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이 발생한 후 피해 경험자가 다양한 정신건강 상의 어려움을 경험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나, 성폭력과 정신건강 간 인과관계에 대한 기전의 규명이나 설명 및 대응책에 관한 국내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
성폭력이 발생한 후 피해 경험자가 다양한 정신건강 상의 어려움을 경험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나, 성폭력과 정신건강 간 인과관계에 대한 기전의 규명이나 설명 및 대응책에 관한 국내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복지학·정신의학·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데이터사이언스학 전문가로 구성된 다학제적 융복합 연구팀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표는 1) 아동, 청소년, 성인 발달단계별 성폭력 경험자의 피해로부터 3개월 이내, 1년, 3년 후 정신건강 장기 추적관찰 데이터 구축, 2) 발달단계별 성폭력 피해특성과 성폭력 경험 후 정신병리 혹은 회복에 이르는 다양한 위험요인, 보호요인을 포괄하는 기전 규명, 3) 소셜미디어 크롤링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한 성폭력 경험자의 소셜미디어 및 온라인 사용의 구조적, 내용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탐색, 그리고 이상의 연구결과에 바탕해 4) 성폭력 경험자의 일상 회복을 돕기 위한 정신건강 증진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실현가능성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1) 성폭력 경험자의 온오프라인 생활세계를 포괄하는 장단기 정신건강문제 발생기전에 관한 융복합 통합이론을 구축하고, 2) 성폭력 피해자 지원서비스의 중개원칙을 도출하며, 3) 성폭력 피해자 지원서비스의 접근성 및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모바일 기반 스마트헬스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일선 현장에 보급하는 초석을 다지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팀은 지난 3년간 다음과 같은 일들 수행하였다. 1) 기존 4년간(2015-19)의 성폭력 예비연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내 최초로 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에 내방한 피해 경험자들과 함께 성폭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국 단위의 대규모 장기추적 종단데이터를 구축, 2) 아동, 청소년, 성인 발달단계별 표준화된 정신건강평가, 건강위험행동, 피해자 지원기관 사례정보 시스템상의 구체적인 피해특성 및 지원서비스 이용내역 등 다양한 위험 및 보호요인에 대한 정보 수집, 3) 성폭력 피해경험과 SNS 이용 및 온라인 위험행동에 관한 설문 및 크롤링 데이터 구축, 그리고 마지막으로, 4) 성폭력 경험자 셀프케어 어플리케이션 올리브(allive)를 개발하여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정식 등록 및 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구축된 데이터를 통해 발달단계별 성폭력 피해특성에 대한 프로파일 분석, 성폭력이 정신건강 혹은 회복으로 이어지는 기전에 대한 분석, 성폭력 피해경험과 온라인 이용 및 위험행동 간의 관련성 규명 등에 관한 혁신적인 연구들을 수행해 국내외 저명학술지에 논문 13편을 게재하였으며, 이외에도 다수의 논문이 심사 혹은 작성 진행 중에 있다. 이밖에도 현재 진행 중인 성폭력 경험자와 대조군에 관한 3차 추적관찰 데이터 수집이 마무리 되는 23년 하반기에는 더 많은 국내외 저명학술지 게재가 예상된다. 이는 성폭력과 정신건강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통합적 이론구축, 특히 온라인 및 SNS 이용 특성과 성폭력 경험 및 정신건강의 관련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능케 할 것이며, 이처럼 온라인 세계를 본격적으로 고려한 혁신성은 국내외 성폭력 및 외상 연구 발전에 중요한 학문적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또한 성폭력 피해자 지원 현장과의 협업 연구로 피해자 지원기관의 전문성 향상에도 실질적인 기여를 해왔다. 실재 피해자 지원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단축형 정신건강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현재 일선 기관에서 사용 중이며, 무엇보다 피해경험자들의 일상 회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개발과정에서 스마트헬스 적용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진행하여 피해자 지원 영역에서의 스마트헬스 적용에 대한 국내 논의를 선도하였으며,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개발된 앱은 성폭력 경험자와 전문가들에게 높은 유용성을 평가받고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정식 등록되었다. 개발과정에서 마련한 이론적, 실증적 근거를 발판삼아 향후 지속적인 전파와 수정·보완을 통해 성폭력 경험자들의 정신건강 증진과 일상 회복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