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021&local_id=10009537
우리나라의 영재교육: 분야별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양성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우리나라의 영재교육: 분야별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양성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현철(성균관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S0036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2월 1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논문은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양성과 연수 및 교원의 자질과 전문성 및 교수능력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위하여 영재교육 분야별ㆍ대상 연령대별로 자료를 취합하고 이를 분석하여 실효성 있는 영재교육 연수 프로그램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미국, 영국, 이스라엘, 싱가포르, 그리고 호주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영재교육 담당교원 양성제도 및 해당 교원에게 요구되는 자질과 전문성 및 교수능력 등에 관한 문헌을 조사하고 이를 우리나라의 현황과 비교ㆍ분석하였다.
    둘째, 현재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일선교원 68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우편으로 발송한 결과 모든 문항에 성실하게 응답된 436명(회수율 63.92%)을 대상으로 ①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원의 양성 및 연수와, ②담당교원에게 요구되는 자질과 전문성 및 교수능력에 대한 설문내용을 학교급별ㆍ교육 분야별ㆍ교육대상 연령별로 일선교원들의 의견을 수집ㆍ분석하였다.
    위 연구내용 중 설문자료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 담당교원 양성 및 연수에 대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①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원들의 연령대 간에는 영재교수-학습방법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②영재교육의 3가지 목표 중,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서 수학과 과학, 수학과 예능, 컴퓨터/정보와 예능 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영재교육정책에서는, 상담교사자격증, 특수교사자격증과 같이 소정의 연수과정을 거친 교사들에게 영재교육담당교원자격증을 부여하고, 이 자격증을 소지한 사람들만 영재를 지도하는 방안에 대한 의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③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원들의 기본 및 심화연수를 이수한 교원과 이수하지 않은 교원 간에 다음 항목에 대해 어떠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살펴본 결과. 기본연수에서는 모든 변인에서, 심화연수에서는 영재상담/생활지도/진로지도와 영재교육의 평가를 제외한 6개의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모두 나타났다. 그리고 영재교육의 3가지 목표 중에서는 창의적 생산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영재학생을 지도하는 일의 보람은 기본 연수에서, 영재교육에 참여하면서 얻는 경험은 일반 학생을 지도하는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되는가에 대한 인식에서도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둘째,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자질, 전문성, 교수능력에 대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①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인지적 자질에 대한 중요도를 학교급에 따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 연령에 따른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인지적 자질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보통이상의 지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 영역에 따른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인지적 자질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문제해결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정의적 자질에 대한 중요도를 학교급에 따라 분석한 결과, 개혁적이며 개방적, 학습과정 및 영재프로그램 개발, 대인관계 능력 및 상호작용기술, 리더쉽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 연령에 따른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정의적 자질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실험적, 헌신적이며 책임감, 대인관계 능력 및 상호작용기술, 리더쉽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 영역에 따른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정의적 자질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영재아를 좋아하고 배려함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전문성에 대한 중요도를 학교급에 따라 분석한 결과, 영재의 발달특성에 관한 지식, 전공영역 학문탐구방법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 연령에 따른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전문성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전공분야 영재프로그램에 관한 지식, 전공영역 학문탐구방법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 영역에 따른 영재교육 담당교원 전문성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④영재교육 담당교원의 교수능력에 대한 중요도를 학교급에 따라 분석한 결과, 수업설계 능력 및 기술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 연령에 따른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교수능력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교육공학적 다양한 수업방법 개발능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 영역에 따른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교수능력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was to investigate the following two purposes.
    1. We made an investigation into teacher education programs of gifted individuals and the competencies, teaching profession and teaching skills needed for teacher teaching gifted students in America, England, Israel, Singapore, and so on. Then,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s, we made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esent condition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2. The 436 teachers teaching gifted students in Korea were requested to rate the questionnaire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training programs and characteristic, teaching profession, teaching skills desired to them. Such data were analyzed by school level, specific content domains, teacher age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ponses of teacher education an training programs were aggregat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ing-learning method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to teacher age group. The data of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rating on the following items to teachers had through the basic and enhancing training programs and teachers non-finished were collect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hole variables to the basic training program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except for counseling student, guidance to the enhancing training programs.
    Second, the responses of teacher characteristics, teaching profession, teaching skills were put together, and the items of the importance of teacher cognitive characteristics to school level were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The importances of teacher cognitive characteristics to teacher age group indicated that there we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over average intelligence. The importances of teacher cognitive characteristics to specific content domains showed that there we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problem solving.
    The importances of teacher affective characteristics to school level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innovative, flexible and the development of a differentiated curriculum, interpersonal and reciprocal skill. leadership. The importances of teacher affective characteristics to teacher age group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quisitive, commitment, responsibility, interpersonal and reciprocal skills, leadership. The importances of teacher affective characteristics to specific content domain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ing for, the consideration of anyone.
    The importances of teacher teaching profession to school level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able of gifted, academic study. The importances of teacher teaching profession to teacher age group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able of gifted programs, academic study. The importances of teacher teaching profession to specific content domains showed that there wes no significant.
    The importances of teacher teaching skills to school level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y design competence and skill. The importances of teacher teaching skills to teacher age group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pability of the development of various school design. The importances of teacher teaching skills to specific content domain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Therefore, based on the finding of teacher characteristics, teaching profession, teaching skills to teacher age group, school level, specifical content domains, this study have great implication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of gifted students in Kore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논문은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양성과 연수 및 교원의 자질과 전문성 및 교수능력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위하여 영재교육 분야별ㆍ대상 연령대별로 자료를 취합하고 이를 분석하여 실효성 있는 영재교육 연수 프로그램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미국, 영국, 이스라엘, 싱가포르, 그리고 호주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영재교육 담당교원 양성제도 및 해당 교원에게 요구되는 자질과 전문성 및 교수능력 등에 관한 문헌을 조사하고 이를 우리나라의 현황과 비교ㆍ분석하였다.
    둘째, 현재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일선교원 68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우편으로 발송한 결과 모든 문항에 성실하게 응답된 436명(회수율 63.92%)을 대상으로 ①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원의 양성 및 연수와, ②담당교원에게 요구되는 자질과 전문성 및 교수능력에 대한 설문내용을 학교급별ㆍ교육 분야별ㆍ교육대상 연령별로 일선교원들의 의견을 수집ㆍ분석하였다.
    위 연구내용 중 설문자료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 담당교원 양성 및 연수에 대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①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원들의 연령대 간에는 영재교수-학습방법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②영재교육의 3가지 목표 중,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서 수학과 과학, 수학과 예능, 컴퓨터/정보와 예능 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영재교육정책에서는, 상담교사자격증, 특수교사자격증과 같이 소정의 연수과정을 거친 교사들에게 영재교육담당교원자격증을 부여하고, 이 자격증을 소지한 사람들만 영재를 지도하는 방안에 대한 의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③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원들의 기본 및 심화연수를 이수한 교원과 이수하지 않은 교원 간에 다음 항목에 대해 어떠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살펴본 결과. 기본연수에서는 모든 변인에서, 심화연수에서는 영재상담/생활지도/진로지도와 영재교육의 평가를 제외한 6개의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모두 나타났다. 그리고 영재교육의 3가지 목표 중에서는 창의적 생산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영재학생을 지도하는 일의 보람은 기본 연수에서, 영재교육에 참여하면서 얻는 경험은 일반 학생을 지도하는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되는가에 대한 인식에서도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둘째,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자질, 전문성, 교수능력에 대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①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인지적 자질에 대한 중요도를 학교급에 따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 연령에 따른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인지적 자질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보통이상의 지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 영역에 따른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인지적 자질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문제해결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정의적 자질에 대한 중요도를 학교급에 따라 분석한 결과, 개혁적이며 개방적, 학습과정 및 영재프로그램 개발, 대인관계 능력 및 상호작용기술, 리더쉽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 연령에 따른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정의적 자질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실험적, 헌신적이며 책임감, 대인관계 능력 및 상호작용기술, 리더쉽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 영역에 따른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정의적 자질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영재아를 좋아하고 배려함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전문성에 대한 중요도를 학교급에 따라 분석한 결과, 영재의 발달특성에 관한 지식, 전공영역 학문탐구방법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 연령에 따른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전문성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전공분야 영재프로그램에 관한 지식, 전공영역 학문탐구방법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 영역에 따른 영재교육 담당교원 전문성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④영재교육 담당교원의 교수능력에 대한 중요도를 학교급에 따라 분석한 결과, 수업설계 능력 및 기술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 연령에 따른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교수능력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교육공학적 다양한 수업방법 개발능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 영역에 따른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교수능력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영재의 교육 분야별ㆍ교육대상 연령대별로 담당교원에게 요구되는 자질과 전문성 및 교수능력에도 각각 차이가 있을 것이기 때문에, 영재교육 분야별ㆍ대상 연령대별로 이를 도출하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각 교육 분야별ㆍ교육대상 연령대별 영재교육 연수 프로그램을 수립하기 위한 이 연구는 그 결과가 학문적ㆍ교육적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별히 영재교육을 국가적 과제로 추진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이 연구의 결과는 영재교육 계획의 수립과 이에 따른 교원 양성방안의 수립에 즉각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재교육은 개인의 능력계발을 통한 영재 자신의 자아실현이라는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21세기 탁월한 소수정예의 고급 두뇌 집단을 국가차원에서 집중적으로 양성하고 확보해서 이를 활용하는 것이 국가간 경쟁에서 우열을 결정하게 될 것이라는 국가사회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영재들의 교육을 담당할 우수한 교원의 양성은 영재교육이 영재아동의 적절한 시기에, 영재아동들에게 적절한 수준과 방법으로, 다양하고 수준 높게 제공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일반교육을 위한 교원의 양성보다 어렵기 때문에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적절한 양성 및 연수과정의 수립은 훨씬 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로 얻어지는 각 영재교육 담당분야별ㆍ교육대상 연령대별로 담당교원에게 요구되는 자질과 전문성 및 교수능력에 대한 이해와 이에 따른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체계적인 양성 및 연수 프로그램의 수립은 유능한 영재교육 담당교원을 육성하고 확충하는 일에 바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그 결과의 학문적ㆍ사회적 기여도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영재교육 담당교원,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양성 및 연수,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자질,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전문성,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교수능력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