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020&local_id=10013201
'배움'과 '돌봄'을 위한 학교공동체의 실천모델 개발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 #39;배움& #39;과 & #39;돌봄& #39;을 위한 학교공동체의 실천모델 개발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한대동(부산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S0032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2월 2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오늘날 그 문제의 심각성이 더해가는 학생들 간의 집단 따돌림과 학교 폭력 그리고 교사들 간의 갈등을 포함한 학교 구성원들 간의 갈등과 같은 공교육 위기 현상의 원인을 학교 구성원들 간의 공동체 의식의 실종에 두면서, ‘돌봄’과 ‘배움’을 지향하는 학교공동체의 회복을 위한 실천모델과 방안을 탐색하는 연구이다. 2년 과제로서 이 연구가 추진하고자 하는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이 크게 다섯 가지이다. 첫째, 학교공동체의 형성에 관한 개념모형을 정립한다. 둘째, 학교 구성원들의 공동체 의식, 관계, 및 활동 실태를 조사, 파악한다. 셋째, 단위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학교공동체 구축에 관한 실천모델과 실천방안을 탐색한다. 넷째, 연구학교, 협력학교, 시범학교를 통해 학교공동체 실천방안을 적용하고 그것을 통해 수정, 보완한다. 다섯째, 학교공동체 실천모델을 완성하고 평가한다.
    이 중에서 1차 년도에서 계획하고 실행했던 연구과제는 앞의 세 가지이다. 그 각각에 대한 진척상황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학교공동체의 형성에 관한 개념모형은 관련 문헌 및 외국 사례의 검토와 이론적 논의를 거쳐 수립하였다. 이 개념모형에 의하면, 학교공동체 형성의 중요한 요소로는 학교 구성원들 간의 관계와 역할을 하나의 영역으로 보고 있고 수업, 교육과정, 생활지도 및 상담, 특별활동 및 행사 등과 같은 학교교육활동을 다른 하나의 영역으로 보고 있다. 이 두 가지 영역의 구성요소들이 ‘배움’과 ‘돌봄’을 중심으로 한 학교공동체라는 학교장의 비전제시와 구성원들의 비전공유와 같은 학교조직과 풍토상의 기반조성위에서 일어날 때 학교공동체는 형성된다고 보고 있다.
    둘째, 학교 구성원들의 공동체 의식, 관계, 활동에 관한 실태는 부산시 초등학교 교사, 학생, 학부모 집단에 대한 설문지 조사를 통해 파악, 진단되었다. 조사,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교사, 학생, 학부모 집단의 학교공동체 의식은 대체로 다소 높았고 구성원들 간의 관계와 학교교육활동도 다소 공동체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었다. 그러나 구성원들 간의 공동체적 관계와 학교교육활동에 대한 지각정도는 공동체의식보다는 다소 낮게 나타나 의식과 실천은 다소 괴리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1차 년도의 마지막 연구과제인 학교공동체 실천모델과 실천방안의 탐색은, 공동체의식 실태조사, 대안학교 탐방, 배움의 공동체를 실천하고 있는 일본의 학교 견학, 연구학교 및 협력학교를 통하여 수업중심 학교공동체의 형성방안 적용과 관찰, 자발적인 교사들의 수업연구회 결성 및 운영, 등의 연구 활동을 통하여 개발되었다. 그 결과로서 수업과 교사협의회를 중핵으로 한 배움과 돌봄의 학교공동체 모델이 실질적인 실천모델이 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2차 년도에는 수업과 교사협의회를 중핵으로 한 학교공동체 실천모델을 1차 년도의 시범연구학교의 기간을 연장하여 지속적으로 적용, 실천하였고, 2개의 다른 시범학교와 기타 다수의 협력학교에 확산, 적용함으로써 수업과 교사협의회의 개선을 통하여 공동체적 교육으로의 변화의 가능성을 감지할 수 있었다. 다만, 학교장의 수업지도력과 비젼제시 부족, 교사들의 자발적인 실천 의지 부족, 교사들의 순환 근무 등의 장애요인으로 인하여 수업과 교사협의회 개선을 통한 학교의 변화에는 한계가 있었고 이러한 장애요인을 극복하고 개혁 실천을 장기간 지속해서 정착토록 하면 학교는 분명 공동체로 변화될 수 있을 것으로 믿게 되었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ractical model on restoring a school community based on authentic learning and caring for students. Its necessity came from a diagnose that the current school education has plenty of problems including bullying and violences among students and increasing conflicts among teachers, which are largely attributed to the missing of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school constituents. This study consists of five major research problems. The first one is to establish a conceptual model on school community based on authentic learning and communal caring. The second is to survey the sense of community, the distance of relations, and the communal school activities of school constituents. The third is to explore a practical model on building school community which is able to be applicable to each school unit. The fourth is to revise the practical model by applying it to pilot schools. The last one is to complete the building of the practical model.
    The preceding three problems have been completed in the first year. First, a conceptual model on building a school community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critical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The conceptual model consists of three dimensions of constituents: the orgarnizational foundation of supporting school community; the intimate relations among school constituents; and the various areas of school activities including curriculum, classroom instructi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counselling and guidance; and parent involvement in school activities.
    Second, the survey found out that the sense of community of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were higher than expected, the relations among school constituents were unexpectedly intimate, and the level of communal school activities of the school constituent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expected.
    Third, a practical model on school community was obtained through the appication and experimentation of the conceptual model at pilot school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지금 우리의 학교에는 이기적인 경쟁주의가 팽배해 있고 구성원들간에 갈등과 다툼이 심해지고 있다. 한편, 학부모들은 학교가 자녀들에게 제공하는 교육의 질을 불신의 눈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학교교육에 진정한 배움과 돌봄이 부족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진단하고 이것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학교가 구성원들의 공동체로 거듭 나야된다고 본다. 이러한 배움과 돌봄을 위한 학교공동체를 구축하는 실천모델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 학교공동체 구축에 관한 개념모형을 개발하여 부산의 한 대규모 공립초등학교에 2년간 지속적으로 적용, 실천함과 동시에 다른 학교에도 확산하는 현장연구 및 검증 활동을 통하여 학교 현장에 적합한 학교공동체 실천모델을 수립하게 되었다. 이 배움과 돌봄을 위한 학교공동체 실천모델은 학교활동 중 수업의 혁신을 통하여 학생들의 진정한 배움과 서로간의 돌봄을 강화함으로써 교육의 질을 높이고 또한 교사협의회를 활성화함으로써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전문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교사공동체적 동료성을 증진시킴으로써 학교가 공동체로 형성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배움과 돌봄을 위한 학교공동체 개념모형을 개발하여 시범연구지정학교와 협력학교에 2년간 지속적으로 적용, 실천, 검증 과정을 거쳐 실제적인 학교공동체 실천모델을 정립하게 되었다. 수업과 교사협의회의 혁신을 중핵으로 하는 이러한 학교공동체 실천모델을 다양한 환경과 여건의 학교에 확산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이 즐겁게 배우고 서로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와 행복을 느끼는 학교공동체로 탈바꿈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교장, 교사, 학부모 연수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배움, 돌봄, 학교공동체, 수업, 교사협의회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