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067&local_id=10011051
부동산디지털등기제도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부동산디지털등기제도에 관한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광동(건국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56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5년 12월 2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5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현대의 법률관계는 과학의 발전으로 종래의 법체계에 대하여 새로운 형태의 변화를 요구한다. 이러한 변화의 요구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 바로 부동산등기제도이다.
    즉, 종래에 종이등기부의 전산화에서 이제는 등기신청의 디지털화로의 전환단계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법무부는 부동산디지털등기로의 전환에 관한 법률적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서 2005년 9월에 부동산등기법의 일부개정안을 입법예고하였다.
    금번 부동산등기법개정안의 주요내용은 종래의 對面的 申請構造에서 디지털등기신청이 받아들여졌으며, 또한 부동산디지털등기신청의 경우, 디지털문서 기타의 방법으로 신청서 또는 첨부서면에 갈음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등기신청의 구조에서는 등기당사자 및 그 대리인의 출석주의를 예외적으로 배제하게 되었으며, 전산정보처리조직에 의하여 등기를 마친 경우 종래의 종이로 된 등기필증을 대신하는 정보의 통지로 등기필증 교부에 갈음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온라인신청과 창구신청의 접수시점 일원화를 위하여, 일정한 정보가 전산정보처리조직에 기록된 때(key lock) 접수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개인정보보호차원에서 등기필정보 누설방지의무 및 벌칙규정을 신설하였다.
    그러나 이번 부동산등기법개정안은 단순히 부동산디지털등기와 관련된 몇 개의 조문을 첨가하는 형식이어서 종전의 부동산등기법이 가지고 있던 법제도적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과연 부동산디지털등기가 실효성 있게 시행될 수 있는 법제도적 방안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우선, 종래의 다원화 되어 있는 부동산디지털등기 관련 연계시스템이나 부동산공시제도의 일원화가 필요하다.
    부동산디지털등기는 부동산물권변동과 깊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물권적 의사표시와 등기가 모두 디지털화 되어 가는 상황에서 부동산물권변동에 관한 법리에도 변화가 나타날 것이다. 즉, 종래의 물권행위에 대한 비요식성은 要式性으로 전환하게 될 것이다.
    또한 등기의 성립시기는 등기관이 校合한 때가 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부동산물권변동의 성립시기에 있어서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부동산디지털등기에 있어서 그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등기의 公信力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렇다면 부동산디지털등기제도에서 그 절차상 어떠한 문제점과 그 해결책은 무엇인가에 대해, 이를 신청이전 단계, 신청단계, 심사단계, 등기완료 단계로 나누어 볼 필요가 있다. 첫째, 신청이전 단계에서는 등기의 공신력 확보 또는 대체방안으로서 에스크로우제도(escrow)나 權原保險制度의 도입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리고 부동산디지털등기의 주체와 내용의 진정성 확보를 위해 종래의 디지털서명과 디지털認證 뿐만 아니라 디지털검인과 디지털공증의 도입을 고려할 수 있다.
    둘째, 부동산디지털등기신청의 도입으로 出席主義는 제한되고 있다. 그런데 공동신청주의는 유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는 등기신청전 단계에서의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단독신청주의의 도입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심사단계에서는 종전의 형식적 심사주의 보다는 실질적 심사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부동산디지털등기의 특성상 등기신청인의 진정성 확보를 위해 일본에서 시행되고 있는 자격자대리인에 의한 본인확인제도 및 등기관에 의한 본인확인 규정의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넷째, 등기완료단계에서는 登記畢情報에 대한 개인정보보호에 중점을 두어야 하고, 일본의 登記識別情報에 대한 규정을 입법함에 있어서 참작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부동산등기부의 편제는 종전의 편제를 유지하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렇다면 부동산디지털등기를 위한 법률의 제․개정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부동산등기법에 있어서는 登記告知制度 및 등기신청강제주의 그리고 법인 및 공동소유의 부동산등기 신청시 자격자의 필수적 신청 규정, 전산정보자료의 필요적 교환, 실질적 심사주의의 도입에 관한 명문규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법률적 근거 및 제도적 기반조성에 대한 명문규정의 도입은 부동산디지털등기의 진정성 확보와 효율적 시행에 커다란 역할을 할 것이다.
  • 영문
  • Major details of the amendment include acceptance of digital application for registration in addition to the existing personal application and in case of real-estate digital registration, substitution of digital documents for paper application or attached documents. In addition, in case of digital application, attendance of the party or representative to registration is not exceptionally required and delivery of paper registration certificate may be substituted with a notice of information.
    For the unification of reception time of online application and off-line application, the time when a given information has arrived at the electronic processing system is considered as the reception time of digital application. In the amendment, clauses for the obligation to prevent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leaking and punishment is newly established in a way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The proposed amendment for Real-estate Law is not, however, expected to solve legal problems involved with the existing real-estate registration law, as it is a simple addition of a few clauses involved with real-estate digital registration.
    This suggests that a legal system that ensures effective implementation of real-estate digital registration should be discussed.
    What's required first of all is the unification of diverse systems connected with real-estate digital registration and real-estate public notice system.
    Real-estate digital registration is closely related with changes of real right of real estate.
    In this situation where expression of intention about real right and registration is digitalized, a change should happen in jurisprudence about the change of real-estate right.
    The time for registration establishment will be the time when registration officer has completed collation, which will have an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time of change of real-estate right.
    It is also proper to recognize public confidence to register in a way to secure trust in real-estate digital register.
    Real-estate digital registration system should be divided into steps of before application, application, consideration and registration to find its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First, at the step of before application, escrow or title insurance can be considered as a method or substitute for securing public confidence in register.
    Second, although introduction of digital application for real-estate registration imposes restriction on the principle of attendance, the principle of joint application is maintained. As an improvement for this, if the problems at the step before application for registration are solved, introduction of the principle of independent application can be considered.
    Third, with reference to application consideration, it is proper to reinforce substantial consideration rather than the existing formal consideration. Introduction of verification of the person himself by the representative of the qualified person or by registration officer as in Japan is needed to consider in a way to verify authenticity of registration applicant by nature of real-estate digital registration.
    Fourth, at the step of registration, emphasis should be given to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volved with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Japanese regulations on regis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eeded to refer in the legislation of it. As for register formation, the existing formation is not expected to cause any problems with digital register.
    These require for establishment and amendment of real-estate digital registration law.
    Introduction of explicit clauses for legal ground and formation of systematic basics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verification of authenticity and efficient implementation of real-estate digital registr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Major details of the amendment include acceptance of digital application for registration in addition to the existing personal application and in case of real-estate digital registration, substitution of digital documents for paper application or attached documents. In addition, in case of digital application, attendance of the party or representative to registration is not exceptionally required and delivery of paper registration certificate may be substituted with a notice of information.
    For the unification of reception time of online application and off-line application, the time when a given information has arrived at the electronic processing system is considered as the reception time of digital application. In the amendment, clauses for the obligation to prevent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leaking and punishment is newly established in a way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The proposed amendment for Real-estate Law is not, however, expected to solve legal problems involved with the existing real-estate registration law, as it is a simple addition of a few clauses involved with real-estate digital registration.
    This suggests that a legal system that ensures effective implementation of real-estate digital registration should be discussed.
    What's required first of all is the unification of diverse systems connected with real-estate digital registration and real-estate public notice system.
    Real-estate digital registration is closely related with changes of real right of real estate.
    In this situation where expression of intention about real right and registration is digitalized, a change should happen in jurisprudence about the change of real-estate right.
    The time for registration establishment will be the time when registration officer has completed collation, which will have an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time of change of real-estate right.
    It is also proper to recognize public confidence to register in a way to secure trust in real-estate digital register.
    Real-estate digital registration system should be divided into steps of before application, application, consideration and registration to find its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First, at the step of before application, escrow or title insurance can be considered as a method or substitute for securing public confidence in register.
    Second, although introduction of digital application for real-estate registration imposes restriction on the principle of attendance, the principle of joint application is maintained. As an improvement for this, if the problems at the step before application for registration are solved, introduction of the principle of independent application can be considered.
    Third, with reference to application consideration, it is proper to reinforce substantial consideration rather than the existing formal consideration. Introduction of verification of the person himself by the representative of the qualified person or by registration officer as in Japan is needed to consider in a way to verify authenticity of registration applicant by nature of real-estate digital registration.
    Fourth, at the step of registration, emphasis should be given to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volved with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Japanese regulations on regis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eeded to refer in the legislation of it. As for register formation, the existing formation is not expected to cause any problems with digital register.
    These require for establishment and amendment of real-estate digital registration law.
    Introduction of explicit clauses for legal ground and formation of systematic basics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verification of authenticity and efficient implementation of real-estate digital registration.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현대의 법률관계는 과학의 발전으로 종래의 법체계에 대하여 새로운 형태의 변화를 요구한다. 이러한 변화의 요구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 바로 부동산등기제도이다.
    즉, 종래에 종이등기부의 전산화에서 이제는 등기신청의 디지털화로의 전환단계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법무부는 부동산디지털등기로의 전환에 관한 법률적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서 2005년 9월에 부동산등기법의 일부개정안을 입법예고하였다.
    금번 부동산등기법개정안의 주요내용은 종래의 對面的 申請構造에서 디지털등기신청이 받아들여졌으며, 또한 부동산디지털등기신청의 경우, 디지털문서 기타의 방법으로 신청서 또는 첨부서면에 갈음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등기신청의 구조에서는 등기당사자 및 그 대리인의 출석주의를 예외적으로 배제하게 되었으며, 전산정보처리조직에 의하여 등기를 마친 경우 종래의 종이로 된 등기필증을 대신하는 정보의 통지로 등기필증 교부에 갈음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온라인신청과 창구신청의 접수시점 일원화를 위하여, 일정한 정보가 전산정보처리조직에 기록된 때(key lock) 접수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개인정보보호차원에서 등기필정보 누설방지의무 및 벌칙규정을 신설하였다.
    그러나 이번 부동산등기법개정안은 단순히 부동산디지털등기와 관련된 몇 개의 조문을 첨가하는 형식이어서 종전의 부동산등기법이 가지고 있던 법제도적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과연 부동산디지털등기가 실효성 있게 시행될 수 있는 법제도적 방안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우선, 종래의 다원화 되어 있는 부동산디지털등기 관련 연계시스템이나 부동산공시제도의 일원화가 필요하다.
    부동산디지털등기는 부동산물권변동과 깊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물권적 의사표시와 등기가 모두 디지털화 되어 가는 상황에서 부동산물권변동에 관한 법리에도 변화가 나타날 것이다. 즉, 종래의 물권행위에 대한 비요식성은 要式性으로 전환하게 될 것이다.
    또한 등기의 성립시기는 등기관이 校合한 때가 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부동산물권변동의 성립시기에 있어서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부동산디지털등기에 있어서 그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등기의 公信力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렇다면 부동산디지털등기제도에서 그 절차상 어떠한 문제점과 그 해결책은 무엇인가에 대해, 이를 신청이전 단계, 신청단계, 심사단계, 등기완료 단계로 나누어 볼 필요가 있다. 첫째, 신청이전 단계에서는 등기의 공신력 확보 또는 대체방안으로서 에스크로우제도(escrow)나 權原保險制度의 도입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리고 부동산디지털등기의 주체와 내용의 진정성 확보를 위해 종래의 디지털서명과 디지털認證 뿐만 아니라 디지털검인과 디지털공증의 도입을 고려할 수 있다.
    둘째, 부동산디지털등기신청의 도입으로 出席主義는 제한되고 있다. 그런데 공동신청주의는 유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는 등기신청전 단계에서의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단독신청주의의 도입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심사단계에서는 종전의 형식적 심사주의 보다는 실질적 심사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부동산디지털등기의 특성상 등기신청인의 진정성 확보를 위해 일본에서 시행되고 있는 자격자대리인에 의한 본인확인제도 및 등기관에 의한 본인확인 규정의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넷째, 등기완료단계에서는 登記畢情報에 대한 개인정보보호에 중점을 두어야 하고, 일본의 登記識別情報에 대한 규정을 입법함에 있어서 참작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부동산등기부의 편제는 종전의 편제를 유지하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렇다면 부동산디지털등기를 위한 법률의 제․개정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부동산등기법에 있어서는 登記告知制度 및 등기신청강제주의 그리고 법인 및 공동소유의 부동산등기 신청시 자격자의 필수적 신청 규정, 전산정보자료의 필요적 교환, 실질적 심사주의의 도입에 관한 명문규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법률적 근거 및 제도적 기반조성에 대한 명문규정의 도입은 부동산디지털등기의 진정성 확보와 효율적 시행에 커다란 역할을 할 것이다.
  • 색인어
  • 부동산등기, 디지털등기, 디지털서명, 디지털의사표시, 권원보험, 에스크로우, 등기필정보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