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003&local_id=10013969
과학자의 지식 생성 과정에 기반한 과학 실험 교수학습 모델의 개발 및 적용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과학자의 지식 생성 과정에 기반한 과학 실험 교수학습 모델의 개발 및 적용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정진우(한국교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S0039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2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과학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에게 자연 현상과 사물에 대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과학의 지식 체계를 이해하게 하며, 탐구 방법을 습득하여 올바른 자연관을 지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과학교육 목표 달성을 위해서 실험이 차지하고 있는 위치는 과학적 연구의 한 가지 수단으로서 과학적 방법과 동의어로 쓰일 만큼 매우 중요하며, 과학교사들과 과학교육 연구자들도 이러한 주장에 동의한다.
    각급 학교의 과학교육 현장에서 실험이 필요한 이유는 다양하지만, 그 이유들은 인지적 이유, 정의적 이유, 기능적 이유로 나누어볼 수 있다. 실험은 과학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개념 발달에 유용하다는 인지적 이유, 과학이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목임을 보여줄 수 있다는 정의적 이유, 실험은 이외에 여러 가지 탐구 기능을 신장시킬 수 있다는 탐구능력에 대한 이유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은 실험활동의 목적과 기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많은 의문과 회의를 제시하였다.
    - 과학 실험의 목적과 목표는 무엇인가 왜 과학 실험 교육에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고 있으며, 왜 투자를 해야 하는가
    - 현재와 같은 과학 실험의 형태와 철학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 교사와 학생은 실험에 무엇을 기대하며, 어떠한 태도를 지니고 있는가
    - 과학자들은 학생들이 하는 실험과 같은 형태의 실험을 하고 있는가
    - 학생들의 실험이 과학자들의 실험과 같아야 하는가 그 이유는
    - 앞으로의 과학 실험 교육은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

    이뿐만 아니라, 전통적 과학 탐구 모형에 대한 비판과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 저하라는 문제점이 끊임없이 대두되고 있다. 학생들에게 과학자와 같이 사고하게 하여 과학자와 같은 발견의 기쁨을 누리게 하려면 과학자의 지식 생성에 대한 분석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과학 실험을 제공하기 위해서 과학자들이 생각하고, 추론하고, 발견하는 방법들을 이해하고, 현재의 실험수업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 이를 바탕으로 과학 실험에 대한 교수학습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 중등학교에서 달성해야할 목적을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도출하였고, 현재 초, 중등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실험수업을 실험목적, 상호작용, 탐구과정의 세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또한 초, 중등학교에서 운용되고 있는 주된 실험수업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초, 중등학교에서 과학지식위주의 실험수업이 운영되고 있고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를 자극하는 수업은 거의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실험활동을 통해 과학적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과학자의 지식생성 과정을 따르는 교수학습 모델을 개발하였다.
    주요어: 실험활동, 실험 목적, 지식생성과정, 실험수업, 실험수업의 유형, 과학 탐구, 실험수업 분석도구, 과학적 사고
  • 영문
  • The aims of science education is to make for students to understanding on the systemic knowledges of the science with interest and curiosity about nature and is to make for students to have right views of nature through achieving the inquiry ability. For this aims, laboratory activity has main place in school science as same as scientific method and it has been agreed by science educators and researchers.
    The reasons of necessity about laboratory activity in each school level are various, but the reaso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for cognitive, affective, and science process skills.
    But, many questions and douts had presented until present like following;
    - What is the aims or objectives of laboratory activity why do we invest a lots of money and times, why should we do
    - How was the present laboratory form made and What is the philosophy for the form
    - What do the teacher and his/her students want from laboratory activities and which attitude do they have toward the activities
    - Do the scientists laboratory activity as like students do in school
    - Why should students' lab activities follow the scientists' lab activities
    - How should we teach the students with the lab activities
    The problems of the strong criticism for the traditional inquiry models and the decline of the scientific thinking were presented constantly. If we make students to think as like scientists and to enjoy the joyfulness of scientific discovery, the analysis on the generating process about scientific knowledges of scientists'.
    In this study, we tried to understanding about scientists' thinking, reasoning, and discovery process and to develop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ased scientists' scientific thinking to give students meaningful lab activities. For theses, we derived the aims of laboratory activity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from experts group. And we analyzed the levels of present instructions based laboratory activity through the views of three categories; the aims of labwork, interactions, and inquiry process and analyzed the main type of lab-based instruction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From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knowledge centered lab instructions were performed mainly and the students' scientific thinking were rarely promoted. As these results, we developed the scientific inquiry program to improve the students' scientific thinking through laboratory activities.
    keywords: laboratory activity, aims of laboratory activity, lab-based instruction. type of lab-based instruction, scientific inquiry, analysis instrument on science laboratory instruction, scientific think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과학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에게 자연 현상과 사물에 대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과학의 지식 체계를 이해하게 하며, 탐구 방법을 습득하여 올바른 자연관을 지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과학교육 목표 달성을 위해서 실험이 차지하고 있는 위치는 과학적 연구의 한 가지 수단으로서 과학적 방법과 동의어로 쓰일 만큼 매우 중요하며, 과학교사들과 과학교육 연구자들도 이러한 주장에 동의한다.
    각급 학교의 과학교육 현장에서 실험이 필요한 이유는 다양하지만, 그 이유들은 인지적 이유, 정의적 이유, 기능적 이유로 나누어볼 수 있다. 실험은 과학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개념 발달에 유용하다는 인지적 이유, 과학이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목임을 보여줄 수 있다는 정의적 이유와 함께 실험은 이외에 여러 가지 탐구 기능을 신장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은 실험활동의 목적과 기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많은 의문과 회의를 제시하였다.
    - 과학 실험의 목적과 목표는 무엇인가 왜 과학 실험 교육에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고 있으며, 왜 투자를 해야 하는가
    - 현재와 같은 과학 실험의 형태와 철학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 교사와 학생은 실험에 무엇을 기대하며, 어떠한 태도를 지니고 있는가
    - 과학자들은 학생들이 하는 실험과 같은 형태의 실험을 하고 있는가
    - 학생들의 실험이 과학자들의 실험과 같아야 하는가 그 이유는
    - 앞으로의 과학 실험 교육은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

    이뿐만 아니라, 전통적 과학 탐구 모형에 대한 비판과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 저하라는 문제점이 끊임없이 대두되고 있다. 학생들에게 과학자와 같이 사고하게 하여 과학자와 같은 발견의 기쁨을 누리게 하려면 과학자의 지식 생성에 대한 분석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과학 실험을 제공하기 위해서 과학자들이 생각하고, 추론하고, 발견하는 방법들을 이해하고, 현재의 실험수업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 이를 바탕으로 과학 실험에 대한 교수학습 모델을 개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로 초, 중등학교에서 추구해야할 실험활동의 목적이 추출되었으며, 현재의 초, 중등, 대학의 실험수업의 질과 실험수업의 주요 유형이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프로젝트의 최종 목적인 과학자의 지식생성 과정을 따르는 탐구활동 모델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실험활동은 과학과목을 대부분의 다른 과목들과 구별 짓는 독특한 특징이다. 과학적 방법에 대한 이해와 과학적 방법과 관련된 기능을 숙달하기 위해 실험을 활용한다. 실험활동의 목적 중에서 두드러진 것은 과학자처럼 연구하는 것과 과학 탐구의 방법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이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요구에 부흥하는 학교 실험실 교육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대다수의 학교에서는 활동지 중심의 ‘요리책식 실험’, ‘통조림식 실험’이 상투적으로 계속 이루어지고, 학생들은 교사의 지시를 맹목적으로 따르면서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고, 왜 하고 있는지 진지하게 생각해 보는 경우가 매우 드물었다. 게다가 과학은 하위 과정을 올바르게 수행하기만 하면 궁극적으로 성공적인 결과가 보장된 고정된 알고리즘이라고 묘사되었다.
    과학자들은 남보다 우수한 사유능력과 다용도 방법을 이용하여 진리에 도달될 것으로 판단되므로, 과학자들이 실험실에서 하는 과학적 지식 생성 과정을 접목한 학교 실험 활동에 적용한다면, 과학 탐구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시각을 드러낼 수 있고, 과학 탐구의 본성에 대한 학습과 과학탐구 수행에 대한 학습이라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될 것이다.
  • 색인어
  • 실험활동, 실험 목적, 지식생성과정, 실험수업, 실험수업의 유형, 과학 탐구, 실험수업 분석도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