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258&local_id=10010673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환경투자와 투명성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환경투자와 투명성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헌준(연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S0013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2월 0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연구과제 1: 기업의 가시성이 환경성과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가시성이 높은 기업이 더 많은 제도적 압력을 받으며, 이에 대한 기업의 반응으로서 환경성과를 검토한다. 가시성이 높은 기업은 이해관계자로부터 쉽사리 주목의 대상이 되어(Edelman, 1990, 1992; Bansal, 1996), 더 많은 제도적 압력에 노출되게 된다(Oliver, 1991; Powell, 1991; Goodstein, 1994). 본 연구는 기업의 가시성을 측정할 수 있는 여섯 개의 변수를 도출하여, 규모가 클수록, 언론노출 정도가 많을수록, 기업이 오래될수록, 대규모집단에 속할수록, 광고비지출이 많을수록, 그리고 기업평판이 높을수록 기업의 환경성과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분석은 먼저, 기업의 가시성 변수들이 환경경영 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기업규모가 환경경영에 미치는 영향력을 크다는 점을 고려하여, 기업규모변수를 통제변수로 설정한 분석을 추가하였다.

    분석결과 가시성을 측정하는 여섯 개 변수 모두 환경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가시성이 높은 기업들이 환경경영과 관련한 제도적 압력에 대한 반응으로 환경성과가 더 높게 나타난다는 본 논문의 주장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기업규모가 커서 가시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환경성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큰 기업일수록 환경경영에 대한 더 많은 제도적 요구와 사회적 감시를 받고 있음을 시사하며, 조직은 이에 대한 반응으로 환경경영을 더 잘하고 있음을 말해 준다.

    그리고 본 연구는 규모변수이외에 또 다른 가시성 변수들을 검토하였다. 규모가 조직이 실질적으로 보유한 혹은 동원할 수 있는 자원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규모이외에 가시성을 측정할 수 있는 변수들을 도출하여, 이들 변수들과 환경성과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예측한대로 광고비 지출이 많은 기업, 대규모집단에 속한 기업, 기업연령이 많은 기업, 기업평판이 높은 기업, 그리고 언론보도가 많이 된 기업들이 환경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이론적으로 공헌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경영의 예측치로서 제도적 압력의 원인으로서 가시성 개념을 본격적으로 다루었다는 점이다. 환경경영의 예측치로서 규모를 다루고는 있지만, 규모를 가시성 변수로서 설정한 연구는 없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가시성을 단순히 규모변수만으로 측정하지 않고 광고비지출규모, 대규모집단 소속여부, 기업연령, 기업평판, 언론노출 정도 등으로 가시성 개념을 확장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제도적 압력의 크기가 단지 규모만의 함수가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가시성 개념이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구과제 2: 공개정보를 이용한 기업투명성 측정방안 연구

    기업의 투명성은 비단 기업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는 이해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학계와 재계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하지만 투명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업 투명성’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하고 기본적인 연구 및 이론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아울러 투명성을 측정할 자료의 한계로 인해 실증적 분석 또한 국내외적으로 일천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기업의 본질과 투명성과의 관계에 대해 분석한다. 기업의 투명성이란 기업에 관한 투명성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둘째, 기업 경영의 경제 주체들의 행위와 비대칭성의 유형을 탐색한다. 기업 투명성의 문제는 기업을 구성하는 경제 주체들 사이에 일어나는 정보의 불균형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셋째, 기업 정보의 속성과 기업이 투명하기 위하여 정보가 지녀야 할 조건을 탐구한다. 넷째, 이러한 이론적 바탕위에 기업의 투명성을 소유구조의 투명성, 사업현황의 투명성, 이사회의 투명성 및 회계의 투명성으로 분류하고 한국기업지배구조개선지원센터(이하 지원센터)가 보고한 585개 기업의 지배구조 점수와 본연구가 조사한 투명성 점수를 비교한다.

  • 영문
  • 연구과제 1: Corporate Visibility as a Predictor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corporate visibility can predict corporate environmental performance. More visible firms often become the center of public attention (Edelman, 1990, 1992; Bansal, 1996) and are exposed to greater institutional pressure (Oliver, 1991; Powell, 1991; Goodstein, 1994). We hypothesize that a firm with bigger size, older age, more media exposure, greater advertisement expenses, and higher reputation exhibit better environment performance. Also we test whether Chaebol affiliated firms show better environment performance.

    We first examine whether visibility proxy variables affect environmental performance scores. Considering the fact that firm size has a substantial influence on environmental performance, we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bility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after controlling for firm size.

    We find that all six visibility proxy variables have a positive and strong effect on environmental performance. We interpret this result as evidence that more visible firms receive institutional pressure regarding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they response to it more sensitively than less visible firms.

    This study contributes the existent studies as follows. First, we use visibility variable as a predictor of environmental management. Even though firm size is used as an environmental management predictor, it has not been seen as a visibility proxy of a firm. We also use five other visibility variables: advertisement expenses, firm age, media exposure, reputation, and a variable telling whether or not a firm is affiliated with Chaebol. Environmental management is shown to have positive relations with all these variables, which indicates that the degree of institutional pressure is not only a function of firm size but also a function of various variable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even though we use visibility as a predictor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we do not have a well-defined concept or theory on visibility. Therefore, theoretical study on how to define visibility and on how to measure visibility is necessary. Second, we have a measurement error problem in our visibility proxy variables. For example, we calculated the number of articles during a given time period as a proxy for the degree of media exposure. It is desirable to analyze the contents of each article for more accurate measure of media exposure. Also, we controlled for the motivation of CEO on environmental management using CEO ownership. But better approach to control for CEO’ motivation is to survey CEOs to see whether each manager has an incentive or motivation on environmental management (Basal, 2000).


    연구과제 2: A Study for Corporate Transparency
    Measurement Using Disclosed Information

    This paper attempts to define corporate transparency based on the nature of the firm where the asymmetric information takes place among the economic actors and to find out some attributors to evaluate the levels of corporate transparency.

    Corporate transparency means the disclosure of adequate information excepting nonpublic information on the subject of the firm's ownership structure and investor relation, its corporate decision making systems in the board and management structure, its monitoring structure and processes, and its operating and financial statement and practices, which should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ccessibility, timeliness, and reliability.

    According to this definition, corporate transparency is categorized into four sub-categories transparency of ownership structure, transparency of corporate governance practices, transparency of the board of directors, and transparency of accounting. Each sub-category introduces its items that are important attributors in evaluating the level of corporate transparenc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주체인 기업의 환경성과와 투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사회를 구축하는데 있어 정책방향과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편으로 지속가능성의 한 축인 환경성과를 개선하는데 있어 기업의 가시성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다른 한편으로 지속가능성의 또 다른 축인 사회적 책임성의 한 측면인 기업의 투명성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과제 1: 경제주체의 환경투자와 경제성과

    연구과제 1은 경제주체의 환경투자의 결과물인 환경성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즉, 기업의 환경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검토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기업의 가시성과 환경성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과제 1 요약: 기업의 가시성이 환경성과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가시성이 높은 기업이 더 많은 제도적 압력을 받으며, 이에 대한 기업의 반응으로서 환경성과를 검토한다. 가시성이 높은 기업은 이해관계자로부터 쉽사리 주목의 대상이 되어(Edelman, 1990, 1992; Bansal, 1996), 더 많은 제도적 압력에 노출되게 된다(Oliver, 1991; Powell, 1991; Goodstein, 1994). 본 연구는 기업의 가시성을 측정할 수 있는 여섯 개의 변수를 도출하여, 규모가 클수록, 언론노출 정도가 많을수록, 기업이 오래될수록, 대규모집단에 속할수록, 광고비지출이 많을수록, 그리고 기업평판이 높을수록 기업의 환경성과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분석은 먼저, 기업의 가시성 변수들이 환경경영 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기업규모가 환경경영에 미치는 영향력을 크다는 점을 고려하여, 기업규모변수를 통제변수로 설정한 분석을 추가하였다.

    분석결과 가시성을 측정하는 여섯 개 변수 모두 환경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가시성이 높은 기업들이 환경경영과 관련한 제도적 압력에 대한 반응으로 환경성과가 더 높게 나타난다는 본 논문의 주장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기업규모가 커서 가시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환경성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큰 기업일수록 환경경영에 대한 더 많은 제도적 요구와 사회적 감시를 받고 있음을 시사하며, 조직은 이에 대한 반응으로 환경경영을 더 잘하고 있음을 말해 준다.

    연구과제 2 요약: 경제주체의 투명성과 경제성과

    연구문제 2는 경제주체의 투명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공개정보를 이용한 투명성 지수 개발이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과제 2: 공개정보를 이용한 기업투명성 측정방안 연구

    기업의 투명성은 비단 기업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는 이해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학계와 재계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하지만 투명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업 투명성’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하고 기본적인 연구 및 이론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아울러 투명성을 측정할 자료의 한계로 인해 실증적 분석 또한 국내외적으로 일천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기업의 본질과 투명성과의 관계에 대해 분석한다. 기업의 투명성이란 기업에 관한 투명성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둘째, 기업 경영의 경제 주체들의 행위와 비대칭성의 유형을 탐색한다. 기업 투명성의 문제는 기업을 구성하는 경제 주체들 사이에 일어나는 정보의 불균형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셋째, 기업 정보의 속성과 기업이 투명하기 위하여 정보가 지녀야 할 조건을 탐구한다. 넷째, 이러한 이론적 바탕위에 기업의 투명성을 소유구조의 투명성, 사업현황의 투명성, 이사회의 투명성 및 회계의 투명성으로 분류하고 한국기업지배구조개선지원센터(이하 지원센터)가 보고한 585개 기업의 지배구조 점수와 본연구가 조사한 투명성 점수를 비교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본 연구는 환경성과와 투명성이라는 두 개의 연구주제를 살펴봄으로써, 지속가능성한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조건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첫째 연구과제인 기업의 가시성과 환경성과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는 기업들의 환경성과를 높이기 위한 실천방안을 찾을 수 있었으며, 둘째 연구과제인 기업의 투명성 연구를 통해서는 기업의 투명성 지수의 개발과 투명성과 기업가치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을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연구과제 1을 통해 기업규모가 커서 가시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환경성과가 더 높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큰 기업일수록 환경경영에 대한 더 많은 제도적 요구와 사회적 감시를 받고 있음을 시사하며, 조직은 이에 대한 반응으로 환경경영을 더 잘하고 있음을 말해 준다.

    둘째, 연구과제 2를 통해 기업 정보의 속성과 기업이 투명하기 위하여 정보가 지녀야 할 조건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소유구조의 투명성, 사업현황의 투명성, 이사회의 투명성 및 회계의 투명성 등 네 개의 투명성 하위차원을 구성하여 총 104개의 조사 대상항목을 개발하였다.


    활용방안

    본 연구를 통해 산출한 연구성과물은 모두 2개의 연구논문으로서 그 내역은 다음과 같다.

    ▸ "기업의 가시성이 환경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1차 심사중.
    ▸ "공개정보를 이용한 기업투명성 측정방안 연구," 전략경영연구 2차 심사
    중.


    이상의 연구성과물은 학계와 실무계 모두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학문적으로 연구과제 1을 통해, 기존에 환경성과와 경제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를 벗어나 기업의 가시성이라는 제도적 압력이 환경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환경경영연구의 영역을 확장시켰다는데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연구과제 2를 통해 기업의 투명성을 측정하는 모형을 산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투명성 지수를 기업가치 등 관련 변수들과의 관계성을 규명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함과 더불어 기존의 투명성 개념에 대한 합의의 부재 및 측정도구의 미비라는 문제를 개선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그리고 실무적으로는 연구과제 1을 통해, 환경성과를 높이기 위한 제도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시사점을 얻을 수 있으며, 연구과제 2를 통해 얻어진 투명성 지수 측정모형은 기업들의 투명성 제고 노력을 자극할 뿐 아니라, 정부, 시민단체, 경제단체, 언론매체, 소비자, 투자자들을 비롯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사결정의 판단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연구과제 1: 기업의 가시성, 제도적 압력, 환경성과 연구과제 2: 기업의 투명성, 경영행위의 주체, 정보의 비대칭성, 투명성 지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