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052&local_id=10012333
3차원 바디 스캐너를 이용한 인체측정 및 상의 원형 평가 -20대 전반 남성을 대상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3차원 바디 스캐너를 이용한 인체측정 및 상의 원형 평가 -20대 전반 남성을 대상으로-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백경자(부산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C00053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3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3차원 바디 스캐너를 이용한 의류산업의 발전이 기대되는 현시점에서 20~24세 남성을 대상으로 3차원 및 직접인체측정치를 비교고찰하고 의복 평가와 적용에 대한 새로운 시도로써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한 남성 상의 원형의 피트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3차원 바디 스캐너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함으로써 실제 의류업체에서의 3차원 자료 활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차원 인체측정치와 직접인체측정치를 비교한 결과, 42개의 남성 상반신 인체측정 항목 중 17개 항목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3차원 측정치의 오차범위는 두 측정치간 절대값이 40mm 이상이 1항목, 20mm 이상 40mm 미만의 오차가 8항목에서 나타났으며 그 외의 항목에서는 두 측정치 간 차의 절대값이 20mm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높이항목에서는 직접항목의 수치가, 둘레, 너비, 두께항목에서는 3차원 측정치가 컸으나, 이러한 경향은 3차원 바디 스캐너 및 측정 프로그램의 종류, 연구대상의 체형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2) 20대 전반 남성을 위한 Semi-fitted 실루엣의 상의 원형에 대하여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이용한 피트성 평가와 직접피트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전문가 집단은 5개 문항에서 직접평가점수가 높게, 6개 항목에서 동일한 평가점수를, 이를 제외한 전 항목에서 3차원 평가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유의차를 나타낸 항목은 평가항목 38문항 중 16문항으로 특히 목둘레선 및 가슴과 허리둘레의 여유량에 대한 평가결과에서 0.001수준의 유의차를 나타내어 여유량 평가에 있어서 시각적인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이즈별로 살펴보면, 큰 사이즈로 갈수록 3차원 평가결과와 직접평가결과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피험자 집단의 3차원 평가와 직접평가결과간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으며, 1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2.5점(3점 척도) 이상의 만족스런 결과를 보였다.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3차원 평가결과에서도 2.4점 이상의 점수(3점 척도)를 나타내었다.

    (3) 10명의 전문가, 10명의 피험자, 30명의 남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3차원 바디 스캐너를 이용한 피트성 인지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의류산업에서의 활용을 위한 3차원 바디 스캐너를 이용한 피트성 평가에 대하여 아직까지는 과도기적 성격을 띠고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들이 남아있는 이유로 전문가들은 더 정확하고 효율적인 피트성 평가 도구로 직접평가방법을 선택하였으나 미래 의류산업에서의 Fit Simulation 역할이 기존의 직접착의를 대신할 것으로 100% 예상하였다. 또한 Fit Simulation에 대한 피험자, 소비자들의 선호도와 활용가능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hree dimensional body scan technology is being targeted for utilization in the apparel industry.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body scan data targeting from 20 to 24 year old men by comparing 3D body-scanning measurement extraction methods and traditional anthropometric methods and tested the effectiveness of using 3D scans of clothed participants in fit analysis proces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made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utilizing 3D data for clothing companies.

    (1) Comparing 3D anthropometric measurement with traditional anthropometric results,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17 out of 42 items in upper body measurements. In the range of difference value of scan measures, it showed 1 item in the absolute value of more than 40mm between two measurements, 8 items in 20 up to 40mm, and less than 20mm in other items. Overall, in height items, the numerical value of traditional measure was higher and in girth, width, depth items, 3D scan measure was higher.

    (2) Carrying out fit analysis, using 3D scan data and direct sensory evaluation, with the upper garments made as semi-fitted bodice pattern, we analyzed comparatively according to each methods. In the result of experts, generally the points of 3D scan data were higher. The 5 items showing higher points of direct test were ones related with vertical center-line of the front and back and horizontal of the girth. In other 6 items both received the same points, and 3D test gained higher points in the rest of them. 16 out of 38 ca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Especially, in the result of the assessment of rooms of the girth of neck, chest and waist, it showed differences about 0.001 probabilities, and from this we saw there were visual differences. When we examined the result by sizes, the difference between 3D scan and direct measurement increased as the size was getting bigg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 of 3D scan and direct measurement in the subjects' group. The result showed more than 2.5 points out of 3 in all cases except only one. The result of assessment of 3D targeting consumers showed more than 2.4 out of 3 points.

    (3) We surveyed a sample of 10 experts, 10 subjects, 30 consumers about their interest in these fit simulation and apparel research applications after they were scanned. Because 3D body scanner is still in a time of transition, and had problems to be solved, the experts chose direct sensory method as the precise and efficient tool in assessing fit quality, however, it is expected by 100% in the future clothing industry the role of fit simulation would replace direct dressing. Also, subjects and consumers had high interest in fit simulation, preference and utilization of 3D body scann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3차원 스캐닝 기술은 미래의 디지털 의류산업 전개에 필수적인 기술로 간주되어 인체측정 표준화 및 측정자료의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이정임 외, 2004),최근에는 선진국을 비롯한 우리나라와 세계 각국에서 자국 제품들의 경쟁력 확보와 국제시장에서의 새로운 기술선점을 위해 앞 다투어 3차원 인체측정기술을 개발하고 3차원 자료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를 구체화시키고 있다. 3차원 바디 스캐너는 시간과 노동력을 절약하고 단지 크기에 따른 측정치뿐만 아니라 형상의 특성을 알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이러한 형태 정보가 더욱 적절한 표준사이즈 생산으로 연결되어 소비자들에게 서비스될 것으로 예상된다.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한 측정시 또 하나의 장점은 한번 스캔된 데이터를 필요부위의 단면뿐 아니라 여러 각도로 활용할 수 있어, 착의평가에 매우 유용하다는 것이다. 최근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한 의복의 착의평가(서추연, 2002; 김혜경 외, 2000)에 관한 연구도 발표되었지만 소비자에게 직접 활용될 수 있는 피트성 평가방법에 관한 국내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
    의류산업에 있어서 3차원 인체 스캔 기술 사용의 목적은 자동화된 고객의 피트성, 사이즈, 피트성 예측, 가상착용, 고객 패턴 개발, 관련연구 등에서 어떻게 이 기술을 이용하는가이다. 그러나 인체 스캔 데이터의 상업적 적용에 있어서의 궁극적인 성공은 소비자에게 받아들여지고 실제로 사용되어지는 것이다(Suzanne Loker et al., 2004). 즉, 3차원 측정데이터가 의류를 비롯한 다양한 산업제품 개발시 필요한 데이터로써의 역할을 해내기 위해서는 성별, 연령별 다양한 체형특성에 대해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추출해 낼 수 있어야 하며, 신뢰할 수 있고 정밀한 3차원 자료를 토대로 소비자 체형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패턴개발, 그리고 소비자 각각에게 활용할 수 있는 피트성 평가방법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바디 스캐너를 이용한 의류산업의 발전이 기대되는 현 시점에서 3차원 바디 스캐너에 대한 신뢰도와 활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20~24세 남성을 대상으로 3차원 및 직접인체측정치를 비교고찰하고 의복 평가와 적용에 대한 새로운 시도로써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한 남성 상의 원형의 피트성 평가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0대 전반 남성의 3차원 인체측정 및 직접인체측정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42개의 남성 상반신 인체측정 항목 중 17개 항목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3차원 측정치의 오차범위는 두 측정치간 절대값이 40mm 이상이 1항목, 20mm 이상 40mm 미만의 오차가 8항목에서 나타났으며 그 외의 항목에서는 두 측정치 간 차의 절대값이 20mm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높이항목에서는 직접항목의 수치가, 둘레, 너비, 두께항목에서는 3차원 측정치가 컸으나, 이러한 경향은 3차원 바디 스캐너 및 측정 프로그램의 종류, 연구대상의 체형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2) 20대 전반 남성을 위한 상반신 원형(Semi-fitted 실루엣)에 대해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이용한 피트성 평가 및 직접피트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전문가 집단은 5개 문항에서 직접평가점수가 높게, 6개 항목에서 동일한 평가점수를, 이를 제외한 전 항목에서 3차원 평가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유의차를 나타낸 항목은 평가항목 38문항 중 16문항으로 특히 목둘레선 및 가슴과 허리둘레의 여유량에 대한 평가결과에서 0.001수준의 유의차를 나타내어 여유량 평가에 있어서 시각적인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이즈별로 살펴보면, 큰 사이즈로 갈수록 3차원 평가결과와 직접평가결과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피험자 집단의 3차원 평가와 직접평가결과간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으며, 1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2.5점(3점 척도) 이상의 만족스런 결과를 보였다.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3차원 평가결과에서도 2.4점 이상의 점수(3점 척도)를 나타내었다.

    (3) 새로운 피트성 평가방법에 대한 집단별 인식의 비교분석을 위하여 10명의 전문가, 10명의 피험자, 30명의 남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3차원 바디 스캐너를 이용한 피트성 인지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의류산업에서의 활용을 위한 3차원 바디 스캐너를 이용한 피트성 평가에 대하여 아직까지는 과도기적 성격을 띠고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들이 남아있는 이유로 전문가들은 더 정확하고 효율적인 피트성 평가 도구로 직접평가방법을 선택하였으나 미래 의류산업에서의 Fit Simulation 역할이 기존의 직접착의를 대신할 것으로 100% 예상하였다. 또한 Fit Simulation에 대한 피험자, 소비자들의 선호도와 활용가능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3차원 바디 스캐너를 이용한 의류산업의 발전이 기대되는 현시점에서 20~24세 남성을 대상으로 3차원 및 직접인체측정치를 비교고찰하고 의복 평가와 적용에 대한 새로운 시도로써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한 남성 상의 원형의 피트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차원 인체측정치와 직접인체측정치를 비교한 결과, 42개의 남성 상반신 인체측정 항목 중 17개 항목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3차원 측정치의 오차범위는 두 측정치간 절대값이 40mm 이상이 1항목, 20mm 이상 40mm 미만의 오차가 8항목에서 나타났으며 그 외의 항목에서는 두 측정치 간 차의 절대값이 20mm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높이항목에서는 직접항목의 수치가, 둘레, 너비, 두께항목에서는 3차원 측정치가 컸으나, 이러한 경향은 3차원 바디 스캐너 및 측정 프로그램의 종류, 연구대상의 체형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2) 20대 전반 남성을 위한 Semi-fitted 실루엣의 상의 원형에 대하여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이용한 피트성 평가와 직접피트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전문가 집단은 5개 문항에서 직접평가점수가 높게, 6개 항목에서 동일한 평가점수를, 이를 제외한 전 항목에서 3차원 평가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유의차를 나타낸 항목은 평가항목 38문항 중 16문항으로 특히 목둘레선 및 가슴과 허리둘레의 여유량에 대한 평가결과에서 0.001수준의 유의차를 나타내어 여유량 평가에 있어서 시각적인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이즈별로 살펴보면, 큰 사이즈로 갈수록 3차원 평가결과와 직접평가결과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피험자 집단의 3차원 평가와 직접평가결과간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으며, 1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2.5점(3점 척도) 이상의 만족스런 결과를 보였다.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3차원 평가결과에서도 2.4점 이상의 점수(3점 척도)를 나타내었다.

    (3) 10명의 전문가, 10명의 피험자, 30명의 남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3차원 바디 스캐너를 이용한 피트성 인지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의류산업에서의 활용을 위한 3차원 바디 스캐너를 이용한 피트성 평가에 대하여 아직까지는 과도기적 성격을 띠고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들이 남아있는 이유로 전문가들은 더 정확하고 효율적인 피트성 평가 도구로 직접평가방법을 선택하였으나 미래 의류산업에서의 Fit Simulation 역할이 기존의 직접착의를 대신할 것으로 100% 예상하였다. 또한 Fit Simulation에 대한 피험자, 소비자들의 선호도와 활용가능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3차원 바디 스캐너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함으로써 실제 의류업체에서의 3차원 자료 활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3차원 바디 스캐너 및 관련 소프트웨어의 기술개발로 더욱 섬세하고 정확한 가상의복, 가상착용이 상용화될 것으로 사료된다.
  • 색인어
  • 3차원 바디 스캐너, 인체측정, 피트성 평가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