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 근현대 민족어문교육 기초 연구(Ⅱ)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지원한국근현대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4-073-AM2033
선정년도 2004 년
연구기간 2 년 (2004년 09월 01일 ~ 200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민현식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황혜진(서울대학교)
윤여탁(서울대학교)
김종철(서울대학교)
김호정(서울대학교)
서혁(서울대학교)
주세형(서울대학교)
윤금선(서울대학교)
김양희(서울대학교)
박건숙
신현숙(서울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가. 기초 자료의 추가 발굴 및 수집
    1기의 연구를 통해 어문교육 관련 법령과 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 단행본과 논문, 신문, 잡지의 기사, 논설 및 논문 등의 분야에 이르러 총 2000여권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했다. 전일적이고 통시적인 기술을 위해서는 누락된 자료들을 추가 수집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1기 연구에서 빠진 사료들과, 각종 조사 및 통계 자료, 녹음 및 영상 자료, 학교·야학 등의 자료, 교육 및 홍보용 번역 자료, 각종 사전류 등의 2차 사료(史料)의 수집과 분류가 연계되어야 한다.
    나. 기초 자료의 분석과 통사적 기술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된 실증적 자료를 훈고학적 관점으로 그 내용을 심도있게 분석하는 것이다. 당대의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자료를 재해석함으로써 연구사적 의의가 새롭게 발굴되고 또 그 사료적 가치가 온전해질 수 있다. 지금껏 어문교육에 관한 연구는 문화사의 일부로 혹은 민간 운동의 차원에서 소략하게 언급되었고, 또 시기적으로는 현대에 치중되어 왔다. 특히 근대로 소급된 연구일수록 그러한 경향이 두드러지는데, 그것은 당시의 사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다. 연구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전산화 및 미니도서관화
    본 연구의 세 번째 목적은 1차 사료들을 의미 있는 하나의 정보원(情報源)으로 조직하고 재구성함으로써 향후 연구를 위한 연구 인프라(study-infrastructure)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것은 연구 활동의 기반이 되는 조건을 조성함으로써 거시적으로 차세대 연구 활성화를 진작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며, 당장은 어떤 연구자라도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자료를 검색하거나 열람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인프라는 세 가지 의미를 지닌다. 첫째는 자료 수집 및 배열을 통한 미니도서관(mini-library) 구축, 둘째는 자료 분석 결과의 집적, 셋째는 주요 자료에 대한 한글 전산화 작업을 통한 기초 자료 데이터베이스(database of low-date) 구축으로 실현될 수 있다.
    라. 미래 민족어문교육의 정책적 방향 제시
    본 연구는 과거 어문교육 100년사를 기술함으로써 미래 어문교육 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제 강점기와 분단기라는 특수한 상황의 연속이었던 근·현대사의 특성과, 정보화, 세계화라는 과제를 고려한다면 바람직한 민족 어문교육의 모색과 미래지향적 정책 제시가 필요하다.
  • 기대효과
  • 가. 근현대 민족어문교육 기초 자료를 전산화하여 접근 가능성을 높인 원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과제 1기 사업의 중심 작업 중 하나가 자료의 DB화였던 만큼 기초 자료를 검색하고 분류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베이스의 1단계 구축은 완료되었다고 할 수 있다. 1기의 성과를 토대로 하여 2기 사업에서는 민족어문교육 기초 자료의 전산화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와 함께 원자료에 대한 온라인상의 접근가능성을 높이고자 한다. 중요 자료에 대한 이미지화, PDF 파일화, 한글 전산화 등의 작업을 동시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원자료에 대한 입체적인 접근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나. 어문정책 및 어문교육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원리를 제공한다.
    본 연구 결과로써 미래 어문·어문교육 정책 수립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필요한 향후 연구의 기초 연구 자료를 제공한다. 이를 토대로 하여 미래 어문 정책 및 어문교육 정책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안할 수 있다.
    다. 자국어 연구 및 자국어교육 연구의 원리를 제공한다.
    어문교육 자료는 당대의 가장 모범적이고 우수한 자료들의 저장소로, 비체계적이고 비의도적인 일상의 어문 자료와는 변별되는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는 현대의 국어교육 이론, 즉 국어교재 연구, 국어교육 정책 연구, 국어과 교육과정 연구, 국어교육 평가, 국어교육 연구사 등의 분야에서 많은 source와 원리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라. 통일 시대의 어문교육 내용 구성에 활용할 수 있는 원리를 제공한다.
    통일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이질적인 남북한의 언어 문화를 동질화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언어의 통일은 민족성의 통일을 위한 발판이기 때문이다. 언어 문화의 동질화를 위해서는 ‘교육’이 가장 중요한 매개가 될 수밖에 없다. 기초 자료에 기반한 남북한 어문교육과 언어 문화의 체계화적인 비교 고찰은 통일 시대의 어문교육의 내용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와 원리를 제공할 것이다.
    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초 원리와 구체상을 제공한다.
    국력의 신장과 함께 한국어교육에 대한 수요는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와 국외에서 진행되었던 민족어문교육의 역사를 사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과 서로 이질적인 제1언어의 문법 체계를 가지고 있는 외국인과 동포들에게 가장 적합한 한국어 교육의 구체상을 제공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한국 근·현대 민족어문교육의 사적 전개를 고찰하고, 그 민족사적 의의를 밝히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그동안 연구 주제로서 도외시 되었던 근대기의 어문교육 연구를 활성화하고, 한국 근현대 100년 이전과 그 이후의 단절된 역사를 복원함으로써 우리 민족 어문교육사를 새롭게 기술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연구 대상 자료의 개념 및 범주
    이 연구의 대상인 ‘민족 어문교육’이란 모국어인 한국어와, 한글 및 국한(國漢) 표기로 이뤄졌던 어문교육 제반 현상을 의미한다. 시기적으로는 ‘민족’이나 ‘국가’ 개념이 태동되었던 근대부터 현재까지, 주로 근대적 학교 교육 및 비제도권 교육을 모두 아우르는 교육 현상 전반을 대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연구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세부 연구 방법의 독자성과 차별성을 고려하여 연구 분야를 5개 하위 분과로 구분하여 수행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1기 연구를 계승하고 연구의 발전적 연계성 차원에서 내용적 완성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게 동일한 5개 분과로 구성한다. 그 분야는 다음과 같다.

    ① 어문 교과서 및 교육과정
    ② 어문교육 정책 및 운동
    ③ 어문교육 연구
    ④ 북한 어문교육
    ⑤ 국내외 한국어 교육

    이러한 각 하위 분야의 연구 대상 자료는 순서대로, 근대부터 현재의 7차 교육과정까지의 교육과정 문서와 국어교과의 교재로 쓰였던 각종 어문 교재 및 국어 교과서, 교육령, 교육 관련 법규 및 법령, 민간 어문 운동 자료, 어문교육 연구 단행본 저서, 논문집, 학회지, 잡지, 신문의 기사와 논단류, 북한 어문교육 교과서, 교육과정 관련 자료, 국내외 한국어교육 교재, 한국어교육 논저 및 관련 자료 등이 1차 자료로 포함된다.
    이외에도 시기별로 근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어문교육 자료에 대한 해제류, 과거의 어문교육 현상을 유추할 수 있는 관련 역사물 및 교육 통계 조사 자료, 근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어문교육 내적․외적 형성에 영향을 미친 국내외 관련 사료 등, 1차 자료를 해석하는 데 필요한 각종 문헌 자료와 동영상 자료 등이 2차 자료에 해당한다. 이번 1차 자료에 대한 해석과 가치평가를 위해서 관련 2차 사료 읽기가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2기 연구에서는 1차 자료의 보완과 동시에 어문 교육을 해석하기 위한 2차 사료의 정비도 중요한 목적으로 설정한다.

    2. 연구 내용 및 방법
    이러한 자료를 가지고 무엇을 연구할 것인가? 이번 연구의 성격은 문헌학적 연구와 자료 전산화라는 2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문헌학적 연구이다. 1기 연구가 자료의 수집과 체계적 정비에 최대의 목적이 있었다면, 2기 연구의 목적은 이렇게 수합된 자료의 내용을 일관된 기준으로 분석하고 그것을 이론화하는 것에 있다.
    1기 연구에서도 자료의 형태론적․의미론적 분석이 어느 정도의 수준에까지 이뤄졌다. 이로 인해 그동안 어문교육 분야에서는 명목상의 존재로 남아있던 교재, 관련 정책 논의 등, 귀중한 사료들을 직접 발굴하고 복사함으로써 이를 연구 대상에 표면화하게 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료들의 내용을 본격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이론화함으로써 학문적 토대를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기적으로 전후 출현한 자료의 계통적 관련성과 사회문화사적 특성이 어떻게 그 자료의 내용에 반영되었는지 또는 자료가 생성되고 소통되던 외연적 필연성은 무엇인지, 자료의 시대사적 역할은 무엇이었으며, 어문 교육 형성에 어떤 외부 이론들이 영향을 미쳤는지 등등, 1차 자료와 2차 자료와의 상호 관련성을 토대로 어문교육 현상 전반을 일관성있게 기술함으로써 자료의 사회문화적 가치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5개 하위 분과가 효율적으로 세분화된 목표를 달성하도록 상호 협력함으로써 거시적으로는 어문교육사의 이론적 기술이라는 담대한 목적을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자료 전산화이다. 현재 수합된 자료는 2000여권에 이르고 이는 연구 중심 센터 구실을 하고 있는 본 연구소에 미니도서관 형식으로 서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가 기초 연구로서 제 역할을 다 하기 위해서는 관련 자료를 전산화하여 온라인 상에 집적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먼저 우리 어문교육의 정책적 흐름을 한눈에 보여주는 작업으로서, 어문 교육과정 문서에 해당하는 근대 법령 및 규칙, 일제 강점기의 조선어 교육령, 1차부터의 어문 교육과정, 어문교육 운동사와 관련된 문헌자료 등을 연대기 순서대로 전산 입력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어문 교재 및 어문교육 연구서 자료들을 오프라인 상에서 도서관 열람과 같은 형식으로 배열하고, 온라인 상에서는 원본 자료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하기 위해 시대적 흔적을 이미지화할 수 있는 방식
  • 한글키워드
  • 한국어교육,어문교육정책 및 운동,국어교재,PDF화 학제적 국어교육과정,전산화,도서소장 및 정리,통사적 기술 연구 인프라 구축,내용 분석,서지사항,2차 사료,국어 교과서,어문교육연구 북한 어문교육,한국 근현대 민족 어문 교육 기초 연구 기초 자료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교육과정 및 교과서
    본 분과의 연구는 현대 교육과정기 이후 국어과 교육의 내적 구성 원리를 밝혀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내적 구성 원리를 밝히는 것은 크게 두 가지로 전개된다. 하나는 공교육의 특성에 초점을 둔 것으로, 교육과정 문서와 교과서 관계에 주목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국어 교과로서의 특성에 초점을 둔 것으로, 교과서 제재의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2. 어문 연구 및 정책
    2기 연구에서는 주요 어문 과제를 대상으로 통시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특히 2기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이후의 어문 문제와 관련된 정책을 집중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교육과정의 제정 및 공포는 국어 교육사뿐만 아니라 국어 정책의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왜냐하면 국어 정책과 국어 교육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통일 문법 제정’, ‘어문 규범 제정 또는 개정’, ‘사전 편찬 작업’, 그리고 ‘국어 정보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국가 차원에서 다루어진 과정과 이유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기 연구의 발표 논문은 사전 편찬, 교육과정과 관련된 정책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3. 어문교육 연구
    본 분과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구별된다. 첫째는 제도적인 어문교육 현상을 대상으로 한 어문교육 연구에 대한 메타적 연구이며, 둘째는 비제도적인 어문교육 현상을 대상으로 한 어문교육 연구에 대한 메타적인 연구이다. 후자는 어문생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해결책을 찾아가는 실천적인 행위까지 포함하는 것이다. 어문교육 연구에 대한 메타적인 연구를 행함에 있어서 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여, 비제도적으로 실행되었던 어문교육 실천이 드러내지 않았던 입장과 태도를 재구하고, 이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어문교육적인 의의를 밝히는 연구에 보다 집중하였다.


    5. 한국어교육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한국 문화 교육과 한국어 교육 초기 교재에 나타난 문법 학습과 학습 활동을 심도 있게 연구․분석하였다. 초기의 한국어 교재에서 최근 멀티미디어 교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문화 교육이 각 시기별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전통 문화와 현실 문화의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한국어 교육 초기의 교재를 대상으로 문법 교육과 학습 활동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문법 교육에서는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쟁점이 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고, 학습 활동은, 각 교재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학습 활동의 형식과 기능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러한 학습 활동이 교수법과 학습 대상, 학습 목표를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영문
  • [영문]
    1. This research intend to the internal principle of Korean education Subject after the period of the Modern Curriculum.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o verify the dynamic relation between the aim and the contents of Korean subject in the period of Modern Curriculum. Second, to investigate changes of Text-Types and Authors in Korean Textbooks, in the times of before curriculum and modern-curriculums. And the third, to examine the changing aspect of the materials in the elementary and the secondary textbooks. For the analyses of textbooks, one research was to search for the frequency of unit including the materials in textbooks, the other was to search for the concrete aspect.

    2. We described and analysis the policy of grammatical unification, dictionary, and language norm and information. Unification of grammar, reform or change of language norms is meaningful language policies. These policie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Education Ministry. The policy of dictionary and information was developed by degree. Korean dictionary was appeared in modern recent times. These dictionaries were translation printed side by side with the orignal text. Today, the editing of dictionary and the policy of information are regard as important of language policy, so the government are concerned theses problems.

    3. Research that consist so far is differentiated by two greatly. One is a research to institution language education phenomenon, and another one is a research to language education phenomenon that do not belong to institution. Specially, this research considered activity that find and describes language education phenomenon and that do not belong to institution. So, studied this part concentrically. This research observed medium of newspaper and magazine etc. mainly. These are journalism, there is feature that show actuality social phenomenon than scientific value.

    4.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contents in North Korea's literature education and grammar education. In this research, it was analyzed the grammar teaching in the North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afterward 1980's. This research are organized three fields. firstly, it was analyzed classic literary education in North Korea's literary textbook. It was possible for this analysis to know position and significance of classic literary education in North Korea. secondary, it was analyzed modern literary education in North Korea's literary textbook. It was possible for this analysis to know position and significance of modern literary education in North Korea. thirdly, it was analyzed grammar education in North Korea's grammar textbook. It was possible for this analysis to know method of teaching grammar and significance of grammar education in North Korea.

    5. In this research, it was analyzed the grammar teaching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the latter part of 19th century. It was possible for this analysis to know how foreign learners understood and learnt Korean grammar. Moreover, it was possible for this analysis to know the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Korean grammar.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from first to fourth period can be seen to have provided both traditional and realistic culture information. Generally, in each of these periods, there was plenty of information belonging to realistic culture. So, it can be said that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in each period provided plenty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istic culture such as, life of Korean people and society.
    The other side, in this research, it was analyzed the type and function of the learning activity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rom 1960's to the middle of 1980's. In those days, the audio-lingual method was the general tren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it focused on repetitions and memorizing based on drills in the learning activ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근현대 민족 어문 교육 기초연구(Ⅱ)(이하 Ⅱ기 사업)’는 한국 근·현대 민족어문교육의 사적 전개를 고찰하고, 그 의의를 밝히기 위한 기초 연구로, 지난 2002년 ‘근현대 민족어문교육 기초 연구(이하 Ⅰ기 사업)’의 후속 연구이기도 하다. 당초 본 연구는, 현 시점에서 근대 계몽기의 어문교육 연구를 활성화하고, 한국 근현대 이전과 그 이후의 단절된 역사를 복원함으로써 우리 민족 어문교육사를 새롭게 기술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는 문제의식을 가졌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자료의 체계적 수집과 정리, 둘째, 자료의 전산화 및 미니 도서관 구축, 셋째, 자료에 대한 실증적이고 깊이 있는 통사적 기술을 목표로 하여, 민족 어문교육의 미래적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여하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공유한다는 전제 하에 '교육과정 및 교과서', '어문운동 및 어문 정책', '어문교육연구', '북한의 어문교육', '한국어교육' 등 다섯 분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크게 세 측면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새로운 자료를 추가 발굴하고, 기존 DB를 정비하고 통합하였다. 둘째, 자료 분석 결과의 집적, 자료에 대한 한글 전산화 작업을 통한 기초 자료 데이터베이스(database of low-date) 구축을 실현하였다. 각종 희귀 자료의 표지 및 외형에 대한 사진을 이미지화하고, 특히 소실될 확률이 있거나, 타 연구자들이 구하기 어려운 자료, 또는 내용 분석면에서 본문을 이미지화함으로써 계속적인 보존 및 보급의 가치가 있는 자료들을 선별하여 PDF 파일로 전환하고, 이를 웹상에 연결시켰다. 셋째, 수집을 통해 집적된 사료의 계통적 관련성을 보다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역사 기술의 궁극적 목적이 바람직한 미래상을 탐색하는 것이라면, 현 국어교육계에서는 이러한 작업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해방 이후 건국기 및 현대적 교육과정기에 집중하였다. 각 분과 공히 좀더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본격적으로 설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국어교육사적 함의를 심도 있게 읽어내고자 하였다.
    The key issues of this research(Basic Research on National Education of Language and Literature in Modern KoreaⅡ) are these: analyzing and clarifying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So we established the several specific purposes. First, the systemic collecting and arrangement of the data, second, the computation of the data and building up the mini-library, and the third, the historical description of the data based on the empirical and the profound approach.
    Supposing those three purposes, we proceeded the five research division: the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the Policies and the movement in Korean education, the Korean educational reseach, the North Korean education, The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 three respects. Firstly, new data are added and arranged and integrated in the given DB. Secondly,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are accumulated and the database of low-date are established. Thirdly, the relational channels are verified through the database. Especially, this is very urgent in that the aim of historical description is the pursuit of the desirable futures.
    Each division set up the specific research problem, and focused the period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rriculum. After all, we could see the educational meaning in the enormous database.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근·현대 민족어문교육 기초 자료를 체계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2. 근현대 민족어문교육사를 실증적이면서도 이론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3. 교과서 개발 및 편찬 원리, 잠재적 교육과정·의도적 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원리를 제공한다.
    4. 어문 정책 및 어문교육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원리를 제공한다.
    5. 어문 연구 및 어문교육 자료 개발의 원리를 제공한다.
    6. 통일 시대의 어문교육 내용 구성에 활용할 수 있는 원리를 제공한다.
    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초 원리를 제공한다.

    1. It can be systematically searched for the basic data about the Modern and contemporary 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in Korea. 2. It can show the possibility of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analysing the modern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3. It can be offered the principles about development of the textbooks and the curriculum design. 4. It can also be offered the principles about the language and the language education policy. 5. It can be provided with the principles about the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6. It can be provided with the basic principles for the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 색인어
  • 한국 근현대, 민족어문교육, 국어교육, 국어과 교육, 교육과정, 교과서, 어문교육연구, 어문정책, 어문운동, 북한의 어문교육, 한국어교육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in Korea, the 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Korean education, the Curriculum, the textbook,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the language policy, the language movement, the North Korean Education, The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