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언어발달, 언어치료교육, 언어공학 분야의 융합적 접근을 통한 한국형 컴퓨터 구어분석 시스템 및 전생애 언어발달모형 구축
Establishing Korean language analysis system and life-span language development model through collaboration among language development, speech and language pathology, and language technolog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융합연구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A2A03-2019S1A5A2A03052093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4 년 (2019년 07월 01일 ~ 2023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이윤경
연구수행기관 한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진행중
공동연구원 현황 이득주(한림대학교)
김유섭(한림대학교)
윤지혜(한림대학교)
오소정(동명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언어발달, 언어병리학분야의 발전으로 인하여 여러 연령층의 언어발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반면, 아직까지 언어발달 영역에서 소개되어 있는 발달 모형은 주로 외국의 학자들이 소개한 모형을 토대로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사람을 대상으로 구축된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언어발달 모형은 소개되지 않았다. 외국의 모형도 주로 언어습득이 이루어지는 아동기를 중심으로 한 것이며, 아직까지는 아동기 이후까지의 언어발달을 연속적 과정으로 설명한 모형은 찾아보기 힘들다. 생애 주기에 따른 언어발달 모형은 각 시기별로 이루어지는 주요 발달적 양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나아가 각 주기별로 발달적으로 요구되는 특별한 도움을 제공하는데 토대가 될 수 있다.
    언어발달은 주로 각 개인이 산출한 구어(발화) 자료 분석 방법을 통해 연구된다. 그러나 구어분석은 자료수집이 어려울 뿐 아니라 자료를 전사하고 분석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분석된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점 등의 문제로 포괄적인 대규모 자료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는 어려웠다. 발전된 언어공학적 기술을 토대로 언어발달을 목적으로 하는 컴퓨터 언어분석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언어분석 방법을 사용한 언어발달 연구를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대규모 대상으로 언어 영역 전반에 걸친 분석을 가능하게 하여 본 연구의 궁극의 목적인 한국형 전생애 언어발달 모형을 수립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언어발달, 언어치료교육, 언어공학 분야 연구자가 협력하여 언어발달연구를 목적으로 한 컴퓨터 언어분석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생애 주기별 언어발달지표를 확인 및 전생애 언어발달 모형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발달, 언어병리학, 언어공학 기술을 융합하여 언어발달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구어 수집 및 분석 프로토콜과 컴퓨터 구어분석 시스템을 구축한다. 둘째, 예비연구를 통해 구축된 구어 수집 분석 프로토콜과 컴퓨터 구어분석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고 시스템을 수정 보완한다. 셋째, 컴퓨터 구어분석 시스템을 사용하여 생애주기별 언어발달지표를 확인한다. 아동기에서 노년기까지 생애주기별로 확인된 언어발달지표를 종합하여 한국형 언어발달모형을 수립한다.
  • 기대효과
  • ○ 학문적 기대효과
    ● 전생애 발달 관점에서의 언어발달 연구 활성화
    ● 컴퓨터 구어분석 시스템을 활용한 언어발달 및 언어장애 연구 활성화
    ● 학제간 융합연구를 통하여 언어공학 분야 발전에 기여

    ○ 사회적 기대효과(언어치료교육 분야에의 활용)
    ● 언어발달 확인 및 언어발달장애 선별에 활용
    ● 언어평가 및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 제공

    ○ 인력양성 및 교육에 대한 기대효과
    ● 연구 성과 소개를 통한 전문가 교육
    ● 연구 참여를 통한 연구인력 양성
    ● 워크숍을 통한 현장 전문가 교육 및 훈련
  • 연구요약
  • <1차년도>에는 언어발달 문헌 분석 및 컴퓨터 구어분석 시스템들을 분석하고 언어학자, 언어발달전문가, 언어공학자를 포함한 전문가 대상 심층면담(FGI)을 실시하며, 연구된 자료를 종합하여 구어 수집 프로토콜 및 언어발달연구를 목적으로 한 컴퓨터 구어분석 시스템을 구축한다.
    <2차년도>에는 구축된 구어수집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예비 연구를 위한 구어(발화)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1차년도 연구를 통해 구축된 컴퓨터 구어분석 시스템과 전문가가 분석한 결과와 비교하여 신뢰도를 검정한다. 또한 컴퓨터 구어분석 시스템을 통해 요약된 결과가 언어발달 정도를 정확히 반영해 주는지를 다른 언어발달검사 결과와 비교하고, 동시에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타당도를 검정한다.
    <3차년도>에는 영유아기에서 노년기까지 구어(발화)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컴퓨터 구어분석 시스템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요약한다. 얻어진 결과를 통해 각 발달시기별로 중요한 언어지표(linguistic marker)를 확인하고, 심포지움을 통해 관련 전문가 집단과의 토론을 거쳐 전생애를 아우르는 한국형 언어발달모형을 수립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전통적으로 언어발달은 아동기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으나, 의사소통 중심의 언어 사용이 강조됨에 따라 아동기 이후의 언어발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아동기 이후의 언어발달 연구는 많이 부족하며, 아동기부터 그 이후까지의 언어발달을 연속적 과정으로 설명한 모형은 찾아보기 힘들다. 생애 주기에 따른 언어발달 모형은 각 시기별로 이루어지는 주요 발달적 양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나아가 각 주기별로 발달적으로 요구되는 특별한 도움을 제공하는 토대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유아에서 노인까지 구어 표본 데이터베이스와, 언어분석을 목적으로 한 컴퓨터 언어분석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애주기별 주요 언어발달지표 및 전생애 언어발달 모형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한 연차별 연구 목표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년도>에는 언어발달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구어 수집 및 분석 프로토콜과 컴퓨터 구어분석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 결과, 컴퓨터 언어분석 시스템 구축을 위한 문헌분석 및 전문가 대상 집단심층면담(FGI) 2건과 총 1,351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였다. 이를 토대로 한국어언어분석시스템 H-SAK ver1을 개발하였으며, 발달주기에 따른 자발화(언어표본)수집 프로토콜을 4종 개발 완료하였다.
    <2차년도>에는 예비연구를 통해 구축된 구어 수집 분석 프로토콜과 컴퓨터 구어분석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정을 기반으로 개발된 컴퓨터 언어분석 시스템 수정 보완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H-SAK1.0를 수정 보완한 H-SAK1.5를 개발하였으며, 총 108사례의 구어표본을 수집하여 수집된 자료로 H-SAK1.0과 H-SAK1.5의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3차년도>에는 영유아기부터 노년기까지 발달주기별 자발화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컴퓨터 구어분석 시스템을 사용하여 분석하여 생애주기별 언어발달지표 확인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영유아기에서 노년기까지 연구목표로 한 총 800사례의 구어표본 수집을 완료하였으며, 자료전사 및 분석과 분석자료에 대한 사후편집(post-editing)을 완료하였다. 발달 시기에 따른 각 언어영엽별 발달 양상과 주요 언어지표 확인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화기반 구어자료 수집 프로토콜 총 4종 개발: 영유아용, 아동용, 청소년용, 성인용
    2. 컴퓨터 한국어자동언어분석시스템(K-ALAS) 개발: 특허 출원중
    3. 구어데이터베이스 구축: 영유아기에서 노년기까지 총 800사례의 대화기반 언어표본 구축, 형태소 분석(parsing) 및 주석(tagging) 완료
    4. 논문 발표: 국내외 학술지에 총 12편의 논문을 발표(SCI 2편, SCOPUS 9편, KCI 1편), 국내외 학술대회에서 총 29편의 논문 발표
    5. 총 35명(학부생 10명, 석사과정생 20명, 박사과정생 5명)의 학생연구원이 참여, 총 28명(학사 10명, 석사 17명, 박사 1명) 학생 배출.

    본 연구의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언어발달 평가 및 중재에 활용: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발달시기별 언어발달지표는 언어발달이 전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언어치료교육이 필요한 사람들을 진단 평가하는 데 활용할 수 있으며, 추후 각 발달시기 별로 확인된 지표들을 통합하여 교육 및 치료 목표 수립 및 치료를 통한 진전 정도를 확인하는 자료로 제공할 것이다.
    2. K-ALAS의 언어치료교육 및 언어발달 연구에 활용: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K-ALAS는 언어치료교육 현장 전문가나 언어발달 연구자들이 보다 쉽게 언어표본분석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할 것이다.
    3. 언어치료교육 전문가 양성 및 훈련에의 활용: 언어표본분석은 언어치료교육 분야 전문가 교육의 필수 교육과정으로 포함되어 있다. K-ALAS 분석 결과는 언어표본분석 교육 및 훈련자의 피드백 제공에 활용할 수 있다.
  • 영문
  • Traditionally, language development has been studied with a focus on childhood, but with an increasing emphasis on language use,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language development beyond early childhood. Nevertheless, research on language development beyond early childhood remains limited, and it is challenging to find models that explain language development as a continuous process from early childhood to later stages. Life-span language development models, depicting major developmental patterns occurring at each stage, can aid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at different periods. Furthermore, these models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identifying specific support needed at each developmental stag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language sample database spanning from preschool period to the elderly and to develop a computerized language analysis system for the purpose of language analysis. Based on these resources, the goal is to formulate language development indicators for each developmental stage and construct a comprehensive model of language development across the lifespan. The annual research goals and results for this endeavor are outlined as follows.

    In the first year, the goal was to develop protocols for spoken language collection and analysis that could be utilized in language development research and to construct a computerized language analysis system for languag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first year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two expert groups, and a survey study with total 1,351 SLPs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were conducted. The H-SAK ver1 Korean language analysis system was developed, and four protocols for spontaneous language sample collection were completed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s.

    In the second year, the focus was on refining the computerized spoken language analysis system based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of the developed protocols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econd year of the study are as follows; H-SAK1.5 was developed by modifying and enhancing H-SAK1.0. A total of 108 cases of language samples were collected,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eliability of H-SAK1.0 and H-SAK1.5.

    In the third year, the objective was to construct a developmental database of spontaneous speech from infancy to old age and use the computerized spoken language analysis system to analyze it, aiming to identify language development indicators across the lifespan. The research successfully completed the collection of 800 cases of spoken language samples from infancy to old age. Transcription and analysis, along with post-editing of the analyzed data, were completed. Ongoing research involves studying key language indicators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and a monograph-style research report is being written to present the results.

    The primary outcomes of the research project are as follows;
    1. Development of Spoken Language Collection Protocols: Four conversation-based spoken language collection protocols were developed for different age groups, including preschooler, school-aged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2. Development of the Korean Automatic Language Analysis System (K-ALAS): A specialized system, K-ALAS, was developed to automate the analysis of the Korean language, contributing to more efficient and accurate language processing
    3. Construction of a Spontaneous Language Sample Database: A comprehensive database consisting of 800 cases of language samples spanning from toddlers to the elderly was established. Morphological analysis (parsing) and annotation (tagging) processes were successfully completed.
    4. Publication of Research Papers: A total of 12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with 2 papers in SCI journals, 9 in SCOPUS-indexed journals, and 1 in KCI journal. Furthermore, 29 papers were presented at academic conferences.
    5. Student Education and Training: A total of 35 student, comprising 10 undergraduate students, 20 master's students, and 5 doctoral students, paricipated in the project. This engagement contributed to their education, training, and eventual graduation.


    These achievements highlight the significant contributions and advancements made in the field of language development research, assessment, and technology.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language development indicators (markers) identified through this research project at different stages can be used to diagnose and assess individuals who require speech-language therapy and education due to atypical language development. Furthermore, the integrated indicators for each developmental stage can serve as data for setting language education or therapy goals, as well as monitoring progress through treatment.
    2. The K-ALAS developed in this research project will facilitate easier language sample analysis for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speech-language therapy and education, and researchers in language development. It can be a valuable tool for conducting language sample analysis in and research settings.
    3 Language sample analysis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raining for experts in the field of language therapy and educ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K-ALAS analysis can be utilized to provide feedback in language sample analysis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언어발달, 언어치료교육, 언어공학 분야 연구자가 협력하여 언어발달연구를 목적으로 한 컴퓨터 언어분석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생애 주기별 언어발달지표를 확인하여 한국형 전생애 언어발달 모형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년차별 연구목표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차년도>에는 언어발달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구어 수집 및 분석 프로토콜과 컴퓨터 구어분석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 결과, 컴퓨터 언어분석 시스템 구축을 위한 문헌분석 및 전문가 대상 집단심층면담(FGI) 2건과 총 1,351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였다. 이를 토대로 한국어언어분석시스템 H-SAK ver1을 개발하였으며, 발달주기에 따른 자발화(언어표본)수집 프로토콜을 4종 개발 완료하였다.
    <2차년도>에는 예비연구를 통해 구축된 구어 수집 분석 프로토콜과 컴퓨터 구어분석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정을 기반으로 개발된 컴퓨터 언어분석 시스템 수정 보완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H-SAK1.0를 수정 보완한 H-SAK1.5를 개발하였으며, 총 108사례의 구어표본을 수집하여 수집된 자료로 H-SAK1.0과 H-SAK1.5의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3차년도>에는 영유아기부터 노년기까지 발달주기별 자발화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컴퓨터 구어분석 시스템을 사용하여 분석하여 생애주기별 언어발달지표 확인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영유아기에서 노년기까지 연구목표로 한 총 800사례의 구어표본 수집을 완료하였으며, 자료전사 및 분석과 분석자료에 대한 사후편집(post-editing)을 완료하였다. 발달 시기별로 주요 언어지표들에 대한 연구 및 연구모형 수립을 위한 작업을 진행중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1. 대화기반 구어자료 수집 프로토콜 총 4종 개발
    2. 컴퓨터 한국어자동언어분석시스템(K-ALAS) 개발
    3. 구어데이터베이스 구축: 영유아기에서 노년기까지 총 800사례의 대화기반 언어표본 구축, 형태소 분석(parsing) 및 주석(tagging) 완료
    4. 국내외 학술지에 총 12편의 논문 발표(SCI 2편, SCOPUS 9편, KCI 1편), 국내외 학술대회에서 총 29편의 논문 발표
    5. 발달 시기에 따른 각 언어영역별 발달 양상과 주요 언어지표 확인 연구 지속 중.

    <활용방안>
    1. 언어발달 평가 및 중재에 활용: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발달시기별 언어발달지표는 언어발달이 전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언어치료교육이 필요한 사람들을 진단 평가하는 데 활용할 수 있으며, 추후 각 발달시기 별로 확인된 지표들을 통합하여 교육 및 치료 목표 수립 및 치료를 통한 진전 정도를 확인하는 자료로 제공할 것이다.
    2. K-ALAS의 언어치료교육 및 언어발달 연구에 활용: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K-ALAS는 언어치료교육 현장 전문가나 언어발달 연구자들이 보다 쉽게 언어표본분석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할 것이다.
    3. 언어치료교육 전문가 양성 및 훈련에의 활용: 언어표본분석은 언어치료교육
    분야 전문가 교육의 필수 교육과정으로 포함되어 있다. K-ALAS 분석 결과는 언어표본분석 교육 및 훈련자의 피드백 제공에 활용할 수 있다.
  • 색인어
  • 한국형 언어발달모형, 생애주기별 언어발달지표, 전생애 언어발달, 영유아언어발달, 학령기아동언어발달, 성인언어발달, 노인언어발달, 구어 분석, 발화 분석, 언어공학, 자연어처리, 컴퓨터 언어분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