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북한 문화정전의 해제 및 데이타베이스 구축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연구분야 토대기초연구지원
연구과제번호 2007-322-A00097
선정년도 2007 년
연구기간 2 년 (2007년 08월 01일 ~ 2009년 07월 31일)
연구책임자 강진호
연구수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은정(한국외국어대학교(용인캠퍼스))
박선영(성신여자대학교)
이승윤(연세대학교)
공임순(서강대학교)
남원진(건국대학교)
김한식(상명대학교(천안캠퍼스))
유임하(한국체육대학교)
홍석률(성신여자대학교)
오태호(경희대학교)
채호석(한국외국어대학교)
김원경(수원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북한 사회의 공식적 문화정전(文化正典)인 ‘총서 <불멸의 력사>’(해방 전편 17권, 해방 후편 15권, 이하 ‘총서’로 약칭함)의 해제와 관련 자료를 통합하는 DB 구축을 통해 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역사, 철학, 문학예술 등의 전체 조감도를 마련하고, 학제 간 연구를 위한 기초학술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총서’의 해제, 관련 자료의 통합 DB화는 김일성과 항일 유격대를 국가 신화로 만든 특정한 시대의 이념을 규명하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김정일의 우상화 작업의 일환인 ‘총서 <불멸의 향도>’와 중첩되고 구별되는 지점을 명확히 밝히기 위해 반드시 고찰해야 할 기초 작업이다. 지금까지 남한에서는 이들 ‘총서’를 김일성 부자의 우상화와 주체사상을 교화하는 문학 수단이자 전기 정도로 이해해 왔다. 그 결과 정치학이나 사회학에서 총서 관련 연구는 김일성의 우상화나 북한 사회의 작동 원리를 규명하는 데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체제의 언어로 역사를 담론화한 ‘총서’의 특성은 국가와 이념을 수령 중심의 사회로 재편하며 모든 공적 기억과 공적 의례를 수행하는 문화적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총서’를 재정의할 필요가 있다.
    ‘총서’는 김일성의 가계와 항일 유격대를 중심으로 “혁명발전의 중요단계들을 전형화하는 방법”으로 기술된 ‘소설 양식을 빌린 이야기된 역사’이다. 이들 텍스트는 역사적 사실에 기초하여 ‘4․15문학창작단’ 소속 작가들이 국가주의에 입각하여 창작한 산물로, ‘수령’을 정점으로 삼는 ‘국가 이야기(Nation Narrative)’인 셈이다. ‘총서’는 문학적 서사를 십분 활용하고 있으나 그 문화적 파급 효과는 문학의 영역을 넘어 정치, 이념, 사회, 문화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한다. 김일성을 공산주의 인간상의 전형으로 그려내는 과정에서 그의 인품과 지도자의 덕성, 지도의 내용들이 당대의 정치, 문화적 현실과 맞물려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게다가 김일성의 이러한 ‘수령형상’은 당의 정책과 이념을 교시하는 현실 정치 및 문학과 문화의 장에 전유․적용된다. 예를 들면, 북한의 대표적인 문학잡지의 하나인 ‘조선작가동맹’의 기관지 <조선문학>이나 북한 문학사에 등장하는 김일성의 수령 교시는 대부분 <김일성 저작집>이나 ‘총서’의 내용에 근거해 있다. 이렇게 보면 ‘총서’는 수령 교시의 원전으로서 북한 사회에 공산주의 인간학의 요체이자 정치, 이념, 사상, 문학, 문화 전반을 망라하는 대표적 문화정전으로 기능하는 셈이다. 그러나 총서는 보통 2~4회 개작 또는 전면 개정을 거쳐 ‘총서’의 개별 텍스트로 확정되는 복잡한 절차를 가지고 있어서 반드시 원본에 대한 면밀한 독해과정을 거쳐야 한다.
    본 연구는 2년에 걸쳐 북한의 ‘문화정전’인 ‘총서’ 총 32권에 대한 해제 및 분류와 <‘총서’ 용어 사전>과 <총서 해제집>의 간행 그리고 본문 DB 및 ‘역사․철학용어 DB, 일상용어 DB, 인명 DB, 기사 DB’ 등 통합 DB를 구축하는 작업은 북한 사회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수령형상문학’이 지니는 의의를 점검하는 한편, 남북 간에 조성된 이질성과 거부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김일성의 업적을 기술한 ‘총서’에 대한 해제와 DB 구축은 정치학, 언어학, 역사학, 철학, 문학 등 파편적으로 진행되는 북한 연구 작업에 학제간 연구를 가능케 하는 질료적 토대가 될 것이다. 남북 간의 다양한 정치․경제․사회․문화․군사적 교류가 점차적으로 빈번해지고 있는 지금, 북한의 ‘문화정전’인 ‘총서’를 통해 북한 사회에 대한 구체적․실질적 인식을 확보하는 것은 남북의 평화 체제를 구축하는 데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① DB 구축: 본 연구의 성과물인 DB 구축은 정보검색, 하이퍼텍스트, 사전 편찬 등으로 가시화될 것이다. DB를 기반으로 한 하이퍼텍스트의 핵심 내용은 남북의 북한학 관련 자료를 통합적․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그 편이성과 광대함은 기존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북한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창출해내는 기폭제 역할을 할 것이다.

    ② <‘총서’ 용어 사전> 편찬: 본 연구의 성과를 토대로 <‘총서’ 용어 사전>을 구축할 수 있다. 미학․문학․예술․언어․인명․정치․철학 등과 관련된 북한의 자료를 정리․가공하여 분야별로 작성함으로써 전문 사전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③ 북한학 관련 각종 사전편찬의 토대 마련: 본 연구의 결과물은 각종 사전 편찬의 토대가 될 것이다. 이 사전은 향후 <북한인명사전>, <북한어휘사전>, <북한역사사전>, 및 각종 용어사전 등으로 분류․계열화된 전자사전 및 종이 사전 편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④ 북한학 연구의 준거 제공: 북한의 사회․문화 전반에 관한 구체화된 자료의 제시는 연구 수준의 제고는 물론 북한의 개념적 언어를 추출하거나 그들의 사고태도 및 작동원리를 이해하는 준거틀을 제공할 것이다.

    (2) DB 구축의 기대 효과

    ① 인문학 연구 지평의 확장: 국내의 북한 연구는 학계에서 주변적 성격을 띠고 있다. 그 침체의 원인은 반공 이데올로기의 금기, 자료의 비개방성, 자료의 부족에 있다. 자료의 체계적 정리의 부재는 연구 방법론 및 연구 내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자료와 연구 환경의 개방화, 연구 시야의 확대, 분석과 해석의 객관화 등을 통해 이를 극복한 새로운 연구모형을 제시할 것이다.

    ② 역사 인식의 제고: 해방 전 만주 지역에서 벌어진 항일 빨치산투쟁은 우리 역사의 일부임에도 북한 정권의 정통성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인식되어 외면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만주항일운동을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역사 인식을 제고할 것이다. 또한 원문 자료 및 관련 자료 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북한에 대한 이해를 도와 북한 연구의 활성화를 촉발시킬 것이며, 이와 같은 성과와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일반인들에게는 북한에 대한 인식을 개선시킬 것이다.

    ③ 자료의 원문 해제를 통한 객관화된 정보 제공에 기여: ‘총서’의 경우 북한 문헌조차도 작품의 창작 시기나 시대배경, 내용의 차이를 보여 정확성을 확보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남북 자료의 교차 비교를 통해 정확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개별화된 기존 자료와는 변별된다. 본 결과물은 북한 연구에서 연구자 개인의 인상적 해석 수준을 극복하고 구체적․객관적 접근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④ 자료 이용의 편의성 제고: 현재 국내에서도 여러 기관을 통해 북한 관련 DB 구축 및 정보 검색이 진행되고 있으며, 연구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러나 자료 개방의 수준은 매우 제한되어 있어 북한 연구를 수행하는 데 난점이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물이 될 ‘북한 문화정전의 해제 및 DB 구축’은 단순 처리된 데이터물이 아니라 북한 문헌의 선별․가공․정리의 실제를 통해 원문에 지도․도표․언어․2차 자료․1차 자료가 링크되는 형태로 통합적으로 가공된 데이터 구조물이며, 구체적인 자료의 검색을 통해 다양한 분석과 검증의 토대를 제공하도록 설계․제작된다. ‘북한 문화정전 DB’는 결과적으로 자료 이용의 효용성․편의성 등을 제고시켜 북한 연구 전반의 생산성은 물론 질적 수준의 향상을 배가할 수 있을 것이다.

    ⑤ 북한 문헌 자료 가공의 표준적 방법론 제시: 북한 문헌에 관련된 남북의 자료를 구조적․과학적 분류체계에 따라 분류하여 자료 가공의 표준적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북한학 문헌자료의 검색․계열화에 일정한 지침을 마련할 수 있다.

    ⑥ 북한학 연구의 학제간 연구 활성화: 언어․문학․예술․역사․정치․철학 등 개별 학문의 자료를 통합하여 제시함으로써, 향후 북한학 연구의 학제간 연구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가 수행하려는 북한 문화정전의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① 연구의 대상과 범위: ‘총서’는 해방 전편과 해방 후편을 합하여 총 3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서’는 해방 전편 17권, 해방 후편 총 15권, 원고지 약 10만 장 분량이다. 본 연구는 이들 텍스트 전체를 대상으로 삼는다.

    ② 수집 자료의 분류 및 분류체계: ‘총서’는 지속적인 개작과 개정을 통해 여러 판본이 존재하는 문화정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총서’를 광범위하게 수집 정리하고 일정한 분류체계에 의거하여 작품에 대한 색인과 해제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이 모든 결과물은 ‘총서’ DB 구축의 기본 자료가 된다.

    ③ 연차 계획

    가. 1차년도: 본 연구는 ‘총서’가 반영한 역사적 사건과 인물, 이와 관련된 신문과 잡지의 기사와 2차 문헌, 남북한과 소련, 만주 일대의 지명 정보, 남북한의 이질적 어휘 등을 추출함으로써 DB를 구축하는 작업을 1차 목표로 삼는다. 이렇게 축적된 자료는 작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총서’ 용어 사전>과 <‘총서’ 해제집> 간행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 2차년도: 1차년도 작업 결과 축적된 자료 및 분류체계를 바탕으로 2차년도에는 ‘총서’ 전체의 내용을 입력하고 하이퍼텍스트로 구조화함으로써 ‘총서’ 원문의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상호 관련된 ‘총서’ 전체의 양상을 손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만들 것이다. 하이퍼텍스트의 구축은 개별 작품에 대한 이해에 그치지 않고 ‘총서’ 전체의 맥락을 파악하는 데 필수적인 작업이다.
    ‘총서’의 이러한 특징은 텍스트 전체 원문과 관련자료들을 하이퍼텍스트로 구조화함으로써 보다 분명히 드러날 수 있다. 하이퍼텍스트의 가장 큰 특징은 다선형적이며 다연속적으로 경험되는 텍스트를 창조하는 데 있다. 하이퍼링크 작업은 각 작품의 거대 서사를 뒤따르는 개별 서사들의 흐름과 그들 상호간의 관계망을 세부적이고 또한 입체적으로 시각화해준다. 작업의 결과 하이퍼텍스트로 연결된 개별 참고물들을 복합적으로 추적하는 경로가 만들어질 것이다. 원본과 관련 자료들의 하이퍼링크는 문학뿐 아니라 언어학, 역사학, 사회학, 정치학 등 인접 학문 분야에서 손쉽게 참조함으로써 ‘총서’ 관련 연구의 기폭제로 작용할 것이다. 이렇게 축적된 모든 자료는 CD로 작성하여 관련 연구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④ DB 구축 방법
    가. 주제별로 체계화된 DB 구축: 본 연구에서는 ‘총서’의 원문을 면밀히 분석하여 주요 용어들을 추출하고, ‘해제 DB, 역사․철학용어 DB, 인명 DB, 일상용어 DB, 기사 DB’등의 주제별 DB를 구축한다.
    나. 관련 정보의 유기적 연결: 주제별 DB의 정보들은 설계 단계부터 서로 관련성을 지니도록 고안되고, 각 DB에서 관련이 있는 내용을 상호 참조할 수 있도록 구축된다.
    다. 다양한 자료의 입체적 제시: ‘해제 DB’는 총서 1권당 1편으로 작성하며, 고유한 해제의 형식을 따라 ‘역사․철학용어 DB, 인명 DB, 일상용어 DB’를 구축하며 ‘기사 DB’는 ‘PDF’ 파일로 저장하여, 이용자들에게 제공한다.
  • 한글키워드
  • 총서《불멸의 력사》 북한문학 역사학 문화정전 하이퍼텍스트 데이터베이스 해제 DB 역사 &#8228; 철학용어 DB 인명 DB 일상용어 DB 기사 DB 종자 항일 빨치산 김일성 주체 수령 형상 공적 기억
  • 영문키워드
  • A series of 《The history of Immotality(Bulmyuley-yuksa)》 North Korea literature Historical Science Cultural Canon Hyper Text Data Base Bibliographic DB Historic terms DB & Philosophic terms DB Person's name DB Everyday language DB Article DB Seed Partizan against Japanese Colonialism Kim Il Sung Subject (Juche) Literature for shaping a chieftain figure Public Memory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