on social values, and convergence studies between medical devices and community care. In addition, it took considerable time to license ICT medical devices, so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health promotion projects using the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system. In the second year, qualitative research and FGI were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first year, and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community care project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are service quality evaluation. Through this, the effect of the community care project was confirmed and the current limitations and improvement plans were sought. In order to construct indicators that can realize social values through the evaluation of community care projects, the validity of care service quality evaluation indicators was analyzed and priorities were confirmed. In the third year, the contents of research conducted in the first and second years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to derive various types of ICT medical device concepts that can be applied to community care projects. To this end, factors influencing user satisfaction with the care service, a core project of community car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wice in 2013 and 2016. Rather than analyzing all care services with the same indicator,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valuation indicators and areas of regional and individual units so that care service institutions can select indicators suitable for their characteristics and be evaluated.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realize social value by providing customized community care to users. Through this research project, it was confirmed that a more detailed measurement method by region and consumer is needed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community care, and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that can measure both consumers and suppliers is necessar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happiness index, unmet medical car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mong social values can be realized through community care,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can be realized by providing real-time medical services through ICT medical devic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ICT 의료기기를 활용한 커뮤니티케어 시범사업의 사회적 기치 구현 모델을 구축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의 현황분석과 함께 선도사업 대상 기초자치단체 주민을 대상으로 시설케어와 커뮤니티케어의 욕구조사를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둘째, 현재 커뮤니티케어 사업에 적용되는 의료기기의 사회적 가치 실현 정도를 근거이론에 의하여 질적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질적 평가결과 도출된 주요범주와 내용을 바탕으로 의료기기를 적용할 경우 사회적 가치 실현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구성하고, 실제로 커뮤니티케어 사업의 성과를 설문조사를 통해 양적으로 평가하였다. 넷째, 성과평가 결과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회적 가치를 강화하기 위해 ICT를 활용한 의료기기 제품 컨셉을 도출하였다. 다섯째, 도출된 ICT 의료기기를 커뮤니티케어 사업에 적용하기 위한 모델을 구축하고, 법적․제도적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여 향후 커뮤니티케어 사업의 사회적 가치를 구현하기 위한 ICT 의료기기 제품을 개발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1차년도는 탐색적 조사와 연구설계를 시작하는 단계로, 문헌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융합연구 가능성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론적 논의를 통해 기존에 수행된 커뮤니티케어 관련 연구, 사회적 가치의 관한 연구, 그리고 의료기기와 커뮤니티케어의 융합연구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선행연구 분석으로 커뮤니티케어 이론, ICT 의료기기 현황 및 한계점, 사회적 가치 이론, 통합적 방법론 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또한, ICT 의료기기 인허가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보건의료정보시스템을 활용한 건강증진 사업의 현황분석을 실시하여 현황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2차년도는 1차년도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질적 연구와 FGI를 실시하고, 돌봄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커뮤니티케어 사업의 양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커뮤니티케어 사업의 효과를 확인하고 현재의 한계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커뮤니티케어 사업의 평가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구현할 수 있는 지표를 구성하고자 돌봄서비스 품질평가 지표의 타당도를 분석하고 우선순위를 확인하였다. 분석을 통해 돌봄서비스 평가지표 중 불필요한 지표는 정리하여 실효성 있는 지표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지표개선을 위해서는 노인돌봄서비스에는 방문상담관리 지표를 추가하여 다양성을 확보해야 한다. 궁극적으로 커뮤니티케어의 평가의 지속성으로 ICT 의료기기의 적용을 통한 사회적 가치 구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내적일치도와 타당성에 기반하여 돌봄서비스 평가지표를 표준화시켜야 한다고 보았다.
    3차년도는 1,2차년도에 수행한 연구내용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커뮤니티케어 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ICT 의료기기 제품의 개념을 다양한 유형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과 2016년 두 차례에 걸친 커뮤니티케어의 핵심사업인 돌봄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이용자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서비스유형별 평가지표를 차별화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시간의 확대를 통해 돌봄서비스의 질을 높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돌봄서비스를 동일한 지표로 분석하기 보다는 지역단위, 개인단위의 평가지표와 평가영역을 확대하여 돌봄서비스 기관이 특성에 맞는 지표를 선택하여 평가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에게 맞춤형 커뮤니티케어를 제공하여 사회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과제 수행을 통해 커뮤니티케어의 이론적 논의를 진행하고, 돌봄서비스 평가의 질적, 양적 분석을 통해 평가지표를 개선하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였다. 궁극적으로 커뮤니티케어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더욱 세밀화되어 있는 지역별, 수요자별 측정방법이 필요하며, 수요자와 공급자 모두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커뮤니티케어를 통해 사회적 가치 중 행복지수, 미충족 의료, 주관적 건강상태를 실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CT 의료기기를 통한 실시간 의료서비스 제공으로 이를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① 현재 시범사업 중이 커뮤니티케어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
    - 2019년부터 시행된 커뮤니티케어는 현재까지 시범사업에 머물고 있으며, 수요자, 공급자 측면에서의 성과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임
    - 향후 커뮤니티케어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지금까지 제공된 커뮤니티케어의 성과평가를 통해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함
    - 이는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영리유형, 서비스유형, 이용자수, 매출액, 운영계획, 근로기준, 교육시간, 근속률, 지역사회관리, 현장평가 등의 지표를 통해 가능할 것으로 보임
    - 특히, 수요자 측면만이 아닌 공급자 측면에서도 성과평가를 실시하여 더욱 양질의 커뮤니티케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임
    ② 커뮤니티케어와 같은 보건의료정책 제공으로 실현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를 제기하고 있음
    -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의 미충족 의료, 주관적 건강상태, 지역주민의 행복지수, 만성질환과 건강행태의 관계 등을 확인하고 있음
    - 의료서비스 제공과 건강행태, 사회적 가치와 관련된 미충족 의료, 주관적 건강, 행복지수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있어 커뮤니티케어로 수요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의 범위를 정의함
    - 또한, 기존 보건의료체계에서만 진행하던 연구를 ICT 의료기기와 접목하여 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공학적 시각을 반영함
    - 미충족 의료나 주관적 건강상태 개선을 위해 ICT 의료기기의 활용방안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는 의료기기 기업이 제품을 개발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보임
    - 이를 통해 ICT 의료기기의 사용목적을 제공하고 이에 근거한 제품개발로 신속한 시장진입으로 커뮤니티케어에 적용될 수 있을 것임
    ③ 커뮤니티케어에 적용가능한 ICT 의료기기 제품 컨셉 개발로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음
    - 의료기기는 보건의료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ICT 의료기기의 주요 기능인 실시간 모니터링, 건강상태 개선 등을 통해 커뮤니티케어의 성과를 확신시킬 수 있음
    - 이를 통한 커뮤니티케어의 확산은 ICT 의료기기의 활용도를 높혀 의료기기산업의 성장을 가져올 것임
    - 또한, 본 연구에서 논의된 ICT 의료기기의 인허가, 건강보험 적용 방안 등은 의료기기 기업이 벤치마킹 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어 인력이 부족한 의료기기 기업의 성장에 기여함
    - 궁극적으로 커뮤니티케어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ICT 의료기기를 적용함으로써 노인 인구의 건강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의료비 지출 감소, 개인의 삶의 질 향상, 주관적 건강상태 개선 등으로 사회적 가치 구현에 기여할 것임
  • 색인어
  •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의료기기, 사회적 가치, 커뮤니티케어, 다각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