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064&local_id=10012603
국어 문법 교육의 태도 교육 내용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국어 문법 교육의 태도 교육 내용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은성(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50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0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고에서는 문법 교육만의 특수한 국어 활동을 문법 교육 현상의 기본 단위로 보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태도 형성을 위한 문법 교육의 설계의 상(象)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Ⅱ장에서는 문법 교육의 학습 성과로서 태도 요소를 확인하고, 이의 중요성에 대해 정리하였다. 그리고 현재의 교육에서는 문법 교육의 태도 요소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역대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교사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학습자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문법 교육에서 태도 요소가 제대로 교육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태도 요소를 선정하고 구체화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태도 요소까지 포괄하는 문법 교육의 관점을 정립하였다:①활동 중심 문법 교육, ②과정 중심 국어지식 교육, ③다면적 문법 교육.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문법 학습 경험기술지 분석을 통하여 문법 교육만의 특수한 국어 활동이 국어에 대한 메타적 사고 활동임을 밝히고 이를 ‘국어인식 활동’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국어인식 활동을 기준으로 하여 문법 교육의 태도 요소를 선정하고 상세화하였다. 먼저, 국어인식 활동을 기준으로 하여 문법 교육의 태도 요소를 세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첫째, 국어인식 활동의 대상에 대한 태도인 ‘국어에 대한 태도’, 둘째, 국어인식 활동 시에 요구되는 태도인 ‘국어인식 태도’, 셋째, 국어인식 활동 자체에 대한 태도인 ‘국어인식 활동에 대한 태도’가 그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각 유형의 태도 요소의 성격을 정리하고, 중등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하위 태도 요소를 시안(試案)으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로 제시된 태도 요소가 지식 요소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중시하여 문법 단위에 따라 태도 요소를 선정하여 그 실례를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선정하고 상세화한 태도 요소를 실제 문법 교육에 반영하여 설계하기 위한 원리와 실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태도 형성을 위한 문법 교육 설계의 원리는 ①간접성의 원리, ②경험 중심 원리, ③통합 중심 원리로 구체화되었다.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태도 형성을 위한 문법 교육 설계의 실제를 보여주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국어 문법 범주 중에서도 대우법을 선택하였다. 대우법이 앞에서 제시한 모든 원리를 실현하기에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대우법이라는 문법 범주를 예로 들어, 앞에서 선정하고 상세화한 태도 요소를 설계 원리에 준해 활동으로 구체화하였다.
  • 영문
  • I regard specific Korean language activities as basic unit of grammar teaching phenomenon, and on this basis would present the concept of grammar teaching design for the formulation of positive attitude. For these purposes, the second chapter verifies the attitude as the result of grammar teaching and defines its meaningness. It also investigates the states of how the attitude factors are dealt in the present grammar teaching. In order to do the research, I conduct the analysis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terviewing of the teachers, surveying of the learners', and identify that attitude factors are not properly practiced in the grammar teaching.
    In Chapter 3, I select and embody the attitude factors. For these purpose, I set up a modern design of grammar teaching that includes attitude factors:① activity-centered grammar teaching, ② process-centered grammar teaching, ③ context-centered grammar teaching, ④ multi-perspective grammar teaching. Based on these perspectives, by analyzing secondary level students' description of grammar learning experience, the present study elucidates that the specific Korean language grammar activities are meta-thinking activities of Korean language, and defines these activities as 'Korean Language Awareness Activity'. Based on these standards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Activity', the factors of grammar teaching are selected and defined in detail. The factors of grammar teaching activity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First, 'attitude toward Korean language' - attitude toward the object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activity; second, 'attitude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activity(KLAA)' - attitude required during the Korean language awareness activity; third, 'attitude toward KLAA' - attitude about Korean language awareness activity itself. Then, af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tors of each attitude types are outlined, sub-factors of each attitude types are drawn up as a tentative plan regarding secondary students' level. Finally, in the light of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attitude factors with knowledge factors, examples of attitude factors selected according to the grammar units are illustrated.
    In Chapter 4, I discusses the principles and its feasibility of teaching design for applying the attitude factors to practical grammar teaching. The principles of grammar teaching design are specified as follows: ①principle of indirectness, ② principle of experience-centeredness, ③ principle of integration. With these principles, the present study opts 'Honorification' out to show the actual grammar teaching design for the building up of attitudes. The formerly selected and detailed attitude factors are realized in practice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desig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고에서는 문법 교육만의 특수한 국어 활동을 문법 교육 현상의 기본 단위로 보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태도 형성을 위한 문법 교육의 설계의 상(象)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Ⅱ장에서는 문법 교육의 학습 성과로서 태도 요소를 확인하고, 이의 중요성에 대해 정리하였다. 그리고 현재의 교육에서는 문법 교육의 태도 요소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역대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교사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학습자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문법 교육에서 태도 요소가 제대로 교육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태도 요소를 선정하고 구체화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태도 요소까지 포괄하는 문법 교육의 관점을 정립하였다:①활동 중심 문법 교육, ②과정 중심 국어지식 교육, ③다면적 문법 교육.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문법 학습 경험기술지 분석을 통하여 문법 교육만의 특수한 국어 활동이 국어에 대한 메타적 사고 활동임을 밝히고 이를 ‘국어인식 활동’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국어인식 활동을 기준으로 하여 문법 교육의 태도 요소를 선정하고 상세화하였다. 먼저, 국어인식 활동을 기준으로 하여 문법 교육의 태도 요소를 세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첫째, 국어인식 활동의 대상에 대한 태도인 ‘국어에 대한 태도’, 둘째, 국어인식 활동 시에 요구되는 태도인 ‘국어인식 태도’, 셋째, 국어인식 활동 자체에 대한 태도인 ‘국어인식 활동에 대한 태도’가 그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각 유형의 태도 요소의 성격을 정리하고, 중등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하위 태도 요소를 시안(試案)으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로 제시된 태도 요소가 지식 요소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중시하여 문법 단위에 따라 태도 요소를 선정하여 그 실례를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선정하고 상세화한 태도 요소를 실제 문법 교육에 반영하여 설계하기 위한 원리와 실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태도 형성을 위한 문법 교육 설계의 원리는 ①간접성의 원리, ②경험 중심 원리, ③통합 중심 원리로 구체화되었다.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태도 형성을 위한 문법 교육 설계의 실제를 보여주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국어 문법 범주 중에서도 대우법을 선택하였다. 대우법이 앞에서 제시한 모든 원리를 실현하기에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대우법이라는 문법 범주를 예로 들어, 앞에서 선정하고 상세화한 태도 요소를 설계 원리에 준해 활동으로 구체화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국어에 대한 태도 : ①청소년어에 대한 태도 ②전자언어에 대한 태도 ③방언에 대한 태도 ④표준어에 대한 태도
    ⑤북한어에 대한 태도 ⑥민족어에 대한 태도
    국어인식 활동의 태도 : 분석적 국어인식 태도 ②규범적 국어인식 태도 ③비판적 국어인식 태도 ④창의적 국어인식 태도
    국어인식 활동에 대한 태도 : ①국어인식 활동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②국어인식 활동에 대한 적극성

    2. 활용방안
    (1) 국어 문법 교육과정 설계시, 특히 태도 요소 등의 정의적 범주 설정시에 참고할 수 있다.
    (2) 국어 문법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에 주목한 수업을 설계할 때 기본 바탕을 제공해 줄 수 있다.
    (3) 국어과 정의 교육의 구체화에 기여할 수 있다.
  • 색인어
  • 국어교육, 문법 교육, 정의적 영역, 정의 교육, 태도, 국어인식 활동, 국어인식 경험, 국어에 대한 태도, 국어인식 활동의 태도, 국어인식 활동에 대한 태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