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Research Project Search > Research View

Research Projects Detailed Information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적용한 스마트 물류센터 운영기술 개발 연구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operation technology for the smart logistics center based on the business network-based
  • Researchers have entered the information directly to the NRF of Korea research support system
Program 연구그룹형(국내형)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Project Number 2019-S1A5A2A03-2019S1A5A2A03052217
Year(selected) 2019 Year
Research period 3 Year (2019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chief of research 박영태
Executing Organization 동의대학교
the present condition of Project 종료
Cooperation researcher 김동윤(부산대학교)
고창성(경성대학교)
조연성(덕성여자대학교)
류광열(부산대학교)
조규성(동명대학교)
Research Summary
  • Goal
  • ) 융합연구 필요성
    - 글로벌 물류 경쟁 환경의 발전에 따라 물류 고도화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음
    - 전 세계는 스마트 물류 체계에 필요한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노력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부산항 신항 운영 관련 비즈니스 자동화를 개발한 상태임
    - 1995 ~ 2020년 (26년) 기간에 걸쳐 부산항의 만성적인 화물적체 해소로 국가 경쟁력 제고 및 항만과 도시기능이 조화된 종합물류네트워크 구축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 현재 물류 시스템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려는 물류시스템 혁신이 필요함. 물류 시스템 혁신은 단순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에 멈추어서는 실효성이 없으며, 물류 관련 IT, H/W, S/W 기술의 접목을 요구하고 있음
    - 국내의 경우 부산항 신항 물류센터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기존 물류센터는 보관 위주의 창고기능에서 ICT를 접목한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으로 전환이 필요한 상황임
    - 본 융합형 연구의 진행은 이러한 국내 물류 환경의 한계를 기반으로 아래의 연구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함
    - 첫째, 글로벌 물류환경의 변화에 따라 스마트 물류를 가능하게 하는 ICT 연계 물류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함
    - 둘째, 기존 물류 체계를 혁신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접목하여 물류 비즈니스 혁신 모델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
    - 셋째, 스마트 물류센터 설계 및 구축에 대한 실질적 기술개발을 추진하여 비즈니스 현장에 접목할 필요가 있음
    2) 융합연구 목표
    - 융합연구 목적은 인문사회 영역의 물류경영 분야와 공학기술 분야의 ICT 물류 시스템 개발을 통합하는데 있음
    - 현 정부는 물류산업을 7대 서비스 유망산업으로 선정하고 미래 글로벌 성장동력산업으로 육성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스마트 물류 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방안이 수립되어 있지 않는 상황임
    - 경영학과 S/W 공학의 접목을 통하여 스마트 물류 시스템 도입에 필요한 기술개발 연구 진행을 목적으로 하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음
    - 첫째, 공학기법을 적용하여 물류센터 설계 및 운영 최적화 기법을 개발함
    - 구체적으로 물류시스템 서비스 개선을 위한 스마트 물류센터 및 물류운영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과 이를 활용한 최적 운영 기법 개발
    - 둘째,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 AI)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 IoT) 기술을 활용한 Cold-chain 물류 내 관련 제품 최적 물류 조건 예측 기술 개발
    - 셋째, 경영학 기법을 적용하여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에 따른 가치창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예정임. 기존 비즈니스 모델 개발은 ICT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물류시스템을 직접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공학적 접근이 부족하였음
    - 본 연구로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항만물류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 물류 체계를 적용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예정임
    - 넷째, 물류 비즈니스의 글로벌 경쟁력 확대를 목적으로 협업적 글로벌 네트워크 체계를 구축
  • Expectation Effectiveness
  • 1) 학문적 활용방안
    - 시뮬레이션 기술 분야의 연구 활성화 기여 및 Cold-chain 분석에 적합한 시뮬레이션 기술 표준화를 추구하고, 객체지향적 방법과 관점지향적 기반을 연동한 새로운 시뮬레이션 기술 방법론 개발
    - 물류설비의 표준화 및 규격화를 통한 스마트 물류센터 표준모델 구현 및 창고관리시스템 운영기술 연구를 토대로 스마트 물류센터관리 기반 운영기술 개발로 확장 가능
    - 기존 물류센터의 스마트 물류센터로의 전환 타당성 모색
    - 관점지향적 기반 시뮬레이션 표준 모델 기술을 활용하여 시스템 연동 표준화 기술을 개발하고 시뮬레이션 연동 기술의 새로운 응용분야 개척에 활용하여 가상모델구축 및 운영 기술을 개발
    - 전략적 제휴와 관련하여 물류기업이 고민해야 할 문제에 대한 로드맵과 관련 모든 의사결정 문제를 모형화하여 해를 도출하는 과정을 제안
    - 물류 전 분야 및 통신 등 구조적 특성이 유사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 물류 모델로 활용
    -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 비즈니스 성공 결정요인 분석과 최적화 비즈니스 모델 제시로 스마트 물류시스템 도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탐구하려는 연구에 이론적 시사점 제공
    2) 사회적 활용방안
    - 물류센터 타당성 검증을 통한 보관기능 중심의 물류창고 전환 기준 마련 및 물류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스마트 물류시스템 활용
    - 다양한 물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여 효율적 물류서비스 제공에 따른 물류비 절감 및 물류서비스 경쟁력 강화 방안 정책에 방향성 제공
    -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효율적 물류서비스 제공 가능
    - 스마트 물류시스템을 적용하여 부산항 신항 물류센터의 물동량 창출 및 환적화물 처리 극대화가 가능하며, 최적의 One-Stop 물류서비스 제공 및 물류비용 절감 방안 제시
    - 중국 및 유럽의 다국적 선진 물류센터업체의 시장진입에 따른 경쟁력 확보에 필요한 스마트 물류시스템 적용의 프로토타입 개발
    - 순수익 증대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물류 전 분야, 통신 등 구조적 특성이 유사한 분야에도 전략적 제휴 활성화에 활용됨으로써 수지 개선에 크게 기여
    3) 인력양성 활용방안
    - 多학제적 융합화 역량을 기반으로 산업현장의 융합화 코디네이팅, 융합경영 및 사업화 등을 주도해 나갈 ‘Leader급 융합인재’ 양성
    - 인문사회과학 관점에 기반한 융합의 중요성을 체감하고, 기존산업의 창의‧혁신 및 소비자 니즈(심리)에 부합하는 융합 新산업 창출 역량 제고 고려 인력양성
    - 기업수요 기반의 Real_Project 교과과정 운영을 통해 실무 융합능력 배양과 고용연계가 강화된 창의 산업융합 인재 양성 도모
    - 산업계 수요를 기반으로 ‘특성화분야 융합사업 프로젝트’ 교과과정을 개설‧운영하고 산업체 연구원‧전문가 등이 참여교수 등으로 활동
    - 인문+공학 등 多학제적 융합 소양교육 실시와 산학 공동 융합프로젝트 교과과정 운영에 활용 가능
    - 인턴쉽 프로그램, 산학협력 등 고용연계 강화 복수교수의 팀 프로젝트 방식 운영으로 전문 인력을 양성함으로써 추후 국내 물류 기업의 효율적 경영에 기여. 또한, 연구진으로 참여하는 연구 인력에게 물류 현장을 배불 수 있는 기회 제공
    4) 교육연계 활용방안
    - 스마트 물류센터 계획에서부터 설계 및 운영에 이르는 전 과정에 대한 기술력 확보로 국제공동물류센터의 확산 기술을 대학 교육과정에 활용 가능
    - 국제공동물류센터에 적용되는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통한 국내외로 관련 모델의 적용 관련 전공과목 연계 프로젝트 실시
    - 물류센터와 항만 및 항공과의 연계를 통한 부산항 신항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전공연구 실시 및 학부생 학위논문 연계 작성
    - 시스템 도입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BPR 수행을 통해 현장 애로점을 해결하고 개발 연구팀 산학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재직근로자 대상 향상 교육 실시
    - 스마트 물류센터 대상 장단기 현장실습 실시가 가능하며, 물류 네트워크 설계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본 연구결과 활용 가능
  • Summary
  • 1) 연구 필요성
    - 첫째, 글로벌 물류환경의 변화에 따라 스마트 물류를 가능하게 하는 ICT 연계 물류시스템 개발 필요하다고 판단함
    - 둘째, 기존 물류 체계를 혁신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접목하여 물류 비즈니스 혁신 모델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
    - 셋째, 스마트 물류센터 설계 및 구축에 대한 실질적 기술개발을 추진하여 비즈니스 현장에 접목할 필요가 있음
    - 넷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게 AI 및 IoT 기술을 활용한 Cold-chain 물류 및 제품 취급 정책의 획기적 개선 방안 구축 필요
    2) 연구목적
    - 경영학 기술과 공학 기술의 접목을 통하여 스마트 물류 시스템 도입에 필요한 기술개발 연구 진행을 목적으로 하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음
    - 첫째, 공학기법을 적용하여 물류센터 설계 및 운영 최적화 기법을 개발함
    - 둘째, ICT 기반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을 개발
    - 셋째, 기존 물류 비즈니스에 스마트 물류 체계를 적용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
    - 넷째, 물류 비즈니스의 글로벌 경쟁력 확대를 목적으로 협업적 글로벌 네트워크 체계 구축
    3) 연구내용
    - 첫째, 협업적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크 모델 구축 연구
    ․기존 연구는 대체로 항해거리, 배후 연계 수송, 항만 서비스 등에 초점을 두어 항만 물류 비즈니스 경쟁력을 살펴보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물류 비즈니스 네트워크 경쟁력을 ① 항만 인프라 측면 요인에서 접근, ② 항만 서비스 요인에서 접근, ③ 스마트 물류시스템 도입에 따른 효과 측면에서 접근하여 비교 분석
    ․ICT 기술을 도입할 경우 스마트 물류센터 운영이 글로벌 네트워크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 정도 실증분석
    - 둘째, 스마트 물류센터 운영 비즈니스 모델 개발
    ․서비스 증진형 모델, 시장 확대형 모델, 비용절감형 모델을 중심으로 스마트 물류시스템 적용 시 가장 큰 효율을 나타내는 운영 모형 구분
    ․설정 연구모형 특성을 가치창출형, 가치제안형, 가치확보형의 상호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 후 분석모형에 ICT 기술을 도입한 스마트 물류시스템 적용의 조절효과를 추가하여 실증분석
    - 셋째,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Cold-chain 제품 최적 취급 기술 개발
    ․AI 및 IoT 기술을 적용한 Cold-chain 물류 내 취급 제품에 대한 최적 운영 및 관리 기술 개발
    ․Cold-chain 제품에 대한 유통 관련 예측 기술 개발 : 유통 및 취급 데이터 기반 신선도 예측, 유통기한 예측, 유통경로에 납기 및 비용 예측 등
    ․최적의 제품 상태 유지를 위한 관리 및 유통 전략 도출
    - 넷째, 가상 스마트 물류센터 설계 및 구축
    ․국내외 물류센터 벤치마킹을 통한 가상 스마트 물류센터 운영 프로세스의 표준화 정립 및 운영 프로세스 분석
    ․가상 스마트 물류센터의 입출고 수행도를 평가하기 위한 수리모델을 개발하고 수리모델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가상의 물류센터 운영 모델을 구현하여 입출고 수행도를 분석 및 평가
    ․가상 스마트 물류센터 설계 및 분석을 위한 객체 지향적 방법론과 관점 지향적 방법론의 구성 요소를 통합한 새로운 시뮬레이션 기법을 적용하여 구현
    4) 연구방법
    - 첫째, 협업적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크 모델 구축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크 경쟁우위 결정요인을 선정하고, 심층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경쟁력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진행
    - 둘째, 스마트 물류센터 운영 비즈니스 모델 개발은 서비스 증진형 모델, 시장 확대형 모델, 비용절감형 모델을 가치창출, 가치제안, 가치확보 모형으로 구분하여 심층인터뷰와 설문조사로 모델 간 적합성 정도를 비교 분석
    - 셋째,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Cold-chain 제품 최적 취급 기술 개발은 제품의 유통 및 취급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IoT 기술 등을 활용하여 수집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분석 및 학습을 통해 최적의 Cold-chain 제품 취급 및 예측 기술을 개발함
    - 넷째, 가상 스마트 물류센터 설계 및 구축의 경우 통합적 관점 지향적 방법론에 따라 객체 지향적 방법론과 관점 지향적 방법론의 구성 요소를 고려한 통합 운영시스템으로 구현
    5) 연구결과 활용방안
    - 첫째, 학문적 활용방안으로 물류 전 분야, 통신 등 구조적 특성이 유사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이론으로 활용
    - 둘째, 사회적 활용방안으로 중국 및 유럽의 다국적 선진 물류센터업체의 시장진입에 따른 경쟁력확보에 필요한 스마트 물류시스템 적용의 프로토타입 개발
    - 셋째, 인력양성 활용방안으로 多학제적 융합화 역량을 기반으로 산업현장의 융합화 코디네이팅, 융합경영 및 사업화 등을 주도해 나갈 ‘Leader급 융합인재’ 양성
    - 넷째, 교육연계 활용방안으로 스마트 물류센터 계획에서부터 설계 및 운영에 이르는 전 과정에 대한 기술력 확보로 국제공동물류센터의 확산 기술을 대학 교육과정에 활용 가능
Research Summary
  • Korean
  • - 본 연구는 융합형 접근이라는 특징을 살려 최종목표로 스마트 물류센터 가치 창출을 목표로 설정하였으며, ① 비즈니스 네트워크 모델 구축 및 운영, ② 스마트 물류 운영 시스템 개발 및 적용, ③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Cold-chain 제품 최적 취급 기술 개발, ④ 가상 스마트 물류센터 설계 및 구축을 연구의 주요 내용으로 하여 결과를 도출하였음음. 이의 주요 요약 내용은 다음과 같음
    - 첫째, 비즈니스 네트워크 모델 구축 및 운영은 ① 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 ② 비즈니스 모델 개발로 나누어 진행 후 결과 도출
    ■ 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은 화주, 선사, 물류센터의 협업적 네트워크에 스마트 물류가 미치는 영향을 탐구
    ■ 비즈니스 모델 구축은 스마트 물류센터 운영에서 운영시스템(H/W, S/W)과 경영관리 관계를 정보관리시스템(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측면에서 접근
    - 둘째, 스마트 물류센터 운영 시스템 개발 및 적용은 ① 시스템 구축 평가(H/W), ② 시스템 분석, ③ 시스템 운영(S/W)으로 나누어 진행 후 결과 도출
    ■ 전자는 사회과학 영역의 접근 방법을 사용하며, 후자는 공학적 접근 방법을 사용함. 스마트 물류센터 가치창출 목표를 대상으로 일괄 체계를 갖춘 점에서 본 연구의 융합형 성격이 잘 나타나도록 콜라보를 하였음
    - 셋째,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Cold-chain 제품 최적 취급 기술 개발은 ① AI 및 IoT 기술을 적용한 Cold-chain 물류 내 취급 제품에 대한 최적 운영 및 관리 기술 개발, ② Cold-chain 제품에 대한 유통 관련 예측 기술 개발 : 유통 및 취급 데이터 기반 신선도 예측, 유통기한 예측, 유통경로에 납기 및 비용 예측, ③ 최적의 제품 상태 유지를 위한 관리 및 유통 전략 도출로 나누어 진행후 결과를 도출하였음
    - 넷째, 가상 스마트 물류센터 설계 및 구축은 ① 국내외 물류센터 벤치마킹을 통한 가상 스마트 물류센터 운영 프로세스의 표준화 정립 및 운영 프로세스 분석, ② 가상 스마트 물류센터의 입출고 수행도를 평가하기 위한 수리모델을 개발하고 수리모델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가상의 물류센터 운영 모델을 구현하여 입출고 수행도를 분석 및 평가, ③ 가상 스마트 물류센터 설계 및 분석을 위한 객체 지향적 방법론과 관점 지향적 방법론의 구성 요소를 통합한 새로운 시뮬레이션 기법을 적용 구현으로 나누어 진행후 결과를 도출하였음
  • English
  • - This study set the goal of creating smart logistics center value as the final goal by taking advantage of the convergence approach, ① building and operating a business network model, ② developing and applying a smart logistics operating system, ③ using smart technology to create a cold-chain development of optimal handling technology for products, ④ design and construction of a virtual smart logistics center were the main contents of the study,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Its main summary is as follows:
    - First, business network model establishment and operation is divided into ① business network construction and ② business model development, and then the results are derived.
    ■ Building a business network explores the impact of smart logistics on the collaborative network of shippers, shipping companies, and logistics centers.
    ■ Business model construction approaches the relationship between operation system (H/W, S/W) and business management in smart logistics center operation from th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side.
    - Secon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mart logistics center operation system is divided into ① system construction evaluation (H/W), ② system analysis, and ③ system operation (S/W), and then the results are derived.
    ■ The former uses the social science field approach, and the latter uses the engineering approach. The collaboration was done to show the convergence-type nature of this study in that it has a comprehensive system targeting the smart logistics center value creation goal.
    - Thir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optimal handling of cold-chain products using smart technology is ① development of optimal operation and management technology for products handled in cold-chain logistics using AI and IoT technology, ② prediction of distribution related to cold-chain products. Technology development: Prediction of freshness based on distribution and handling data, prediction of shelf life, prediction of delivery time and cost in distribution channels, ③ deduction of management and distribution strategies for maintaining optimal product status, and then deriving results
    - Fourth, virtual smart logistics center design and construction are: ① standardization of the virtual smart logistics center operation process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logistics center benchmarking and analysis of the operation process; ② development of a mathematical model to evaluate the warehousing performance of the virtual smart logistics center; A new simulation that integrates the components of object-oriented and perspective-oriented methodology for designing and analyzing virtual smart logistics center,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warehousing and warehousing by implementing a virtual logistics center operation model that is applied with simulation based on a mathematical model divide the technique into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and derive the result after proceeding
Research result report
  • Abstract
  • - 본 연구는 융합형 접근이라는 특징을 살려 최종목표로 스마트 물류센터 가치 창출로 설정하였으며, ① 비즈니스 네트워크 모델 구축 및 운영, ② 스마트 물류 운영 시스템 개발 및 적용, ③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Cold-chain 제품 최적 취급 기술 개발, ④ 가상 스마트 물류센터 설계 및 구축을 연구의 주요 내용으로 설정하였음. 이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 첫째, 비즈니스 네트워크 모델 구축 및 운영은 ① 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 ② 비즈니스 모델 개발로 나누어 진행
    ■ 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은 화주, 선사, 물류센터의 협업적 네트워크에 스마트 물류가 미치는 영향을 탐구
    ■ 비즈니스 모델 구축은 스마트 물류센터 운영에서 운영시스템(H/W, S/W)과 경영관리 관계를 정보관리시스템(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측면에서 접근
    - 둘째, 스마트 물류센터 운영 시스템 개발 및 적용은 ① 시스템 구축 평가(H/W), ② 시스템 분석, ③ 시스템 운영(S/W)으로 나누어 진행
    ■ 전자는 사회과학 영역의 접근 방법을 사용하며, 후자는 공학적 접근 방법을 사용함. 스마트 물류센터 가치창출 목표를 대상으로 일괄 체계를 갖춘 점에서 본 연구의 융합형 성격이 잘 들어나도로 콜라보를 하였음
    - 셋째,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Cold-chain 제품 최적 취급 기술 개발은 ① AI 및 IoT 기술을 적용한 Cold-chain 물류 내 취급 제품에 대한 최적 운영 및 관리 기술 개발, ② Cold-chain 제품에 대한 유통 관련 예측 기술 개발 : 유통 및 취급 데이터 기반 신선도 예측, 유통기한 예측, 유통경로에 납기 및 비용 예측, ③ 최적의 제품 상태 유지를 위한 관리 및 유통 전략 도출로 나누어 진행
    - 넷째, 가상 스마트 물류센터 설계 및 구축은 ① 국내외 물류센터 벤치마킹을 통한 가상 스마트 물류센터 운영 프로세스의 표준화 정립 및 운영 프로세스 분석, ② 가상 스마트 물류센터의 입출고 수행도를 평가하기 위한 수리모델을 개발하고 수리모델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가상의 물류센터 운영 모델을 구현하여 입출고 수행도를 분석 및 평가, ③ 가상 스마트 물류센터 설계 및 분석을 위한 객체 지향적 방법론과 관점 지향적 방법론의 구성 요소를 통합한 새로운 시뮬레이션 기법을 적용 구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음
  • Research result and Utilization method
  • 1) 학문적 활용계획
    - 시뮬레이션 기술 분야의 연구 활성화 기여 및 Cold-chain 분석에 적합한 시뮬레이션 기술 표준화를 추구하고 객체 지향적 방법과 관점 지향적 기반을 연동한 새로운 시뮬레이션 기술 방법론 개발
    - 인공지능, IoT 등 스마트 기술과 운영 최적화 등 전통적 접근법을 융합한 방법론 개발 연구 수행
    - 물류설비의 표준화 및 규격화를 통한 스마트 물류센터 표준모델을 구현하며, 창고관리시스템 운영기술 연구를 토대로 스마트 물류센터관리 기반 운영기술 개발로 확장 가능
    - 기존 물류센터의 스마트 물류센터로의 전환 타당성 모색 적용
    - 관점지향적 기반 시뮬레이션 표준 모델 기술을 활용하여 시스템 연동 표준화의 기술을 개발하고 시뮬레이션 연동 기술의 새로운 응용분야 개척에 활용하여 가상모델구축 및 운영 기술을 개발
    - 전략적 제휴와 관련하여 물류기업이 고민해야 할 문제에 대한 로드맵과 관련 모든 의사결정 문제를 모형화하여 해를 도출하는 과정을 제안
    - 물류 전 분야, 통신 등 구조적 특성이 유사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 물류 모델로 활용

    2) 사회적 활용계획
    - 물류센터 타당성 검증을 통한 보관기능 중심의 물류창고 전환 기준 마련 및 물류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스마트 물류시스템 활용
    - 물류 내 상품에 이상이 발생한 상황의 데이터를 학습한 AI가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래의 이상 가능성을 진단하고 예방
    - 관련 분야의 기술을 접목한 전문 인력 양성 및 인프라를 구축하여 스마트 물류센터의 물류설비의 경제성 검증으로 물류설비의 보급화 촉진
    - 다양한 물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여 효율적 물류서비스 제공에 따른 물류비 절감 및 물류서비스 경쟁력 강화 방안 정책에 방향성 제공
    -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효율적 물류서비스 제공 가능
    - 스마트 물류시스템을 적용하여 부산항 신항 물류센터의 물동량 창출 및 환적화물 처리 극대화가 가능하며, 최적의 One-Stop 물류서비스 제공 및 물류비용 절감 방안 제시
    - 글로벌 항만 경쟁력 확보에 필요한 AI 활용 비즈니스 네트워크 모델 발굴과 물류 기업 활용 모델에 대한 실무적 방향성 제시
    - 전략적 제휴 정책의 장애 요소인 공평 분배에 대한 기초 이론과 해를 제공하는 툴로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물류 분야의 전략적 제휴 도입에 큰 도움

    3) 인력양성 활용계획
    - 多학제적 융합화 역량을 기반으로 산업현장의 융합화 코디네이팅, 융합경영 및 사업화 등을 주도해 나갈 ‘Leader급 융합인재’ 양성
    - 인문사회과학 관점에 기반한 융합의 중요성을 체감하고, 기존산업의 창의‧혁신 및 소비자 니즈(심리)에 부합하는 융합 新산업 창출 역량 제고 고려 인력양성
    -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에 대한 핵심·차세대 원천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데이터 활용 중심 융복합 인재 양성 도모
    - 기업수요 기반의 Real_Project 교과과정 운영을 통해 실무 융합능력 배양과 고용연계가 강화된 창의산업융합 인재 양성 도모
    - 산업계 수요를 기반으로 ‘특성화분야 융합사업 프로젝트’ 교과과정을 개설‧운영하고 산업체 연구원‧전문가 등이 참여교수 등으로 활동
    - 다수의 실무 프로젝트 교과과정을 개설하고, 각 프로젝트별로 복수의 교수와 다양한 전공 학생들로 팀을 구성 및 운영
    - 인문+공학 등 多학제적 융합 소양교육 실시와 산학 공동 융합프로젝트 교과과정 운영에 활용 가능
    - 인턴쉽 프로그램, 산학협력 등 고용연계 강화 복수교수의 팀 프로젝트 방식 운영으로 전문 인력을 양성함으로써 추후 국내 물류 기업의 효율적 경영에 기여. 또한, 연구진으로 참여하는 연구 인력에게 물류 현장을 배울 수 있는 기회 제공

    4) 교육연계 활용계획
    - 스마트 물류센터 계획에서부터 설계 및 운영에 이르는 전 과정에 대한 기술력 확보로 국제공동물류센터의 확산 기술을 대학 교육과정에 활용 가능
    - 국제공동물류센터에 적용되는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통한 국내외로 관련 모델의 적용 관련 전공과목 연계 프로젝트 실시
    - 물류센터와 항만 및 항공과의 연계를 통한 부산항 신항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전공연구 실시 및 학부생 학위논문 연계 작성
    - 시스템 도입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BPR 수행을 통해 현장 애로점을 해결하고 개발 연구팀 산학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재직근로자 대상 향상 교육 실시
    - 스마트 물류센터 대상 장단기 현장실습 실시가 가능하며, 물류 네트워크 설계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본 연구결과 활용 가능
    - 전략적 제휴의 물류 활용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구성하고 스마트 물류시스템 도입에 따른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 비즈니스 모델의 사례를 개발하여 교육에 활용 가능
    - 4차산업혁명 시대의 빅데이터 기술과 정보 분석을 통한 물류 비즈니스 모델 발굴 과정 사례 자료 활용
  • Index terms
  • 물류산업, 물류 비즈니스 네트워크, 스마트 물류 시스템, 기반 가상 시뮬레이션 모델링 기술, 관점지향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통합모델링언어, 물류센터, 스마트 기술, 융합 시스템 설계 및 분석, 시뮬레이션 모델링, 공급사슬관리
  • Research Achievements List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