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Research Project Search > Research View

Research Projects Detailed Information

성폭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장단기 영향 연구: 융복합 통합이론의 구축에서 스마트헬스 프로그램 개발까지
Longitudinal Effects of Sexual Assault on Mental Health: Developing Smart Health Care Program Based on Integrative Theoretical Model
  • Researchers have entered the information directly to the NRF of Korea research support system
Program 연구그룹형(국내형)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Project Number 2019-S1A5A2A03-2019S1A5A2A03045289
Year(selected) 2019 Year
Research period 3 Year (2019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chief of research 김기현
Executing Organization 성균관대학교
the present condition of Project 종료
Cooperation researcher 김재원(서울대학교)
주영준(연세대학교)
서미혜(성균관대학교)
이지하(숭실대학교)
Research Summary
  • Goal
  •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자 지원 서비스의 개발을 위해 크게 세 가지의 연구목표를 가지고 있음. 첫째, 성폭력 피해자의 정신건강문제 발생기전에 관한 통합적 이론을 구축함 둘째, 성폭력 피해자 지원서비스의 중개원칙 도출 셋째, 성폭력 피해자 지원에 스마트헬스 기술 도입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함
  • Expectation Effectiveness
  • 첫째, 학문적으로 성폭력 정신건강에 관한 한국적 맥락의 통합이론을 구축하고, 성폭력 정신병리 발생기전을 규명할 수 있음. 둘째, 정책적으로 성폭력과 관련된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전략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셋째, 임상적으로, 성폭력과 관련된 질병예측과 정신병리와 관련된 효과적인 예방/치료전략 수립에 대한 제언, 현장 성폭력 피해자 지원서비스에서 효과적인 개입전략의 수립에 대한 제언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넷째, 교육적으로, 융복합 연구인력 양성의 예시가 될 것으로 보임. 다섯째, 사회적으로, 성폭력과 피해자들에 대한 대중인식 개선 그리고 경각심 환기로 긍정적 정책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됨.
  • Summary
  • <연구목적>
    우리사회가 성폭력 피해자 지원과 예방을 위해 경주하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피해자들에 대한 총체적인 서비스 제공과 이를 뒷받침하는 이론 구축은 미진한 실정임. 같은 성폭력 피해자라도 서로 다른 정신적 후유증을 나타내므로, 피해자의 다양한 정신건강서비스 욕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피해특성 뿐만 아니라 이들의 온/오프라인 생활세계를 고려한 통합적인 모델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하지만 많은 국내 선행 연구들은 피해자의 특성만을 주목하는 단기추적관찰 연구로, 피해자의 중장기적인 정신건강 문제 발생 기전을 파악하기에 한계를 가짐. 또한 다수의 피해자가 디지털 네이티브인 10대 청소년과 초기 성인기 청년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정신건강을 이해하는 과정에 인터넷 및 소셜 미디어 환경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음. 게다가 성폭력 피해 경험은 피해자의 정신건강문제, 재피해 위험과 밀접한 상관이 있는 위험행동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되지만, 사건 이후 피해자의 건강위험행동을 고려한 국내 연구는 전무하였음. 따라서 본 연구는 피해자의 구체적 피해특성을 포함한 가족, 지역사회 환경 평가, 인터넷/SNS 이용 양태, 건강위험행동, 지원 서비스 이용현황을 수집한 정신건강 장기 추적데이터 구축을 목표로 함. 이를 통해 피해자의 정신건강문제 발생기전에 관한 통합적 모델을 구축하고자 함. 이는 효과적인 성폭력 피해자 지원 서비스 개발에 중대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됨. 현재 성폭력 피해자 지원 서비스의 낮은 접근성과 계속이용률은 서비스 이용의 가장 큰 장애물로 지적되어왔음. 따라서 연구진은 개발한 성폭력 피해자에 관한 통합적 이론을 모바일 기반 개입 프로그램에 접목 시도 하여, 피해자 지원에 스마트헬스 기술 도입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함. 이는 성폭력 피해자의 지원 서비스 접근성을 확대시키고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데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 기대됨.

    <연구 내용과 방법>
    1) 예비연구 결과- 본 연구진은 지난 4년간 보건복지부 정신건강 기술개발지원단으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아 '성폭력 피해자 현황과 피해유형별 특성에 대한 기초조사분석연구'를 진행함. 해당연구는 성폭력 사례관리시스템의 피해정보, 서비스 이용양태와 임상심리평가를 병행하며, 장기관찰연구의 발판을 마련함. 현재 216명의 피해자와 255명의 대조군을 모집하고 1차 정신과진단평가를 완료한 상태임.
    2) 본 연구는 상기의 예비연구 결과 및 연구 참여자들을 baseline으로 삼아 성폭력 피해특성 유형화와 정신건강수준 관계의 장기적 추적,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활동정보의 수집과 인터넷/미디어 이용양태와의 연관성 분석, 스마트 헬스 앱 개발을 수행하고자 함
    3) 이를 위해‘피해특성과 지원서비스 연구팀’‘성폭력 휴유증 기초 연구팀’‘성폭력과 인터넷 연구팀’‘스마트헬스기술개발 연구팀’의 4개 융복합 연구팀을 구성하였음. 해당 연구팀들은 상호협력은 물론, 해외유수대학과의 연계를 기본으로 연구를 진행하며, 성폭력 피해자 지원 실천현장 기관과 외부 유관기관 및 전문가들과의 연계체계를 구축하고 있음
Research Summary
  • Korean
  • 성폭력이 발생한 후 피해 경험자가 다양한 정신건강 상의 어려움을 경험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나, 성폭력과 정신건강 간 인과관계에 대한 기전의 규명이나 설명 및 대응책에 관한 국내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복지학·정신의학·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데이터사이언스학 전문가로 구성된 다학제적 융복합 연구팀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표는 1) 아동, 청소년, 성인 발달단계별 성폭력 경험자의 피해로부터 3개월 이내, 1년, 3년 후 정신건강 장기 추적관찰 데이터 구축, 2) 발달단계별 성폭력 피해특성과 성폭력 경험 후 정신병리 혹은 회복에 이르는 다양한 위험요인, 보호요인을 포괄하는 기전 규명, 3) 소셜미디어 크롤링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한 성폭력 경험자의 소셜미디어 및 온라인 사용의 구조적, 내용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탐색, 그리고 이상의 연구결과에 바탕해 4) 성폭력 경험자의 일상 회복을 돕기 위한 정신건강 증진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실현가능성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1) 성폭력 경험자의 온오프라인 생활세계를 포괄하는 장단기 정신건강문제 발생기전에 관한 융복합 통합이론을 구축하고, 2) 성폭력 피해자 지원서비스의 중개원칙을 도출하며, 3) 성폭력 피해자 지원서비스의 접근성 및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모바일 기반 스마트헬스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일선 현장에 보급하는 초석을 다지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팀은 지난 3년간 다음과 같은 일들 수행하였다. 1) 기존 4년간(2015-19)의 성폭력 예비연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내 최초로 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에 내방한 피해 경험자들과 함께 성폭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국 단위의 대규모 장기추적 종단데이터를 구축, 2) 아동, 청소년, 성인 발달단계별 표준화된 정신건강평가, 건강위험행동, 피해자 지원기관 사례정보 시스템상의 구체적인 피해특성 및 지원서비스 이용내역 등 다양한 위험 및 보호요인에 대한 정보 수집, 3) 성폭력 피해경험과 SNS 이용 및 온라인 위험행동에 관한 설문 및 크롤링 데이터 구축, 그리고 마지막으로, 4) 성폭력 경험자 셀프케어 어플리케이션 올리브(allive)를 개발하여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정식 등록 및 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구축된 데이터를 통해 발달단계별 성폭력 피해특성에 대한 프로파일 분석, 성폭력이 정신건강 혹은 회복으로 이어지는 기전에 대한 분석, 성폭력 피해경험과 온라인 이용 및 위험행동 간의 관련성 규명 등에 관한 혁신적인 연구들을 수행해 국내외 저명학술지에 논문 13편을 게재하였으며, 이외에도 다수의 논문이 심사 혹은 작성 진행 중에 있다. 이밖에도 현재 진행 중인 성폭력 경험자와 대조군에 관한 3차 추적관찰 데이터 수집이 마무리 되는 23년 하반기에는 더 많은 국내외 저명학술지 게재가 예상된다. 이는 성폭력과 정신건강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통합적 이론구축, 특히 온라인 및 SNS 이용 특성과 성폭력 경험 및 정신건강의 관련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능케 할 것이며, 이처럼 온라인 세계를 본격적으로 고려한 혁신성은 국내외 성폭력 및 외상 연구 발전에 중요한 학문적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또한 성폭력 피해자 지원 현장과의 협업 연구로 피해자 지원기관의 전문성 향상에도 실질적인 기여를 해왔다. 실재 피해자 지원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단축형 정신건강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현재 일선 기관에서 사용 중이며, 무엇보다 피해경험자들의 일상 회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개발과정에서 스마트헬스 적용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진행하여 피해자 지원 영역에서의 스마트헬스 적용에 대한 국내 논의를 선도하였으며,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개발된 앱은 성폭력 경험자와 전문가들에게 높은 유용성을 평가받고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정식 등록되었다. 개발과정에서 마련한 이론적, 실증적 근거를 발판삼아 향후 지속적인 전파와 수정·보완을 통해 성폭력 경험자들의 정신건강 증진과 일상 회복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다.
  • English
  • This study aimed to construct an integrative theory on mechanism underlying the short- and long-term mental health of sexual assault survivors with multidisciplinary research team, consisting of experts on Social Welfare, Psychiatry, Media Communication, and Data Science. By examining the integrative theory, we have drawn the determinants of individual differences on sequelae of sexual assault, the principles of supporting services, and the contents of mobile health-care intervention program. Below are the details of the study.
    First, we have constructed the first Korean nationwide large scale longitudinal data about the mid- and long-term effects of sexual assault victimization on mental health. The data embrace not only the trauma-related assessment on a wide range of psychiatric disorders and health risky behaviors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stages, but also detailed sexual assault properties and records of supporting services from the sexual assault survivors supporting institution’s case information system, and survey data on the internet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employed text mining and other data scientific analysis on Twitter and Instagram crawling data of the sexual assault survivors and the comparison group to understand the relation of SNS using online communication patterns and their mental health or sexual victimization. Lastly, we developed self-care application for survivors of sexual assaults, “Olive(allive)”,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and retention of sexual assault victim supporting services.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research team took the head on the smart health care approach to the survivors supporting services domestically by conducting systematic review. Based on a such high theoretical background, the application was highly rated for its utility by the professionals and survivors. The application “allive” has been formally registered in Google Play Store, and based on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evidence of its effectiveness, it is planning to be continuously disseminated to the Sexual Assault Victim Advocacy Centers and relating counseling fields in Korea.
Research result report
  • Abstract
  • 우리사회가 성폭력 경험자의 지원과 예방을 위해 경주해온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성폭력 경험자들에 대한 총체적인 서비스 제공과 이를 뒷받침하는 이론 구축은 미진한 실정이었다. 성폭력은 경험자에게 상당한 장단기 정신건강 후유증을 남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개인의 반응에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여 이러한 다양성을 설명하고, 성폭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장단기 영향의 기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피해특성, 경험자의 발달경험 및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생태체계 내 다양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들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또한 성폭력 후유증은 외상기억에 대한 억압과 재경험이라는 양극단을 오가며 시간의 흐름 속에서 다양한 증상으로 변모하기 때문에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방면의 정신질환에 대한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성폭력 경험자에 대한 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기존에 수행된 연구들 또한 소규모 또는 단기 추적관찰 중심의 연구라 장기적인 피해 후유증과 경험자들 집단 내의 후유증 차이를 규명하기엔 부족한 면이 있었다. 또한 최근 N번방 사건과 같이 온라인 위험행동 및 온라인 기반 성폭력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오프라인 성폭력 피해경험자들도 대다수가 디지털 네이티브인 10대 청소년 및 초기 성인기 청년이라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정신건강과 사회관계망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인터넷 및 소셜 미디어 환경에 대한 고려가 국내뿐 아니라 국외에서도 거의 전무한 상황이었다.
    이에 본 연구팀은 한국적 맥락에서 성폭력 경험자의 장단기적인 정신건강문제 발생기전에 관한 온오프라인 세계를 아우르는 융복합 통합이론을 구축하고, 국내 성폭력 피해자 지원서비스의 중개원칙을 도출하며, 나아가 지원 서비스의 접근성 및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스마트헬스 기반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사회복지학·정신의학·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데이터사이언스학 전문가로 구성된 다학제적 융복합 연구팀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팀은 앞선 4년간(2015-2019)의 전국 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 이용자의 정신건강 및 피해특성 기초조사 예비연구를 기반으로, 피해 직후부터 3년간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해리·불안·우울, 더 나아가 건강위험행동·문제행동·알콜남용·수면장애·식이장애·자살경향성 등 다양한 정신과적 후유증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대규모 종단데이터를 구축하였다(피해군 n=289, 대조군 n=480). 해외에서는 물질남용, 성적 위험행동, 식이장애, 자타해 등 건강위험행동이 성폭력 경험자의 심리적 대처기제로 이용되면서 또 다른 외상 경험과 신체 및 정신건강문제로 이어지는 문제가 활발히 논의되었지만, 이를 고려한 국내 연구는 전무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장단기 후유증의 발생기전을 이해하고자 구체적인 피해특성, 발달경험, 가족·지역사회·온라인 환경, 지원서비스 이용양태 등을 함께 조사하여 통합이론을 수립·검증함으로써, 국내 성폭력 피해자 지원 서비스 및 정책에 중요한 함의들을 제공해 왔다. 또한 청소년 및 성인초기 성폭력 피해경험자의 소셜미디어 이용의 구조적·내용적 특성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SNS크롤링을 통해 피해자군과 대조군의 트위터와 인스타그램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구축하여 텍스트마이닝 등 다양한 데이터사이언스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해 왔다. 이는 성폭력 뿐만 아니라 국내외 외상 연구 전반에서 혁신적인 시도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팀은 구축한 이론을 바탕으로 현재 성폭력 피해자 지원서비스의 한계로 지목되고 있는 서비스의 접근성과 계속 이용률을 높일 방안을 찾고자, 스마트헬스 기술을 접목해 성폭력 경험자 셀프케어 어플리케이션 올리브(allive)를 개발하였다. 개발과정에서 본 연구의 통합이론을 바탕으로 피해자 지원 영역에서의 스마트헬스 적용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진행하여 피해자 지원 영역에서의 스마트헬스 적용에 대한 국내 논의를 선도하였으며,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개발된 앱은 성폭력 경험자와 전문가들에게 높은 유용성을 평가받고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정식 등록되었다. 개발과정에서 마련한 이론적, 실증적 근거를 발판삼아 향후 지속적인 전파와 수정·보완을 통해 성폭력 경험자들의 일상생활 회복에 실질적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Research result and Utilization method
  • 본 연구팀은 기존 4년간의 성폭력 예비연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을 내방한 성폭력 피해 아동청소년 및 성인 289명과 대조군 480명 총 769명을 대상으로 피해 직후부터 3년간의 추적관찰조사를 진행하여, 국내 최초로 성폭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국 단위의 대규모 장기추적 종단데이터를 구축하였다. 해당 데이터는 성폭력 경험자의 발달단계를 고려한 다방면의 정신질환 및 건강위험행동과 더불어, 피해자 지원기관 사례정보 시스템상의 구체적인 피해특성 및 지원서비스 이용내역, 온라인 환경에 대한 설문 및 SNS 크롤링 데이터와 연계되어 전세계적으로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의 방대한 통합데이터이다. 이에 연구팀은 국내 성폭력 경험자의 장단기 후유증의 다양한 양상과 기전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통합적 이론을 수립하고 검증하며 성폭력 피해자 지원서비스 및 정책에 중요한 증거기반들을 마련하여 왔다. 특히 전세계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성폭력 피해경험자 및 대조군의 인터넷/SNS 이용양태 및 위험행동과 온라인기반 성폭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Interpersonal Violence(IF 6.14) 등 저명 SSCI 학술지들에 실리며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온라인기반 성폭력 예방에 기여하였다. 현재까지 구축 완료된 1차 평가 데이터에 대한 논문들이 학술지에 기고되고 있고, 시일 내 2차 및 3차 평가데이터에 대한 수집이 완료되는 데로 장기 추적관찰에 관한 논문들의 기고를 앞두고 있어 향후 더 많은 연구 성과가 도출될 예정이다. 이러한 통합데이터로부터 도출될 연구결과들은 향후 성폭력 피해자 지원 서비스의 중개원칙으로 종합되어 여성가족부와 한국 여성인권진흥원 등 관련부처에 전달될 예정이다.
    또한, 본 연구팀에서 개발한 성폭력 경험자 셀프케어 어플리케이션 올리브(allive)의 경우, 개발과정에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피해자 지원서비스 영역에서의 스마트헬스 적용에 대한 국내 논의를 선도하였으며,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앱을 개발하여 성폭력 경험자들과 전문가들에게 높은 유용성을 평가받으며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정식 등록되었다. 위처럼 개발과정에서 마련한 이론적, 실증적 근거를 발판삼아 현재 수도권 내 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들과 대학 내 상담센터에서의 시범사용을 협의하고 있으며, 향후 수정·보완을 거쳐 정책제안 및 언론보도를 통해 전국차원의 전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밖에도 본 연구팀의 예비연구에서 개발한 성폭력 경험자를 위한 단축형 정신건강 평가 척도는 성폭력 경험자의 정신건강평가에 필요한 3백여 개의 문항을 약 5분의 1 길이로 줄여 신속정확한 진단을 가능케 함으로써 향후 폭력피해 등 긴급지원 상담영역에서 개입 적시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현재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단축형 척도는 2021년도 하반기부터 서울 소재 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에 시범사용 중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융복합연구 후학 양성을 위해 연구원으로 참여한 석박사 학생들에게 연구진의 월례 융복합 세미나와 국내외 학회 참여를 지원하고, 융복합 학술지 팀을 구성하여 다양한 연구기회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 3년이라는 짧은 기간 중에 4개의 석박사 졸업논문과 BK21 우수연구자 교육부 장관 표창 및 다수의 논문공모 수상을 이끌어 내었다. 이밖에도 본 연구팀은 성폭력 피해자 통합데이터 구축 및 분석과정에서 7년간 전국 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들과 상호자문 및 공동연구 파트너십을 쌓아왔다. 이에, 현장 전문가가가 본 연구팀의 학술지팀에 참여하기도 하고, 연구를 보조한 석사생 3인이 졸업 후 정신건강사회복지사로 현장에 나아가는 등 현장기반 연구자들의 양성에도 기여하였다.
  • Index terms
  • 성폭력, 정신건강, 아동기 역경 경험, 건강위험행동, 온라인, 문제적 인터넷 사용, , 성폭력 피해자 지원 서비스, 스마트헬스, 종단연구, 융복합연구, 텍스트 마이닝, 어플리케이션, 앱, 프로그램 개발, 사회복지, 정신의학, 여성복지, 커뮤니케이션, 데이터사이언스, 범죄피해자, 피해특성,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우울, 불안, 문제행동, 수면, 알콜남용, 식이장애, 성폭력 경험자 셀프케어 어플리케이션, 올리브, 해바라기센터, 성폭력 피해자 지원 기관
  • Research Achievements List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