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논문 상세정보

논문 상세정보

청소년의 SNS 이용실태 및 사회성·심리적 열등감·SNS 열등감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KCI 원문 보기
The Utilization of SNS and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 between Teenagers’ Sociality, Psychological Complex, and SNS Complex
  • 학술지 발행기관 담당자가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 입력한 정보와 한국연구재단의 KCI 인용색인DB구축사업을 통해 구축된 정보입니다.
  • ㆍKCI 피인용횟수 : 11 ㆍWoS 피인용횟수 : ㆍScopus 피인용횟수 : 0
  • ㆍ피인용횟수(KCI+WoS+Scopus) :11
  • ㆍ참고문헌수 : 42
  •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홈페이지 상황에 따라 정보제공이 늦을 수 있습니다.
학술지명 정서·행동장애연구 (ISSN : 12264415) 외부링크
발행기관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권(호) 31 (4)
발행년 2015.12
페이지 127 ~ 147 (21 pages)
저자/소속 김현욱(중원대학교)
공저자/소속 김정민(순천향대학교)
연구분야
키워드 사회성, 열등감, SNS 열등감, 구조적 관계 분석
Sociality, Complex, SNS Complex, Structural Equation Model
초록
  • 본 연구는 충북 지역 초·중·고등학교 학생 296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사회성, 심리적 열등감 그리고 SNS 열등감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기기 사용과 SNS 접근성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고등학교 재학생 296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14.0, AMOS 4.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이용실태는 전체의 28.4%가 ‘약 3∼4 시간 간격’ 21.6%가 1시간 간격으로 SNS를 사용하였으며, 적어도 주 1∼2회 이상 SNS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참여한 청소년의 78%가 최소 1년 이상 SNS를 이용하였으며, SNS에 대한 인식으로는 전체 학생 중 53.7%가 ‘무의미해 보인다’라고 응답하였고, ‘과장되게 꾸며진 모습이다’라고 인식한 학생도 20.6%로 대부분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다. 둘째, SNS 열등감 실태는 여학생의 SNS 열등감이 남학생보다 더 큰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학교급에 따라서는 SNS 열등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F(2, 293).=1.783, p>.05). SNS 이용정도와 이용기간이 길수록 열등감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등록 자료에 따라서는 직접적인 부러움을 느끼는 학생과 더불어, 과장된 모습으로 인식하는 학생들이 실제적으로는 열등감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사회성, 심리적 열등감, SNS 열등감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SNS 열등감은 심리적 열등감, 사회성과 높은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947). 구체적으로 사회성은 SNS 열등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심리적 열등감은 SNS 열등감으로 반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the teenagers’ send of complex, sociality(social skill), SNS complex.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total of 296 questionnaires (elementary students (6th grad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hunbuk) were analyzed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ver. 14.0) and AMOS 4.0. The major finding as follows; first, 28.4% of the teenager was used SNS every 3-4 hours a day, 21.6% utilized every an hour. The teenager in this study used the SNS at least 1∼2 times a week. And 78% of the teenager has been continued SNS for one year. The teenager recognized the others’ SNS, 53.7% responded ‘seems pointless’, 20.6% recognized ‘exaggerated’. Second, for the SNS complex, girl’s complex was higher than boy’s. For the SNS complex among the school level (F(2, 293).=1.783, p>.05),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founded. Also, the higher frequency and longer period of using SNS was also higher complex.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SNS, the students who responded as ‘envy’ and ‘exaggerated’ complex was high. Third, for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the three variables, there were very co-related each other. In detail, sociality was not directly effect to the SNS complex, but complex was showed as SNS complex.
  • KCI 피인용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홈페이지 상황에 따라 정보제공이 늦을 수 있습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