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000&local_id=10010659
삼국시대 신라음악문화사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삼국시대 신라음악문화사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성혜(동아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03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1월 0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지금까지 음악학계에서는 삼국시대 신라음악사를 주로 가야금과 춤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그리고 회악, 신열악 등 『삼국사기』 악지(樂志)에 있는 악곡을 지방 음악적 성격을 지닌 향토음악으로 이해하였다. 결국 신라음악은 고구려나 백제의 음악에 비하여 ‘단순한’ 것으로 보았다. 그래서 통일신라시대의 관현악은 삼국통일 이후에 주변국 악기를 수용하여 비로소 형성된 것으로 간주했다.
    그러나 신라는 이미 4~5세기에 들어 고대국가의 기틀을 마련하고, 6~7세기로 접어들면서 비약적 변화를 거듭하며 급기야 삼국을 통일했는데, 유독 음악문화만 ‘단순한’ 수준이었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삼국시대 신라음악을 시기별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조명하여 신라음악문화사에 대한 인식의 깊이와 폭을 새롭게 넓히고자 하였다.
    신라의 음악문화를 조명하기 위해서 시기를 3단계로 구분하였다. 제1기인 청동기시대와 삼한시대의 진한음악은 마한음악보다 후진 음악문화였다. 그러나 제2기인 4~5세기로 접어들면서 신라가 고대국가의 체제를 갖추면서 궁중음악도 정비되어 갔고, 관현합주도 이 시기에 형성되었다. 4~5세기의 신라음악은 중국음악보다는 북방음악의 요소가 두드러졌다. 그리고 제3기인 6~7세기에는 중국과의 활발한 교류로 인하여 신라음악에 중국적 요소가 가미되었다.
    따라서 신라는 4~5세기에 들어 고대국가의 기틀을 마련한 뒤, 6~7세기로 접어들어 비약적 변화를 거듭했는데, 음악문화 역시 이전과 다른 변화가 일어났음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곧 다음 시대인 통일신라의 음악문화를 형성하는데 기반이 되었을 것이다.
    종래 가야금과 춤이 신라의 대표적인 음악 요소로 여겨졌다가 4~5세기의 신라토우에 나타난 악기로 인하여 신라 관현악기의 실체가 어느 정도 규명되었고, 이로 인하여 신라음악이 새롭게 조명되었다. 그리고 『삼국사기』 악지에 기록된 악곡이 향토음악으로 단순히 여겨졌으나, 신라 왕실의 체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궁중음악임이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향가를 음악사에 포함시켰으며, 기존 학계에서는 당악의 수용과 불교음악의 등장을 통일신라시대 음악의 특징으로 보았으나, 논문에서는 삼국시대 신라음악문화의 양상으로 새롭게 해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신라음악문화사에 대한 기존의 인식보다 깊이와 넓이를 더욱 확장시켰다고 본다.
  • 영문
  • Studies on the Korean music history has dealt so far with the music history of Silla in Three -Kingdom era centering on Kayag m and dancing. In addition, the musical pieces found in the music section of Samguksagi's miscellaneous part, such as "Hoeak", "Siny lak" and so forth, have been generally understood as folk music that reflects its loc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Silla music has been considered to be less sophisticated than that of Paekche and Kogury , the other two kingdoms in those days. It has also been assumed that orchestral music may have become possible by the introduc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s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However, its hard to believe that only music culture was left behind in a simple form while other aspects of the country dramatically developed over the 6th to the 7th century, to the extent that it could finally achieved the feat of the unification. From this viewpoint,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broaden the perspective on the music history of Silla by examining the music in its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in Three-Kingdom era.

    The history of Silla music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to make a systematic approach into it. In the first stage of the Sam-Han era in the Bronze age, the music of Jinhan which later became Silla couldnt be compared with that of Mahan. In the second stage, from 4th to 5th century, as Silla developed into an ancient nation, it polished its court music and began to try orchestral music. The music in this period was more influenced by that of Central Asia than that of China. In the third stage, from 6th to 7th century, Chinese musical elements started to be introduced due to active trades with the country.

    In short, Silla took the shape of an ancient country in the second stage and went through dramatic changes in the next stage. Along with these social changes, its music must have grown more refined, which, in turn, laid the groundwork for the music of Unified Silla.

    Kayag m and dancing used to be regarded as the musical essentials of Silla music. Then, the discovery of clay dolls with the musical instruments proved the existence of the wind and string instruments in the Silla era, which shed a new light on its music. In addition, though the musical pieces found in the music section of Samguksagi had been simply considered to be local music, they turned out to be the court music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Silla Royal Family. Hyang-ga, the folk music, is discussed as a part of Silla music and the accommodation of Chinese music, Dang-ak, and the introduction of Buddhist music are considered to be the other aspects of Silla music, though they have been prevalently believed to be the characteristics of Unified Silla music. I hope that these findings will help deepen and broaden the appreciation in Silla music.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지금까지 음악학계에서는 삼국시대 신라음악사를 주로 가야금과 춤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그리고 회악, 신열악 등 『삼국사기』 악지(樂志)에 있는 악곡을 지방 음악적 성격을 지닌 향토음악으로 이해하였다. 결국 신라음악은 고구려나 백제의 음악에 비하여 ‘단순한’ 것으로 보았다. 그래서 통일신라시대의 관현악은 삼국통일 이후에 주변국 악기를 수용하여 비로소 형성된 것으로 간주했다.
    그러나 신라는 4~5세기에 들어 고대국가의 기틀을 마련한 뒤, 6~7세기로 접어들어 비약적 변화를 거듭했는데, 음악문화 역시 이전과 다른 변화가 일어났음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곧 다음 시대인 통일신라의 음악문화를 형성하는데 기반이 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종래 가야금과 춤이 신라의 대표적인 음악 요소로 여겨졌다가 4~5세기의 신라토우에 나타난 악기로 인하여 신라 관현악기의 실체가 어느 정도 규명되었고, 이로 인하여 신라음악이 새롭게 조명되었다. 그리고 『삼국사기』 악지에 기록된 악곡이 향토음악으로 단순히 여겨졌으나, 신라 왕실의 체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궁중음악임이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향가를 음악사에 포함시켰으며, 기존 학계에서는 당악의 수용과 불교음악의 등장을 통일신라시대 음악의 특징으로 보았으나, 논문에서는 삼국시대 신라음악문화의 양상으로 새롭게 해석하였다.
    본고의 활용방안은 한국사 혹은 한국고대사 및 한국음악사에 기초적 연구 논문이므로 새롭게 서술될 이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신라음악, 토우, 신라금, 비파, 관악기, 가무, 향가, 궁중음악, 청동기시대음악, 고대음악, 불교음악.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