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첨단 과학기술 사회의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 참여형 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효과 탐색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Socioscientific Issues for Participatory Citizens’ Progra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융합연구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A2A03-2019S1A5A2A03041635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3 년 (2019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이현주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심성옥
황요한(충남대학교)
고연주(이화여자대학교)
옥승용(한경대학교)
최유현(충남대학교)
남창훈(대구경북과학기술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3차년에 걸쳐 ‘첨단 과학기술 사회의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 참여형 교육 모델 및 프로그램(Socio-Scientific Issues for Participatory Citizenry, 이하 SSIPaC)’을 개발하여 적용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 사회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참여적 시민”을 양성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이다. 이를 위해, 1차년도에는 SSIPaC을 개발하기 위해 국내외 과학기술 관련 시민 참여 교육 모델의 사례를 조사하여,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 적합한 SSIPaC 모델과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한다. 2차년도에는 1차년도에 개발할 SSIPaC을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우선적으로 적용하고자 한다. SSIPaC를 통해 지역사회 전문가나 지역주민들과 협업하여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시민 참여에 대한 인식 및 과학/기술자의 역할에 대한 인식, 문제해결 역량 등의 변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3차년도에는 SSIPaC 프로그램을 중·고등학교 현장으로 확산하는데 목적이 있다. SSIPaC에 참여한 대학생들(혹은 참여 의지가 있는 대학생들)과 관심 있는 중·고등학생을 멘토-멘티로 연결해줌으로써 이공계 대학생들은 교육을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문가로서 봉사하는 경험을, 학생들은 대학생들과 함께 문제 해결에 참여해 봄으로써 ‘참여적 시민’으로서의 역량과 인성을 갖추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 기대효과
  •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SSIPaC은 이공계 대학생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는 이공계 전문가로 교육시키는데 활용될 것이다. 둘째, 중·고등학생 때부터 체계화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연구 경험을 갖고, 진로에 대해 탐색해보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고등학생들에게 매우 의미 있는 활동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될 SSIPaC은 지역사회와 학교, 시민교육과 교과교육, 학교교육과 평생교육을 연결지어 구현하는 좋은 교육프로그램의 사례가 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SSIPaC의 효과검증을 위해 시민으로서의 역량과 인성, 창의적 문제해결력, 과학기술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측정하는 검사도구(또는 평가기준표)를 개발하여 사용하게 된다. 연구에 사용될 검사도구들은 과학교육분야 뿐만 아니라 시민 교육이나 인성 교육, 인재 양성 등의 학문 분야에서도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SSIPaC는 지식과 인성 및 가치, 과학기술 발전 방향에 대한 인식 등을 강조함으로써 지식과 인성이 더불어 전인적으로 함양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SSIPaC의 적용 결과는 과학교육과정 및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1차년도에는 SSIPaC 개발을 위해 과학기술 관련의 문제(SSI)와 관련된 국내외 시민 참여형 교육 모델 사례(예: 유럽연합의 PARRISE 프로젝트, 캐나다의 STEPWISE, 호주의 과학관 연계프로그램, 국내 리빙랩 등)를 수집하고, 해당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교육프로그램의 요소 및 전략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델파이조사를 통해 시민 참여적 SSI 교육의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이론화한다. 마지막으로 CCD 모형을 적용하여 이공계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SSIPaC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시범운영한다.
    2차년도에는 SSIPaC의 적용 및 효과 탐색을 위해 이공계 대학 학부학생 20-30여 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에 걸쳐 SSIPaC 프로그램을 운영한 후, ‘시민 참여’에 대한 인식, 창의·융합적 문제해결력, 과학기술의 본성에 대한 이해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한다. 이를 위해 타당화된 검사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이공계 학생들이 문제를 선정하고 해결해나가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특성(예:문제 해결 접근 방법 및 전략 등)을 분석하기 위해 산출물 평가, 행위자 네트워크 맵 분석, 조별토의 및 인터뷰 내용분석 등을 실시하고자 한다.
    3차년도에는 대학생과 중·고등학생을 연계하는 SSIPaC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고자 한다. 우선, 대학생과 중·고등학생들로 구성된 팀을 만들어 SSIPaC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한 후, 대학생들의 과학자의 역할 및 과학분야 연구의 중요성, 시민의 역할 등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변화를 살펴본다. 또한 멘토링 프로그램이 중·고등학생들의 과학기술 사회에서 살아가는 시민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 및 인성, 창의적 문제해결력, 과학기술의 본성에 대한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도 탐색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성과 사례 발표회 및 사례집 발간 등을 통해 시민 참여형 교육 모델 및 프로그램의 확산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현대 사회에서 과학기술은 인류에게 많은 혜택을 주지만, 동시에 다양한 사회․윤리적 쟁점들을 야기한다. 최근 이슈화된 COVID 19 백신의 안정성이나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위협, 화학물질의 유출, 환경 파괴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와 같은 첨단 과학기술 사회 쟁점을 책임감 있게 해결하고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과학기술자와 참여적 시민을 양성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팀은 3년에 걸쳐 ‘첨단 과학기술 사회의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 참여형 교육 모델 및 프로그램(SSIPaC, 이후 ENACT로 명칭 변경)’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1차년도에는 SSIPaC 개발을 위해 문헌조사, 국내외 유사 프로그램 사례 조사 및 전문가 협의회 등을 통해 SSIPaC를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는 ENACT 모형을 제안하였다. 2차년도에는 자연과학이나 공학 관련 분야를 전공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ENACT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그 효과성을 탐색하였다. ENACT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대학생들의 과학기술의 본성에 대한 이해,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인식, 문제해결을 위한 역량과 실천 의지 등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3차년도에는 ENACT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대학생들이 멘토가 되어 중·고등학생의 ENACT 프로그램 참여를 지도하는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과정에서 대학생과 중·고등학생 모두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해결에 관한 유의미한 학습 경험의 기회를 가졌다. 본 연구팀은 ENACT 성과 사례 발표회나 심포지움, 교사연수 등을 통해 ENACT 프로그램의 확산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였으며, 앞으로도 ENACT 프로그램의 국제적 확산과 브랜드화를 위해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진행할 계획이다.
  • 영문
  • Science and technology have provided tremendous convenience and benefits to mankind. At the same time, various social and ethical issues, such as concerns about the COVID 19 vaccine, the dangers of humidifier disinfectants, chemical leakage,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were raise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nurture scientists, engineers and participatory citizens who feel responsibility for the issues and are willing to act on them. Over the research year, a new educational model and program, called ENACT, was suggested and implemented for different target groups.
    In the first year, the ENACT model, a systematic teaching-learning model for cultivating social responsibility of scientists and engineers, general public and students. was proposed. It was based on extensive literature reviews, case studies of exemplary overseas education programs, and continuous discussions with experts. In the second year, w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ENACT program on promoting views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college students in STEM fields. The college students presented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views of social responsibility, their understanding of na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ir problem-solving skills. And in the third year, th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NACT program became mentors and guide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proceed with the ENACT program. Both mentors and mentees had meaningful learning opportunities to solve societal issues and to take actions toward the issues.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spread the ENACT program including symposiums, conference presentations, teacher workshops, and exhibitions of ENACT outcomes. More efforts will be continued to establish the ENACT program as an internationally prestigious on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현대 사회에서 과학기술은 인류에게 많은 혜택을 주지만, 동시에 다양한 사회․윤리적 쟁점들을 야기한다. 과학기술의 발달이 야기하는 사회․윤리․도덕적 쟁점들을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영어로는 Socioscientific Issues (SSI)라고 부른다. 최근 이슈화된 COVID19 백신의 안정성이나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위협, 화학물질의 유출, 환경 파괴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와 같은 첨단 과학기술 사회 쟁점을 책임감 있게 해결하고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과학기술자와 참여적 시민을 양성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팀은 3년에 걸쳐 ‘첨단 과학기술 사회의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 참여형 교육 모델 및 프로그램(SSIPaC, 이후 ENACT로 명칭 변경)’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1차년도에는 SSIPaC 개발을 위해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 해결을 위한 국내외 시민 참여형 교육 모델 사례(예: 유럽연합의 PARRISE 프로젝트, 캐나다의 STEPWISE, 호주의 과학관 연계프로그램, 국내 리빙랩 등)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전문가합의형성워크숍기법(CWM)을 통해 대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해결해야 할 쟁점들을 선정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역량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SSIPaC를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는 “ENACT 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구팀은 ENACT 모형의 시범 운영과 전문가 검토를 통해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2차년도에는 자연과학이나 공학 관련 분야를 전공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ENACT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그 효과성을 탐색하였다. COVID19 하에서도 ENACT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온라인 워크스페이스를 구축하여 다수의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ENACT 프로그램의 효과성 탐색을 위해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인식 검사도구(VSRoSE)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ENACT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대학생들의 과학기술의 본성에 대한 이해,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인식, 문제해결을 위한 역량과 실천 의지 등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3차년도에는 대학생과 중·고등학생을 연계하는 ENACT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였다. ENACT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대학생들이 멘토가 되어 중·고등학생의 ENACT 프로그램 참여를 지도하였다. 이 과정에서 대학생과 중·고등학생 모두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해결에 관한 유의미한 학습 경험의 기회를 가졌다. 본 연구팀은 ENACT 성과 사례 발표회나 심포지움, 교사연수 등을 통해 ENACT 프로그램의 확산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ENACT 모형은 과학기술의 본성을 탐색하는 Cycle I과 과학․기술․공학적 문제해결과정을 수행하는 Cycle II로 구성된다. 이는 ENACT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사회문제 해결에 앞서 과학기술이 인간, 환경,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과학기술의 본성을 지속적으로 고려함으로써 보다 책임감 있는 문제해결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함이다. 또한 교수자들이 ENACT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5단계의 교수학습 모델(쟁점발견(E), 쟁점탐색(N), 미래상황 예측(A), 과학․기술․공학적 쟁점해결(C), 사회적 실천(T))과 전략을 제시하였다.

    둘째, 이공계 관련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ENACT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VSRoSE로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참여학생들은 VSRoSE의 8개 하위 요인 중 대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또한 학생들의 프로그램 참여 과정에서 산출된 결과물과 면담 등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과학기술관련 쟁점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매우 향상되었으며, 과학기술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 확대되었다. 또한 문제해결을 위한 역량과 실천의지도 향상된 모습이 관찰되었다.

    셋째, ENACT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결과, 멘토로 참여한 대학생들은 과학기술 분야 전문가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인식하는 기회를 가졌으며, 중·고등학생들은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에 관심을 갖고 문제해결을 위한 역량과 실천의지를 함양하였다.

    본 연구팀은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활용하고자 한다.
    첫째, 유럽이나 캐나다 등에서는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해결을 위한 대규모 교육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성과가 브랜드화 되어 여러 나라로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팀은 ENACT 프로그램도 국제적으로 확산되고 브랜드화될 수 있도록 다각도로 홍보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ENACT 프로그램은 이공계 대학생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는 이공계 전문가로 교육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학교 전공 및 교양 교육과 ENACT 프로그램의 연계를 통해 자기주도적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프로젝트 모델로 활용할 계획이다.

    셋째,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생태전환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 기후변화 교육 등 과학기술관련 쟁점과 관련된 내용이 더욱 강조된다. ENACT 프로그램은 중·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중·고등학교로의 확산을 위해 ENACT 교사교육을 지속적으로 수행해나갈 계획이다.

    넷째, ENACT 프로그램은 과학에 관심 있는 일반 대중을 위한 평생교육의 방안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과학문화를 확산하고, 시민의 과학기술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시민과학 운동의 하나로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국내 과학관과의 협력으로 ENACT 프로그램 성과를 지속적으로 공유해나갈 계획이다.
  • 색인어
  • 과학기술 관련 사회문제, 과학기술의 본성, 사회적 책임,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역할,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민과학, 문제해결역량, 멘토링, ENACT 프로그램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