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논문 상세정보

논문 상세정보

영유아수학교육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고찰
The Future Directions and Challenges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 학술지 발행기관 담당자가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 입력한 정보와 한국연구재단의 KCI 인용색인DB구축사업을 통해 구축된 정보입니다.
  • ㆍKCI 피인용횟수 : 82 ㆍWoS 피인용횟수 : 0 ㆍScopus 피인용횟수 : 0
  • ㆍ피인용횟수(KCI+WoS+Scopus) :82
  • ㆍ참고문헌수 : 46
  •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홈페이지 상황에 따라 정보제공이 늦을 수 있습니다.
학술지명 유아교육학논집 (ISSN : 12295809) 외부링크
발행기관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권(호) 14 (4)
발행년 2010.08
페이지 29 ~ 51 (23 pages)
저자/소속 홍혜경(전남대학교)
연구분야
키워드 영유아 수학교육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영유아 수학교육의 방향 (future directions for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초록
  • 정보와 과학기술의 활용이 증가되는 사회에서 보다 수학능력의 활용과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요구에 부응하는 영유아 수학교육의 방향과 질 높은 영유아 수학교육을 위한 구체적 방안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영유아 수학교육의 사회적 요구와 동향을 살펴보고, 영유아 수학교육의 접근에 대한 논쟁점과 도출된 함의를 토대로 미래 영유아 수학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추후 영유아 수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과제를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 The new demands of international competition in the 21st century require a workforce with competent technical and scientific literacy.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especially in improving the teaching of mathematics i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ways. This article summarizes the directions for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effective early childhood mathematics instruction from the review of research on development of mathemat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and mathematics practices in prekindergarten and kindergarten. Finally,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future research on the role of teachers in providing effective instruction are addressed.
  • KCI 피인용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홈페이지 상황에 따라 정보제공이 늦을 수 있습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