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061&local_id=10012135
교사신뢰척도 개발 및 교사신뢰와 학교효과 변인의 관계모형 검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교사신뢰척도 개발 및 교사신뢰와 학교효과 변인의 관계모형 검증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숙정(숙명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43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1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교육에서 교사신뢰의 중요성을 밝히고, 교사신뢰 척도를 개발하여, 교사신뢰와 학교효과 관련변인의 관계모형을 검증함으로써, 학교교육에서 신뢰와 신뢰관계가 갖는 교육적 의의와 가능성을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6요인 30문항의 교사신뢰 척도가 개발 및 타당화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사신뢰척도를 활용하여 교사신뢰와 학교효과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학생들의 교사신뢰는 학급풍토를 환경변인으로,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의미있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생들의 교사신뢰와 학교효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앞으로 학교교육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생과 교사의 신뢰관계에 초점을 둔 논의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학교에서의 신뢰와 신뢰관계 형성이 현재 학교교육에 산재하고 있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사회적ㆍ문화적 자본으로서의 역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국내외의 각 학문분야에서 관심의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는 신뢰 연구에 부응하여 학교교육에서 신뢰관계의 필요성을 이론적ㆍ경험적 자료를 통하여 제시함으로써 국내 교육학계에서 신뢰연구를 활성화하고 신뢰의 차원에서 우리나라 학교교육 문화의 변화 방안을 논의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develop and validate the teacher-trust scale for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2) to construct and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students' teacher-trust and the school effec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sets up the specific questions as follows:a) To develop and validate the teacher-trust scale; b)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teacher-trust and the school effects and to construct and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these two variables. In order to examine these questions, this study gathers data in three stages: 1) open-ended questionnaire survey of 140 people(students and adults) for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2)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of 1,718 students from the secondary schools and the universities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eacher-trust scale; 3)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of 1,134 students from the secondary schools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teacher-trust and school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ppear as follows: a) Teacher trust perceived by students is "an attitude to willingness to construct and keep positive relation without doubt based on the cognitive, affective, and moral characters of the school teachers"; b) As a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eacher-trust scale comes to consist of 6 factors(ability, openness, reliance, intimacy, caring, integrity). Each and every factor includes 5 items and the total is 30 items. The result of concurrent validity test shows that the teacher-trust scale is a valid instrument to predict the personal trust disposition(r= .45**, R2=.23); c)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teacher-trust and the school effects(academic achievement=.37**, self-esteem=.28**, learning motivation=.30**, class climate=.54**, p<.01); d)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llustrate that teacher-trust indicator has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the school effects(self-esteem=.21, learning motivation=.34, class climate=.52). This study shows that the trust and trust relations between teacher and student are the significant predictor for the cognitive, affective, and environmental aspects of the school effects. Sociocultural contexts of the school, especially teacher-student relationship,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during the secondary school ages. As a kind of sociocultural capital in school community, trust should be seriously taken into accou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교육에서 교사신뢰의 중요성을 밝히고, 교사신뢰 척도를 개발하여, 교사신뢰와 학교효과 관련변인의 관계모형을 검증함으로써, 학교교육에서 신뢰와 신뢰관계가 갖는 교육적 의의와 가능성을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6요인 30문항의 교사신뢰 척도가 개발 및 타당화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사신뢰척도를 활용하여 교사신뢰와 학교효과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학생들의 교사신뢰는 학급풍토를 환경변인으로,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의미있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생들의 교사신뢰와 학교효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앞으로 학교교육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생과 교사의 신뢰관계에 초점을 둔 논의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학교에서의 신뢰와 신뢰관계 형성이 현재 학교교육에 산재하고 있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사회적ㆍ문화적 자본으로서의 역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국내외의 각 학문분야에서 관심의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는 신뢰 연구에 부응하여 학교교육에서 신뢰관계의 필요성을 이론적ㆍ경험적 자료를 통하여 제시함으로써 국내 교육학계에서 신뢰연구를 활성화하고 신뢰의 차원에서 우리나라 학교교육 문화의 변화 방안을 논의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뢰에 대한 선행연구들과 개방형 조사 결과에서 추출된 신뢰구성 요인들을 토대로 교사신뢰를 ‘학생이 교사의 인지적ㆍ정서적ㆍ도덕적 특성에 기초하여 서로 의심 없이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려는 태도’로 개념화 하였다. 둘째, 교사신뢰 척도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구체화하기 위해 SPSS 10.0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개방성, 능력, 성실성, 돌봄. 믿음, 친밀감의 6개의 요인이 교사신뢰 척도를 구성하는 하위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셋째, 교사신뢰는 정의적, 학교 환경적 변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학업성취에는 정의적 변인과 학교 환경 변인들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모형이 가장 타당한 모형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신뢰가 학업성취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모형의 전반적인 적합도 지수들을 산출한 결과 RMSEA=.06으로 나타났으며, NFI, TLI, CFI 모두 .95이상으로 양호하게 나타나 모형의 타당성을 입증해 주었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결과들을 기초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논의한다. 첫째, 신뢰는 피신뢰자의 신뢰할만한 특성 즉 인지적ㆍ정의적 신뢰구성 요인들에 영향을 받는 역동적이고 관계적인 개념이다. 또한 신뢰구성 요인은 사회문화적 배경에 영향을 받으며, 신뢰가 형성되는 구체적 환경에 의존하기 때문에, 여기에는 문화간 그리고 문화내 차이가 모두 존재하는 개념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신뢰 구성요인들에 대한 이론적ㆍ경험적 분석을 통해 기존 신뢰검사들을 구성하는 요인들 중 몇 가지 개념들(능력, 돌봄)을 수정ㆍ보완하거나 요인(친밀감)을 새롭게 추가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학생들의 교사신뢰와 학교효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앞으로 학교교육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생과 교사의 신뢰관계에 초점을 둔 논의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 학생들의 교사신뢰와 학교효과의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서 학생들의 교사신뢰는 정의적 학교효과 관련변인들과 더 밀접하고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관계를 통해 학업성취는 교사신뢰에 간접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다섯째, 본 연구결과는 학교에서의 신뢰와 신뢰관계 형성이 현재 학교교육에 산재하고 있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사회적ㆍ문화적 자본으로서의 역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국내외의 각 학문분야에서 관심의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는 신뢰 연구에 부응하여 학교교육에서 신뢰관계의 필요성을 이론적ㆍ경험적 자료를 통하여 제시함으로써 국내 교육학계에서 신뢰연구를 활성화하고 신뢰의 차원에서 우리나라 학교교육 문화의 변화 방안을 논의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색인어
  • 신뢰, 교사신뢰, 학교효과, 관계모형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