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976&local_id=10010940
집단 토의에서의 협력적 대화 방식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집단 토의에서의 협력적 대화 방식에 관한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권우진(한양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28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1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소규모 집단이 공동으로 일처리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일어나는 협력적 협의 과정의 특징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토의는 결론 도출에 대한 협력이라는 측면에서 토론과 대립하는데 이러한 특성이 참여자들의 어떠한 상호 작용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인지를 알아보았다. 이에 토의에 있어서도 궁극적으로 최종 합의에 도달하는 사례를 중심으로 하여 그 과정을 고찰한 것이다. 일상적 협의 과정에서는 사회자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에 주목하였다. 그래서 사회자 없는 상황에서의 협력적 협의에 나타나는 특징을 알기 위해 사회자가 있는 토의의 경우도 대조하여 사회자 주도로 진행되어 그에 의존하지 않고 협력적으로 상호 작용 하는 방식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찾아보도록 하였다.
    <br>2장에서는 집단 토의의 구성과 특성을 고찰하였다. 토의는 보다 나은 판단을 위해 여러 사람이 함께 협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서로의 관점이나 이해가 모두 동일한 것이 아니다. 부각되지 않는 경쟁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이를 인정하고 오히려 적극적으로 해소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가 된다. 본고에서는 토의의 고유한 특성이 문제 해결적 상호 작용에 있음을 주목하였다. ‘상황 파악→문제 포착→문제 정의→문제 분석→다양한 해결책 제안→저울질→선정→실행 계획’ 등의 문제 해결적 스키마를 화자 집단이 공동으로 진행해 나가는 데 있어 구체적으로 어떠한 과정에서 대립과 협력이 불가피한 것인지를 분석하였다. 대립이 필요한 부분과 그것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과정, 공동의 의사를 형성해 나가기 위하여 준수해야 하는 상호 작용의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br>3장에서는 협력적인 논의 전개의 방법을 주요 논의로 하면서 공동 의사가 형성되어 나가기 위해 겪게 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먼저, 관점과 논점이 공유되고 참여자들의 의사가 모두 드러나야 하며 서로가 지시하는 개념의 내포적 의미까지 공유하도록 노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로 협력적 의견 수용 차원에서는 비판의 의의 및 협력적 공동 의사형성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비판 수행의 특징을 살펴보고, 경쟁적 대화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긴밀한 형태의 언어적 상호 작용 양상과 공동 주체를 존중하는 표현들이 가지는 주요한 특징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셋째로 협력적 말차례 교환 차원에서는 발화량을 스스로 관리하고 발화를 시작할 때에는 시동 발화로서 선행 화자에게 발화 시작을 미리 알리는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선행 화자의 언급 내용을 인정하면서 전환의 의사를 드러내는 담화 표지들도 자주 사용되고 있었다. 후행화자는 추이적정지점에서 발언권을 획득하였더라도 선행 화자의 발언 의사가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하는 즉시 선행화자에게 그 발언권을 다시 양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br>4장에서는 협력적인 합의 방법을 주요 논의로 하면서 서로 다른 의사가 점차로 방향 정렬이 일어나 궁극적으로는 합일에 도달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첫째로 전역적 주제 관리 차원에서는 시작에서부터 종결에 이르기까지의 개별 화자들의 발화 내용이 독립된 견해나 주장으로만 존재하지 않고 합의체 전체의 의사 형성에 기여하는 의미적 통합체로 연결되는 과정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노력은 주요 화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경우와 참여자 공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로서 살펴볼 수 있었다. 둘째로 합의에 이르기 위해 서로 자신들의 입장에 집중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참여자 서로가 공유하고 있는 대화 동기 쪽으로도 관심이 이동하는 측면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목표 공유는 크게 두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하나는 대화의 원인이 된 사태나 사건으로서의 과제 목표로서 대화 수행의 목적이 되는 활동을 공유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대화 활동으로서의 토의 목표를 공유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대화 내용에 대한 정리 과정에서 중요 항목에 대한 취사선택이 공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의 의사가 한 방향으로 정렬되는 과정에서 다른 사람의 견해를 따르기로 하는 의결권 양보와 문제점 지적에 대한 인정, 판단에 대한 동의 등의 발화 수행을 살펴보았다.
  • 영문
  • This study aimed to clarify characteristics of cooperative discussion conducted in situations that a small-scale group has to deal with business together. In respect that discussion is cooperation for drawing conclusion, discussion is opposed to debate. This study also intended to examine what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nts controlled these characteristics. Focusing on cases that participants come to the final mutual consent in discussion, the courses were examined.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re were many cases that a chairperson did not exist separately in general discussion. To clarify characteristics of cooperative discussion without a chairperson, it was compared with discussion with a chairperson. By doing so, characteristics of methods to interact cooperatively without dependence on a chairperson were found out in detail.
    In Chapter Ⅱ, the form and characteristics of group discussion were studied. Discussion aims to confer matters with several persons together in order to draw better decisions, but each other's views or understanding are not uniform. So the existence of unseen competition is unavoidable and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fact and try to solve this problem actively. This study focused on that original characteristic of discussion was problem-solving interaction.
    In Chapter Ⅲ, with development of cooperative discussion as the main discussion, courses which were passed through in order to form united opinions were considered.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views and arguing points had to be shared, participants' opinions had to be known and participants tried to share implied meanings of concepts they pointed out. Second, in respect of accepting cooperative opinions, meanings of criticism and characteristics of criticism in a process of forming united opinions were studied. In addition, discussion was made about aspects of linguistic interaction with a close form which was not seen in competitive conversations easily and main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respecting the united subject. Third, as regards cooperative exchange of speech turn, it was general that participants controlled the amount of utterance and informed the previous teller of the intention that they would begin utterance before they did. In addition, participants recognized the statement of the previous teller and frequently used conversation signs revealing the intention to convert.
    In Chapter Ⅳ, focusing on cooperative consent, considered was the course where different opinions were arranged into a direction and arrived at the consent. First, in respect of managing global topic, not only did each teller's utterance only exist as independent opinions or claim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but it was also attached to meaningful unification which contributed to forming the united opinions of the whole participants. Efforts to perform this function were observed in discussion conducted by the main teller or discussion by participants together. Second, it was observed that discussion did not end with participants focusing on their own position to reach agreement and interest was changed into the motive of conversations that participants shared. Sharing aim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 one is sharing activity, the aim to make conversation as situations or events which were the reason of conversation, and the other is sharing aims of discussion as activity of conversation. Along with this, it was identified that selection was made together on important items in arranging contents of conversation. Lastly, examination was made on utterance such as concession of a voting right, recognition of pointed out problems, and agreement on decisions in the process of arranging participants' opinions into a direc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소규모 집단이 공동으로 일처리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일어나는 협력적 협의 과정의 특징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토의는 결론 도출에 대한 협력이라는 측면에서 토론과 대립하는데 이러한 특성이 참여자들의 어떠한 상호 작용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인지를 알아보았다. 이에 토의에 있어서도 궁극적으로 최종 합의에 도달하는 사례를 중심으로 하여 그 과정을 고찰한 것이다. 일상적 협의 과정에서는 사회자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에 주목하였다. 그래서 사회자 없는 상황에서의 협력적 협의에 나타나는 특징을 알기 위해 사회자가 있는 토의의 경우도 대조하여 사회자 주도로 진행되어 그에 의존하지 않고 협력적으로 상호 작용 하는 방식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찾아보도록 하였다.
    2장에서는 집단 토의의 구성과 특성을 고찰하였다. 토의는 보다 나은 판단을 위해 여러 사람이 함께 협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서로의 관점이나 이해가 모두 동일한 것이 아니다. 부각되지 않는 경쟁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이를 인정하고 오히려 적극적으로 해소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가 된다. 본고에서는 토의의 고유한 특성이 문제 해결적 상호 작용에 있음을 주목하였다. ‘상황 파악→문제 포착→문제 정의→문제 분석→다양한 해결책 제안→저울질→선정→실행 계획’ 등의 문제 해결적 스키마를 화자 집단이 공동으로 진행해 나가는 데 있어 구체적으로 어떠한 과정에서 대립과 협력이 불가피한 것인지를 분석하였다. 대립이 필요한 부분과 그것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과정, 공동의 의사를 형성해 나가기 위하여 준수해야 하는 상호 작용의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협력적인 논의 전개의 방법을 주요 논의로 하면서 공동 의사가 형성되어 나가기 위해 겪게 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먼저, 관점과 논점이 공유되고 참여자들의 의사가 모두 드러나야 하며 서로가 지시하는 개념의 내포적 의미까지 공유하도록 노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로 협력적 의견 수용 차원에서는 비판의 의의 및 협력적 공동 의사형성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비판 수행의 특징을 살펴보고, 경쟁적 대화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긴밀한 형태의 언어적 상호 작용 양상과 공동 주체를 존중하는 표현들이 가지는 주요한 특징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셋째로 협력적 말차례 교환 차원에서는 발화량을 스스로 관리하고 발화를 시작할 때에는 시동 발화로서 선행 화자에게 발화 시작을 미리 알리는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선행 화자의 언급 내용을 인정하면서 전환의 의사를 드러내는 담화 표지들도 자주 사용되고 있었다. 후행화자는 추이적정지점에서 발언권을 획득하였더라도 선행 화자의 발언 의사가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하는 즉시 선행화자에게 그 발언권을 다시 양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4장에서는 협력적인 합의 방법을 주요 논의로 하면서 서로 다른 의사가 점차로 방향 정렬이 일어나 궁극적으로는 합일에 도달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첫째로 전역적 주제 관리 차원에서는 시작에서부터 종결에 이르기까지의 개별 화자들의 발화 내용이 독립된 견해나 주장으로만 존재하지 않고 합의체 전체의 의사 형성에 기여하는 의미적 통합체로 연결되는 과정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노력은 주요 화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경우와 참여자 공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로서 살펴볼 수 있었다. 둘째로 합의에 이르기 위해 서로 자신들의 입장에 집중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참여자 서로가 공유하고 있는 대화 동기 쪽으로도 관심이 이동하는 측면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목표 공유는 크게 두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하나는 대화의 원인이 된 사태나 사건으로서의 과제 목표로서 대화 수행의 목적이 되는 활동을 공유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대화 활동으로서의 토의 목표를 공유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대화 내용에 대한 정리 과정에서 중요 항목에 대한 취사선택이 공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의 의사가 한 방향으로 정렬되는 과정에서 다른 사람의 견해를 따르기로 하는 의결권 양보와 문제점 지적에 대한 인정, 판단에 대한 동의 등의 발화 수행을 살펴보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대화의 참여자들은 대화 시작의 관점에 있어서는 대립적인 위치에 놓여 있으면서도 궁극적으로는 공동 의사로서의 동의를 함께 형성해 내는 데에 성공하는 것이 목표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때 협의자들은 단순히 결론을 얻는 것만이 아니라 참여자 혹은 후보안 간의 효과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모든 구성원이 만족할 수 있는 협의안을 도출해 내기 위하여 대립을 유연하게 운용하고 협력적 문제 해결 과정을 어떻게 밟아나가느냐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는 사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결국 과제 중심의 대화이기는 하나, 관계에 대한 논리가 생략될 수 없다. 대화는 과제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나눌 수는 있어도 과제가 있는 경우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구분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아무리 과제 중심적, 문제해결 중심적 대화라 해도 항상 상호존중과 배려의 관계를 중요한 기본 요소로 한다. 토의의 사례를 통하여 진행 과정을 분석한 결과 최종 합의는 절차상의 수많은 하부 구조에 대한 단계적 합의에 기초하여 도달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고에서는 또한 협력적인 논의 전개의 방법을 주요 논의로 하면서 공동 의사가 형성되어 나가기 위해 겪게 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먼저, 관점과 논점이 공유되고 참여자들의 의사가 모두 드러나야 하며 서로가 지시하는 개념의 내포적 의미까지 공유하도록 노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로 협력적 의견 수용 차원에서는 비판의 의의 및 협력적 공동 의사형성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비판 수행의 특징을 살펴보고, 경쟁적 대화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긴밀한 형태의 언어적 상호 작용 양상과 공동 주체를 존중하는 표현들이 가지는 주요한 특징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여러 협의자의 견해에 대한 적절성을 상호적으로 타진하기 위해 논리적이면서도 상호 배려가 있는 비판을 수행하는 것이다. 셋째로 협력적 말차례 교환 차원에서는 발화량을 스스로 관리하고 발화를 시작할 때에는 시동 발화로서 선행 화자에게 발화 시작을 미리 알리는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선행 화자의 언급 내용을 인정하면서 전환의 의사를 드러내는 담화 표지들도 자주 사용되고 있었다. 후행화자는 추이적정지점에서 발언권을 획득하였더라도 선행 화자의 발언 의사가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하는 즉시 선행 화자에게 그 발언권을 다시 양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마지막 장에서는 협력적인 합의 방법을 주요 논의로 하면서 서로 다른 의사가 점차로 방향 정렬이 일어나 궁극적으로는 합일에 도달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첫째로 전역적 주제 관리 차원에서는 시작에서부터 종결에 이르기까지의 개별 화자들의 발화 내용이 독립된 견해나 주장으로만 존재하지 않고 합의체 전체의 의사 형성에 기여하는 의미적 통합체로 연결되는 과정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노력은 주요 화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경우와 참여자 공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로서 살펴볼 수 있었다. 대화 중간 중간에 대화 목적으로서의 대의에 대해 계속 환기가 될 때 협력적인 대화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둘째로 합의에 이르기 위해 서로 자신들의 입장에 집중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참여자 서로가 공유하고 있는 대화 동기 쪽으로도 관심이 이동하는 측면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목표 공유는 크게 두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하나는 대화의 원인이 된 사태나 사건으로서의 과제 목표로서 대화 수행의 목적이 되는 활동을 공유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대화 활동으로서의 토의 목표를 공유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대화 내용에 대한 정리 과정에서 중요 항목에 대한 취사선택이 공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의 의사가 한 방향으로 정렬되는 과정에서 다른 사람의 견해를 따르기로 하는 의결권 양보와 문제점 지적에 대한 인정, 판단에 대한 동의 등의 발화 수행을 살펴보았다.
  • 색인어
  • 집단 토의, 협력, 문제 해결, 합의, 사회자, 의사 결정, 전략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