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151&local_id=10013219
동서 고전 문학의 교류 -인도설화의 아랍과 유럽 문학으로의 전이과정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동서 고전 문학의 교류 -인도설화의 아랍과 유럽 문학으로의 전이과정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종화(명지대학교& #40;서울캠퍼스&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M0066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12월 2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부처설화
  • 영문
  • The Buddha legend, recorded in two Sanskrit texts, the Lalitavistara in the first century BC and the Buddhacarita in the first century AD, was spread to both the Eastern Asia and the Western Asia. These texts served as the starting point for our research of the transmission of the Buddha legend and we examined both of these texts. Among the various routes by which the Buddha legend was transmitted, we followed the one into the Western world, of which the first region of contact was Persia. There, Manichean elements were added to the legend and it resulted in the Manichean version of the Buddha legend, written in the Old Persian.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Old Persian text, we had to examine the text in the translations by Von Lecoq and by Walter Henning, an expert in Old Persian being unavailable. The Buddha legend with Manichean elements then travels into the Islamic world in the ninth century and there it was transformed into the Arabic version, Kitab Bilauhar wa Budhasaf, with new cultural and religious elements added, and this text was examined in its original. From there, this somewhat transformed Buddha legend was spread further to the West, and in the tenth century it appeared in the Old Georgian version, where the Buddha legend was first transformed into a Christian hagiography. The Old Georgian text is transmitted to us in two versions which were translated into English by D.M. Lang and we based our research about the Old Georgian text on these translations, again an expert in Old Georgian not being available. The transformation of the Buddha legend into a Christian hagiography is consolidated and completed in the Greek version in the eleventh century. The Greek version is handed down to us in more than one hundred manuscripts and it was published by J. F. Boissonade in 1832, which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text. The Latin version of the text, now the hagiography of the Saints Barlaam and Josaphat, was the translation of the Greek text, with a few additions. Its oldest manuscript is dated 1048 and about sixty manuscripts of the vulgata version of the Latin texts copied between the twelfth and the sixteenth centuries are handed down to us. Both the Napoli version and vulgata version was examined. The vulgata Latin version serves as the original or the basis of the same story which appeared in abundance in various European languages, including French and Spanish, since the central Middle Ages. We examined the Spanish version of Barlaam and Josaphat in the original.
    The first year of our research was focused on the detailed examination of each version itself based on the manuscript evidence and secondary literature on the texts collected during the research trips abroad of each member of our team. On regular basis we held seminars where we discussed the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of the texts in different languages regarding the main plot, structure, style, etc. In the second year of our research, more in-depth comparison of the Sanskrit, Manichean, Georgian, Arabic, Greek, Latin and Spanish version of the story was made in every respect of the text, in particular in its religious, ethic and social aspects. On the basis of our discussion, we attempted to draw a broad outline of the cultural exchange and influence betwee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world which was realized over centur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동양과 서양 문화의 교류 역사와 그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세계 문화사를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사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서양 문화를 그 자체로만 이해하는 것은 동서 문명권들 사이에서 엄연하게 존재해 왔던 교류의 역사를 간과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서구 중심의 세계관과 윤리적 질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동양의 정신문화가 서양 문화에 끼친 영향과 그 과정을 밝히는 작업은 매우 뜻 깊은 일이다.
    2년간 지속된 우리의 연구는 동서 문화 교류의 구체적인 문학적 사례 가운데 하나를 대상으로 선택하여 진행되었다. 그것은 바로 인도의 부처설화와 그 서구적 전이형태인 『바를람과 조사팥』이었다.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우리는 고대와 중세에 이루어진 동서양 문학과 문화 교류의 한 줄기를 이해하려 하였다. 산스크리트어로 작성된 동양의 인도 부처설화가 인접 언어권인 고대 페르시아어와 아랍어를 거쳐 서양 중세 기독교 문화권으로 전파되며 생성된 여러 텍스트들(그루지야어 판본, 그리스어 판본, 라틴어 판본, 스페인어 판본)을 대상으로 각 언어권의 전문 학자들이 분석하였고, 그 개인적 연구 결과를 각종 독회와 세미나, 워크숍과 심포지엄을 통해 서로 비교하는 뜻 깊은 시간을 가졌다. 우리는 2년간의 연구를 통해 각 텍스트와 관련 문화권 간의 상호 연관성을 조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동서 문화 교류의 역사적 현존을 증명하는 데에 근접해 갔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궁극적으로 하나의 텍스트가 다양한 문화권을 거치며 변이한 과정을 공시적, 통시적으로 살펴보았고, 제 문화권 간의 종교적, 윤리적, 사회적 측면을 비교분석하여 동서 문화교류 상에서 일어났던 현상들을 다각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부처설화와 서구로의 전승에 관한 우리의 판본연구와 내용 비교분석의 결과는 각 문화권별(인도, 아랍, 유럽) 텍스트 전승과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더 나아가 동서 문학 및 문화 교류에 관한 발전된 시각을 제공하여 비교문학과 비교문화학의 방법론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로써 동서양간 문화적 이질성의 요인에 대한 연구 혹은 인도설화의 동양으로의 확장성 연구와 같은 후속연구의 중요한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또 이는 동서 문화교류 연구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접근사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우리는 인도의 부처설화가 서양의 『바를람과 조사팥』으로 전이되어 가는 과정을 면밀히 추적하며 동양 문헌이 서양 문학발전에 끼친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려고 노력하였으며, 이러한 노력의 결과는 고대에서 현대까지 동서양간의 문화교류가 끊임없이 지속되어 온 사실을 깨우쳐줄 실질적인 사례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암묵적으로 강요되어 온 서구중심의 역사관과 세계관을 탈피할 수 있는 비판적 근거를 마련할 것이다.
  • 색인어
  • 부처설화, 바를람과 조사팥, 동서 문학의 교류, 불교, 마니교, 이슬람, 기독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