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사회복지제도와 농업농촌정책 융복합을 통한 지역맞춤형 도농공존 거점공간 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Region-Customized Hub-Space Model for Urban-Rural Coexistence by Integrating Social Welfare System and Agricultural-Rural Polic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융합연구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A2A03-2019S1A5A2A03052335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3 년 6 개월 (2019년 07월 01일 ~ 2022년 12월 31일)
연구책임자 김대식
연구수행기관 충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진행중
공동연구원 현황 박신애(건국대학교)
배승종(서울대학교)
류진석(충남대학교)
이왕록(충남대학교)
김정은(충남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표는 과소화, 고령화로 인한 농촌지역 쇠퇴와 인구과밀, 오염과 질병, 청소년 정서, 은퇴 후 삶의 공간 부족으로 인한 다양한 도시와 농촌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농촌 활성화의 거점과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휴양 치유공간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지역맞춤형 도농공존 거점공간 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음. 이를 위하여, 기존에 진행된 각 단일분야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농촌계획, 사회복지, 치유농업, 문화체육 등 다학제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융복합 연구를 시행하고자 함.
  • 기대효과
  • 인문사회 및 이공분야 융복합연구를 통하여 연구의 시너지 효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관련 학문분야간 다학제간 네트워크 구축 등 학문적 영역의 융복합화에 기여할 것임. 또한, 도농간 통합, 사회적 통합 전략으로 각 지역 및 계층 간 발생하는 격차 해소방안 제시로 분야별 다양한 사회문제의 합리적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고, 농촌 과소화 및 고령화 대응 농촌활성화를 위한 거점공간 개발 전략 제시로 농촌주민 일자리 창출과 소득 증대 기회 제공에 기여할 수 있으며,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휴양․치유공간 개발 전략 제시로 지역사회 중심 통합돌봄 완성계획의 일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임. 이와 더불어, 연구진 각자간 연구역량 도약과 함께 융복합적 마인드를 가진 인력양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임.
  • 연구요약
  • ○ 연차별 연구목표 및 내용
    - 1차년도 : 도농공존 거점공간 조성을 위한 핵심성공요인 도출
    ․ 6차산업/치유복합공간/유휴공간/지역개발사업 성공사례 시스템분석
    ․ 도농상생을 통한 사회복지 및 문화체육 취약 해소방안 탐색
    ․ 치유(힐링)농촌 공간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분석
    ․ 시스템분석 결과 융합을 통한 복합공간 성공요인과 적정인자 도출
    - 2차년도 : 수요자 맞춤형-공급지 적합형 거점공간 모델 설계
    ․ 도농공존 거점공간 모델 유형화
    ․ 모델 유형별 진단지표 개발
    ․ 모델 유형별 구성인자별 제원, 공간 구상도, 운영조직, 규모 설계
    ․ 모델별 부처별 지원제도 통합 및 추가 지원제도 도출
    ․ 지역민 참여 및 지역자원 활용방안 설계
    - 3차년도 : 지역의 조사 및 진단을 바탕으로 지역맞춤형 실증적 도농공존 모델 개발
    ․ 통계적 분석기법에 의한 시범지역 선정
    ․ 시범지역에 대한 모델 인자들의 융합/통합 자료 조사 및 진단분석
    ․ 지역주민 및 관계자들에 대한 설문/수요조사
    ․ 거점공간 적정입지 조사 및 선정
    ․ 도농공존 거점공간 조성을 위한 제도 및 필요사업 도출
    ○ 연구방법
    ․ 시스템 분석을 통한 핵심성공요인(Critical Success Factor, CSF) 도출
    ․ 수요분석에 근거한 사회적 취약계층 해소 통합 모델 개발
    ․ 시스템 계획기법을 통한 도농공존 거점공간 모델 필수구성 요소 도출
    ․ 통계적 유형화를 통한 수요-공급 접목 모델 제시
    ․ 지역진단 및 수요 조사를 통한 지역맞춤형 모델 제시
    ․ 실증적 모델 설계 및 개발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활성화를 위한 거점 공간,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휴양 치유공간으로서 지역맞춤형 도농공존 거점공간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도농공존 거점공간 시스템 분석을 통한 핵심성공요인 도출, 도농공존 거점공간 입지잠재력 분석, 문화체육, 치유농업, 사회복지 등 도농공존 거점공간 모델별 사례 분석, 도농공존 거점공간 모델별 주요 필요사항 분석등을 실시하였다. 이후 농촌지역 유형화를 통한 주요 모델별 시범지역을 선정하기 위하여 통계적기법(공간군집분석 등)을 시행하여 지역특성을 고려한 시범지역을 선정하였다. 시범지역에 대한 모델 인자들의 융합/통합 자료 조사 및 진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지역주민, 관계자 대상 설문조사 및 수요조사를 병행하여 수요자-공급자 접합 모델 결정 및 세부 필요요소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농공존거점공간으로 활용가능한 폐교를 대상으로 활용모델을 개발하여, 농촌활성화를 위한 거점 공간,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휴양 치유공간으로서 지역맞춤형 도농공존 거점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에 도움을 주는 것에 있는데, 수요자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도농공존거점공간의 핵심적인 성공요인을 도출하였으므로 향후 도농공존거점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지역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주요 도농공존거점공간으로 활용가능한 폐교를 대상으로 그 활용가치를 탐색하였으며, 이를 통해 폐교활용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사례분석을 통한 경제성 진단의 분석 결과는, 향후 보다 정교한 경제적 타당성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토대로 민감도 분석(Sensitivity Analysis)과 목표치 분석(Target Value Analysis)를 활용하여, 사업의 타당성 및 손익분기를 확보할 수 있는 수준의 편익 추정하는데, 이 편익에 미치는 여러 변인에 대한 변동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분석함으로써 최종적인 사업주체를 위한 의사결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gionally customized urban-rural coexistence base space model as a base space for rural revitalization and a recreational healing space for solving urban problems. This study derived key success factor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rban-rural coexistence base space system, analyzed the potential of the urban-rural coexistence base space location, analyzed cases of urban-rural coexistence base space models such as culture and sports, healing agriculture, and social welfare, and analyzed the main needs of each urban-rural coexistence base space model. Afterwards, statistical techniques (spatial cluster analysis, etc.) were implemented to select pilot areas for each major model through the typification of rural areas, and pilot area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Convergence/integration of model factors and diagnostic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pilot areas. In addition, a survey of local residents and stakeholders and a demand survey were conducted in parallel to determine the demand-supplier convergence model and identify detailed needs. The outcom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utilization model for abandoned schools that can be used as urban-rural coexistence base space, which can be used as a base space for rural revitalization and a recreational healing space for solving urban problems. Since the key success factors of the rural-rural coexistence base space were derived,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applied to areas that want to use it as an urban-rural coexistence base space in the future. In addition, we explored the utilization value of abandoned schools that can be used as major urban-rural coexistence base spaces, and this will enable u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abandoned school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economic diagnosis through case analysis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a more sophisticated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in the future, and based on this, sensitivity analysis and target value analysis are used to estimate the level of benefits that can secure the feasibility and break-even of the business, and the scenarios of changes in various variables affecting these benefits are set and analyzed to provide decision-making information for the final business own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도시의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면서 농촌활성화를 위하여 정부에서는 농림축산식품부를 중심으로 농촌체험마을, 관광마을 등 관광개념을 도입한 다양한 농어촌지역개발사업들을 추진해왔으며, 더불어 농촌소득증대를 위하여 6차산업도 도입해왔으나 일부 우수성과를 포함하더라도 농촌과소화현상을 막기에는 단일 부처의 사업들로는 역부족이다. 농림축산식품부 관할의 단일 부처의 정책과 사업으로는 기존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보건복지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중앙의 다부처와 광역 및 지자체의 다양한 정책과 사업들이 융합되어 농촌의 공간에서 시너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활성화를 위한 거점 공간,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휴양 치유공간으로서 지역맞춤형 도농공존 거점공간 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세부내용으로는 기존의 유사 선진사례들에 대한 시스템분석을 통하여 법/행정/제정 지원제도, 인문사회 및 자연현상에 대한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적절한 도농공존 거점공간 모델의 구성인자를 설계하며, 지역 특성을 반영한 모델들을 유형화하여 유형별로 진단지표를 개발함. 지자체 단위의 시범지역을 선정하고 시범지역의 자원과 수요조사를 통하여 진단한 후 지역맞춤형 도농공존 거점공간으로 개발하기 위한 필수사업요소들을 도출하고 제안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본 연구의 결과는 도농공존거점공간으로 활용가능한 폐교를 대상으로 활용모델을 개발하여, 농촌활성화를 위한 거점 공간,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휴양 치유공간으로서 지역맞춤형 도농공존 거점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에 도움을 주는 것에 있음
    ○ 성공적인 모델 개발을 위하여 도농공존거점공간 시스템 분석을 실시함
    ○ 수요자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도농공존거점공간의 핵심적인 성공요인을 도출하였으므로 향후 도농공존거점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지역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또한 주요 도농공존거점공간으로 활용가능한 폐교를 대상으로 그 활용가치를 탐색하였으며, 이를 통해 폐교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였음
    ○ 도농공존거점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폐교활성화 요인을 분석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음
    ○ 사례분석을 통한 경제성 경제성 진단의 분석 결과는, 향후 보다 정교한 경제적 타당성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
    ○ 이를 토대로 민감도 분석(Sensitivity Analysis)과 목표치 분석(Target Value Analysis)를 활용하여, 사업의 타당성 및 손익분기를 확보할 수 있는 수준의 편익 추정하는데, 이 편익에 미치는 여러 변인에 대한 변동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분석함으로써 최종적인 사업주체를 위한 의사결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임
  • 색인어
  • 도농공존, 거점공간, 농촌개발정책, 농촌활성화, 사회복지, 치유농업, 통합돌봄, 지역개발, 지역사회, 농촌개발사업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