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006&local_id=10015223
邊沿과 重心 : 東北亞 정세변동에 따른 瀋陽의 역할과 구조의 변화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邊沿과 重心 : 東北亞 정세변동에 따른 瀋陽의 역할과 구조의 변화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유지원(원광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S0008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2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변성에서 도성으로 : 후금체제와 청조체제 하의 심양 :
    1625년 심양으로 천도한 누르하치는 전시상황을 고려하여 군사적,정치적 수요에 적합한 황궁을 축조하였는데, 이는 명대 심양중위성의 기본골격 위에 형성되었다. 홍타이지는 심양성에 대한 대대적인 성곽 개수를 한족 도시건설의 경험과 습관을 흡수하고 漢人을 이용하여 공사설계와 시공을 주관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심양성의 도시건설을 착수하였다.
    2.러일의 만주 진출과 청조의 대응이 심양의 도시발전에 끼친 영향 :
    본 주제에서는 러시아의 만주 진출부터 일본의 만주경영이 본격화되기 직전까지를 시간적 범위로 정하여, 당시의 국제관계와 밀접하게 관련된 러일의 만주 침탈 과정, 이에 대한 중국의 대응이 만주와 만주의 중심도시인 심양의 인구와 경제 및 도시기능의 변화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3.만주국 성립 전후 심양(봉천)의 한인사회 :
    본 연구에서는 심양이라는 공간적 측면과 20세기 초라는 시간적 범위 속에서 이주 한인의 지위와 그 실태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심양으로의 도시이주자를 별개의 존재로서 파악할 것이 아니라 주변 농촌에서 유입되는 존재로서 서로 연동작용 하에서 이루어진 순환고리로 인식해야 한다.
    4.청조 통치권의 확립과 변동에 따른 근세 심양의 도시형태 변천과정에 대한 계획사적 고찰 :
    심양성은 가로체계, 성곽구조, 황성공간을 중심으로 여진 고성의 전통과 한족의 도성제도가 결합되어 나타난 독특한 형태적 특성을 간직하고 있다. 심양 도성의 공간구조의 형태적 특성은 첫째 개방적인 도성구조에서 폐쇄적인 도성구조로의 변화과정, 둘째 횡축기반의 수평적 공간구조의 종축기반의 수직적 공간구조의 결합, 셋째 실용적인 도성구조로부터 축과 중심성에 기초한 상징적인 도성구조로의 변화, 넷째, 자연에 순응한 도성구조로부터 중국고대도성제에 기초한 도성구조로의 변화, 다섯째 만족 고유의 문화적 전통의 보존 등이다.
    5.심양의 도시입지 요소로서 산수경관체계 :
    심양의 산수경관체계를 파악하기 위해 도시의 주요 골격인 심양고궁과 2대 황릉인 복릉과 소릉을 세부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여 살펴 본 결과 심양은 평지형으로써 혼하(渾河)라는 강에 의해 도시의 입지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6.심양의 도시기능의 변화 :
    청조의 지방지배구조의 약화로 인하여 동북지역에 대한 통제와 관할도 현저하게 변화를 겪게 되어 동북지역으로 유입되는 관내인구의 증가와 관내와의 경제적 교류의 증가로 심양은 경제적 기능이 강화되었다.
    7.군벌통치시기 심양의 도시발전과 성격의 변화 :
    장작림과 장학량 집정기 심양의 발전상 중 교육부문에 초점을 맞추어 봉천 신식교육 맹아기의 상황을 살펴보고, 동북대학 설립, 장학량의 교육사업 과정과 그 성과를 살펴보았다.
    8.심양 근대도시화의 양면성 :
    근대도시로 탈바꿈하는데 있어서 만철이 어떠한 방식으로 도시계획에 참여했으며, 그로 인한 심양 도시화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
    9.근대 제국주의 침탈기 심양의 근대 도시계획과 도시공간구조 변화 :
    근대 심양의 도시평면에 대한 형태학적 분석을 통해 현재의 심양 구시가지를 대상으로 도시조직을 추출해보고, 그 공간구성특성을 바탕으로 유형별 도시조직의 형성계통을 분석해 보았다.
    10.고문서에 나타난 조선인의 인식,체험 장소로써 심양 경관 특성 :
    심양일기, 심양장계 등 문헌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심양에 대한 조선인의 경관인식과 경관특성을 파악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explore morphological transformation process of base cities of Houjin-Shenyang-under the rule of Nurhachi and inter-action between the traditional culture of Manchurian and Chinese. The main contents of study are focusing on the role of capital cities, site, castle and wall structure, and internal spatial structure such as street system and layout of facilities. Basically the capital citi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he first class, Fe ala and Hetu ala, is located at the foot of a mountain, inheriting traditional site characteristics of the castles of Manchurian. The second class, Jaifan and Sarh?, is built in order to prepare for war, and sited on the top of a mountain surrounding rugged topographical condition. The third class, Dongjing and Shenyang, which is located in the middle of flatland.
    The traditional prototype of Manchurian settlements is based on the mountain wall, which the main facilities are located on the top of the site. But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re changed with the influence of the culture of Chinese. From the point of morphological transformation process, Hetu ala is positioning on the main turning point in view of the role of capital cities, castle and wall structure, and layout of facilities. Dongjing, which follows the principle of traditional land subdivision structure of Chinese, is also making an important turning point from the view of internal spatial structure. But the traditional site characteristics of Manchurian have an influence on internal structure of Dongjing castle, which has pseudo-mountain in the middle of castl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변성에서 도성으로 : 후금체제와 청조체제 하의 심양 :
    1625년 심양으로 천도한 누르하치는 전시상황을 고려하여 군사적,정치적 수요에 적합한 황궁을 축조하였는데, 이는 명대 심양중위성의 기본골격 위에 형성되었다. 홍타이지는 심양성에 대한 대대적인 성곽 개수를 한족 도시건설의 경험과 습관을 흡수하고 漢人을 이용하여 공사설계와 시공을 주관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심양성의 도시건설을 착수하였다.
    2.러일의 만주 진출과 청조의 대응이 심양의 도시발전에 끼친 영향 :
    본 주제에서는 러시아의 만주 진출부터 일본의 만주경영이 본격화되기 직전까지를 시간적 범위로 정하여, 당시의 국제관계와 밀접하게 관련된 러일의 만주 침탈 과정, 이에 대한 중국의 대응이 만주와 만주의 중심도시인 심양의 인구와 경제 및 도시기능의 변화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3.만주국 성립 전후 심양(봉천)의 한인사회 :
    본 연구에서는 심양이라는 공간적 측면과 20세기 초라는 시간적 범위 속에서 이주 한인의 지위와 그 실태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심양으로의 도시이주자를 별개의 존재로서 파악할 것이 아니라 주변 농촌에서 유입되는 존재로서 서로 연동작용 하에서 이루어진 순환고리로 인식해야 한다.
    4.청조 통치권의 확립과 변동에 따른 근세 심양의 도시형태 변천과정에 대한 계획사적 고찰 :
    심양성은 가로체계, 성곽구조, 황성공간을 중심으로 여진 고성의 전통과 한족의 도성제도가 결합되어 나타난 독특한 형태적 특성을 간직하고 있다. 심양 도성의 공간구조의 형태적 특성은 첫째 개방적인 도성구조에서 폐쇄적인 도성구조로의 변화과정, 둘째 횡축기반의 수평적 공간구조의 종축기반의 수직적 공간구조의 결합, 셋째 실용적인 도성구조로부터 축과 중심성에 기초한 상징적인 도성구조로의 변화, 넷째, 자연에 순응한 도성구조로부터 중국고대도성제에 기초한 도성구조로의 변화, 다섯째 만족 고유의 문화적 전통의 보존 등이다.
    5.심양의 도시입지 요소로서 산수경관체계 :
    심양의 산수경관체계를 파악하기 위해 도시의 주요 골격인 심양고궁과 2대 황릉인 복릉과 소릉을 세부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여 살펴 본 결과 심양은 평지형으로써 혼하(渾河)라는 강에 의해 도시의 입지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6.심양의 도시기능의 변화 :
    청조의 지방지배구조의 약화로 인하여 동북지역에 대한 통제와 관할도 현저하게 변화를 겪게 되어 동북지역으로 유입되는 관내인구의 증가와 관내와의 경제적 교류의 증가로 심양은 경제적 기능이 강화되었다.
    7.군벌통치시기 심양의 도시발전과 성격의 변화 :
    장작림과 장학량 집정기 심양의 발전상 중 교육부문에 초점을 맞추어 봉천 신식교육 맹아기의 상황을 살펴보고, 동북대학 설립, 장학량의 교육사업 과정과 그 성과를 살펴보았다.
    8.심양 근대도시화의 양면성 :
    근대도시로 탈바꿈하는데 있어서 만철이 어떠한 방식으로 도시계획에 참여했으며, 그로 인한 심양 도시화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
    9.근대 제국주의 침탈기 심양의 근대 도시계획과 도시공간구조 변화 :
    근대 심양의 도시평면에 대한 형태학적 분석을 통해 현재의 심양 구시가지를 대상으로 도시조직을 추출해보고, 그 공간구성특성을 바탕으로 유형별 도시조직의 형성계통을 분석해 보았다.
    10.고문서에 나타난 조선인의 인식,체험 장소로써 심양 경관 특성 :
    심양일기, 심양장계 등 문헌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심양에 대한 조선인의 경관인식과 경관특성을 파악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중국지역학 연구는 다른 분야에 비해 그 출발이 늦은 대표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는데,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四川ㆍ福建 등 몇 몇 지역을 대상을 한 주목할 만한 연구 성과가 나왔음은 매우 고무적인 부분이라 하겠다. 다만 기존의 지역연구에 관한 성과들은 기본적으로 대부분 단독연구의 결과물이라는 특징과 더불어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지리적 범위가 비교적 광범위한 관계로 다양한 세부 주제들을 심도 있게 다루지 못한데다 다른 지역과 비교되는 해당 지역의 특징을 도출해내지 못한 아쉬움도 있다. 한편 지역연구의 또 다른 형태로 특정한 도시, 그 가운데서도 上海를 대상으로 한 연구 성과들도 적지 않으나 이 경우는 대부분 商會ㆍ同鄕會ㆍ工會ㆍ靑年運動 등 특정 계층과 집단 혹은 조직에 치우쳐 도시 자체의 형성과 발전, 기능과 구조의 변화, 형태적 특징 등 문제에는 주목하지 못하였다. 이런 면에서 볼 때 역사학과 도시형태학의 학제간 연구를 통해 瀋陽이라는 특정 도시의 형성과 발전, 외재적 요인에 의한 도시 기능과 공간구조의 변화, 도시입지와 산수경관체계 등 세부주제를 심도 있게 분석을 한 본 연구는 새로운 시도이자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하겠다. 이러한 새로운 접근과 시도가 일정한 성과를 거둔다면 이는 향후 우리의 입장과 시각에 바탕을 둔 중국지역학 내지 도시연구의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고 이 분야에 대한 더욱 다양한 후속연구를 촉발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현지조사를 통한 실증연구를 중요한 연구방법으로 활용할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연구 성과들은 하얼빈 등 동북지역 대표적인 도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계획 중인 우리 연구팀의 향후 연구를 위한 기본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단기적으로는 고대부분까지 포함할 수는 없겠지만 장기적인 계획은 고고학ㆍ한국고대사 연구자들까지 포함하여 고대 만주지역의 대표적인 都城에 대한 연구로까지 범위를 확대시켜 나갈 것이다. 이상의 연구 성과들이 축적된다면 만주지역의 고대사를 왜곡하고 자국의 역사로 편입시키려 시도하는 중국의 ‘동북공정’에 반격을 가할 수 있는 이론적, 물적 증거로 활용될 수도 있으리라는 기대를 가져본다.
    고대사부분과 더불어 지금까지 우리 학계의 만주지역에 대한 연구와 관심은 주로 간도지역의 韓人이주사ㆍ사회사 내지는 독립운동사에 집중되어 왔음을 부인 할 수 없을 것이다. 간혹 남만주에 이주한 한인의 존재에 주목한 기존의 연구도 도시보다는 농촌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다. 이는 이주자의 대부분이 농민이었고 토지를 매개로 생계를 영위하고 있어 당연한 현상으로 비추어졌다. 하지만 도시의 팽창과 발달은 한인 이주자를 흡인하였으며 이로 인해 새로운 형태의 이주자 집단이 형성되었다. 기존 연구는 심양의 외연확장과 한인 거주지와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소홀히 다루었다. 특히 심양이라는 도시적 공간이 주였기 때문에 한인 문제는 부수적으로 다루어진 것 같다. 또한 농업인구의 유입과 도시와의 연동작용을 조화롭게 도출해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심양의 역사적 변천 가운데 제국주의 시기 남만주에 이주한 한인의 경제적 지위 및 군벌과 일제의 정책이 이주 한인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한인사회를 어떻게 변용시켰는지를 밝히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또한 안봉철도와 같이 교통로의 신설이 이주민의 증가와 도시로의 유입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밝히고 이를 만주국의 농업정책과 연결함으로써 근대 도시화의 척도인 심양의 한인 실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선만일체화의 실현과 한인의 이주, 그리고 도시로의 이민 행로를 밝히는데 주력할 본 연구는 韓人의 남만주 이주루트의 규명과 현재 북한의 신의주특별행정구 실현의 국제적 상관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교통과 경제의 불가분의 관계는 이주 한인에게는 과중한 시대적 사명이라기 보다는 일상적 삶의 무게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측면을 강조하여 당시 심양에 이주한 한인의 생활상을 이해하는데 일정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고, 이는 간도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졌던 남만주지역 한인의 이주와 생활사 연구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작용을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이러한 기대가 학문적 후속연구로 이어진다면 만주지역연구의 새로운 장을 여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연구 성과와 관련하여 결과물로서 학술논문을 저명학술지에 게재함과 동시에 교육 자료로서의 가치를 부여함은 물론 일반인들에게 심양의 도시문화에 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색인어
  • 만주, 심양, 성경, 고궁, 봉천, 한인,奉系, 敎育, 張作霖, 張學良, 東北大學,國際關係, 中日戰爭, 日俄戰爭,남만주철도주식회사, 도시계획, 만철부속지, 서탑, 도시화, 근대성,식민성,반식민성,봉천거류조선인회, 선만일체화, 서탑, 일본영사관, 십간방, 친일,공간구조,산수, 경관, 복릉,소릉,심양일기, 심양장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