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142&local_id=10018371
학교청소년의 시간제노동 경험과 적응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학교청소년의 시간제노동 경험과 적응에 관한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예성(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27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10월 1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학교청소년들이 시간제노동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러한 경험특성이 학교적응, 심리적응, 행동적응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이다. 현재 우리사회에서는 시간제노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에 대한 실증적인 파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첫째, '학교청소년의 시간제노동경험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가', 둘째, '학교청소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제노동 경험특성은 무엇이며 그 영향을 어떠한가'라는 두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학교청소년 시간제노동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한편 그에 대한 제도적 실천적 개입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기반하여, 시간제노동 학교청소년의 적응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는 스트레스-적응이론, 정체성갈등 이론, 요구-통제 이론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론들에 근거하여 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되는 노동특성 변수들을 노동 양적특성, 노동 내적특성, 노동 환경특성, 역할갈등, 사회적 지지 특성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변수들이 학교적응, 심리적응, 행동적응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같은 연구문제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베이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서울시내 15개 고등학교 1, 2학년 한 학급씩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회수된 설문지 중 1059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분석방법으로는 SPSS 12.0패키지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t-검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한 달 이상 지속적인 노동경험을 지닌 학교청소년은 조사대상자의 19.0%에 해당하는 201명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주로 패스트푸드점 또는 일반음식점에서 서빙이나 배달하기, 주유소 주유원, 전단지 돌리기 등 단순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적으로 주당 24시간이라는 긴 시간동안 일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특정 물건을 사거나 용돈을 마련하기 위한 물질적 동기에서 노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절반 가까운 수가 부모 동의서나 고용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은 채 일을 하고 있었으며, 최저임금 미만의 열악한 임금을 받거나 사고나 부당대우를 당하는 경우도 상당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노동경험이 없는 학생들과 비교해 노동경험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가계의 경제적 수준이 낮고 학교적응 및 행동적응 수준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노동경험 청소년들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의 필요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노동경험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에는 주당노동시간, 노동자율성, 노동학업간갈등, 노동관련 학교의 지지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학교의 지지 변수가 지니는 영향력이 가장 컸다. 심리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노동부담, 노동자율성, 부당대우경험, 노동학업간 갈등, 고용주의 지지 이며, 이 중 영향력이 가장 큰 변수는 노동학업간 갈등으로 나타났다. 행동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주당 노동시간, 사고경험, 부당대우경험, 노동학업간 갈등이며,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는 노동학업간 갈등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노동경험 학교청소년의 적응수준에 대하여 노동경험 특성 변인들이 지니는 상대적인 설명력을 비교한 결과 노동의 내적특성 변인과 노동환경 변인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볼 때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이 중요하게 다룬 노동의 양적 특성 뿐만 아니라 노동의 질적 측면과 노동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시간제노동 학교청소년들은 노동경험이 없는 청소년에 비해 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집단이며, 이들의 적응 수준에는 노동의 다양한 특성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노동학업간 갈등 및 노동에 대한 학교의 지지변수의 영향력이 큰 점을 볼 때 시간제노동 학교청소년들에 대한 개입에 있어서는 무엇보다 학교를 기반으로한 제도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각 가정에서의 적절한 지도와 노동현장 및 사회전반의 인식전환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시간제노동 청소년들을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현행 법률의 개정 및 규제의 강화가 필요하며, 이들을 제도권 안으로 끌어들여 적극 지원함으로써 노동경험이 보다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기제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 영문
  • This is a positive research about what students experience through part-time work and how the characters of those experiences would influence on level of adjustment to their school lives, mentality and behavior. Although recently the number of students who participate in part-time work has been rapidly increased in this society, the thorough grasp of the situation has not been done yet. This thesis will establish two subjects: first, 'What the experience of part-time work assumes an aspect to students ';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s of part-time work which might influence on students, and how much students would be affected by these experiences '. Standing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this thesis adopts stress-coping theory, identity conflict theory and demand-control theory to explain adjustment of part-time work students.
    Firstly, it is found that the students who have continuos work experience more than a month are 201 persons which are 19.0% of total amount. The usually work for simple jobs such as serving at restaurnats, delivery services or filling-station attendants. Also they work about 24hours per week on the average. Most of them start part-time work from material motives such as to buy certain stuffs or having enough money.
    Secondly, this study shows that part-time work students generally have lower economic standards, level of school adjustment, and the level behavioral adjustment comparing to non-working students.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the social welfare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labour experienced students.
    Thirdly, various work experiential factors which influence on adustment on school life of work-experienced students are explained. It is shown that variables such as work hours per week, work autonomy, conflict between work and study, schools' support on work meaningfully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and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s schools' support. Also work burden, work autonomy, unfair treatment, conflict between work and study and employers' support are analysed as meaningful variables for mental adjustment. It is also verified that the key variables to behavioral adjustment are work hours per week, incident experience, unfair treatment, and conflict between work and study.
    Finally, Internal labour character variables and circumstantial labour variables relatively have important explanatory adequacy as comparing amongst labour-experience character variables to the level of adjustment for work experienced students. This result shows that the previous analysis methods which are focused on quantitative characters of labours are not appropiate. Namely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adjustment of work-experienced adolescents, the qualitative characters of labour should be considered, also effort for improving work circumstances are very urgent.
    Part-time work adolescents are tend to be exposed to the possibilities of problems of adjustment than non-work experienced adolescents, and it is verified that the various characters are influencing on the level of their adjustment. Through these results, it seems to be efficient that the intervention for part-time work students should based on school social work syste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학교청소년들이 시간제노동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러한 경험특성이 학교적응, 심리적응, 행동적응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이다. 현재 우리사회에서는 시간제노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에 대한 실증적인 파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학교청소년의 시간제노동 경험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가 ', 둘째, '학교청소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제노동 경험특성은 무엇이며, 그 영향은 어떠한가 '라는 두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스트레스-적응이론, 정체성갈등 이론, 요구-통제 이론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노동특성 변수들을 노동의 양적특성, 노동 내적특성, 노동 환경특성, 역할갈등, 사회적 지지 특성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변수들이 학교적응, 심리적응, 행동적응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베이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서울시내 15개 고등학교 1,2학년 한 학급씩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1059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종속변수는 학교몰입 및 학업에 대한 흥미, 심리정서문제, 행동문제이며, 독립변수로는 양적특성으로 주당노동시간과 총노동시간, 내적특성으로는 노동부담, 노동자율성, 노동환경특성으로는 사고경험, 부당대우 경험, 역할갈등으로는 노동학업간 갈등, 사회적 지지 특성으로는 고용주의 지지, 노동에 대한 학교의 지지, 노동에 대한 부모의 지지 등 10개를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시간제노동 학교청소년들에게 효과적으로 개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교를 기반으로 한 학교사회복지제도를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이며, 가정에서의 적절한 지도, 노동현장과 아울러 사회전반의 인식전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시간제노동 청소년들을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현행 법률의 개정 및 규제의 강화가 필요하며, 이들을 제도권 안으로 끌어들여 적극 지원함으로써 노동경험이 보다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회의 전반적인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본 연구의 분석대상인 한 달 이상의 지속적인 노동경험을 지닌 학교청소년은 조사대상자의 19.0%에 해당하는 201명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주로 패스트푸드점 또는 일반음식점에서 서빙이나 배달하기, 주유소 주유원, 전단지 돌리기 등 단순 업무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적으로 주당 24시간이라는 긴 시간동안 일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특정 물건을 사거나 용돈을 마련하기 위한 물질적 동기에서 노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절반 가까운 수가 부모동의서나 고용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은 채 일을 하고 있었으며, 최저임금 미만의 열악한 임금을 받거나 사고나 부당대우를 당하는 경우도 상당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노동경험이 없는 청소년들에 비해 노동경험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가계의 경제적 수준이 낮고 학교적응 수준 및 행동적응 수준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적응 수준의 차이는 인구학적 변수들을 통제한 뒤에도 유의미하였다. 이를 통해 노동경험 청소년들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의 필요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노동경험 청소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노동경험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교적응에는 주당 노동시간, 노동자율성, 노동학업간 갈등, 노동관련 학교의 지지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 중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학교의 지지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심리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노동부담, 노동자율성, 부당대우 경험, 노동학업간 갈등, 고용주의 지지이며, 이 중 영향력이 가장 큰 변수는 노동학업간 갈등으로 나타났다. 다음 행동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주당 노동시간, 사고경험, 부당대우 경험, 노동학업간 갈등이며,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는 노동학업간 갈등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노동경험 학생들의 적응 수준에 대하여 노동경험 특성 변인들이 지니는 상대적인 설명력을 비교한 결과 노동의 내적특성 변인과 노동환경 변인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지금까지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노동시간과 같은 노동의 양적 특성에 주안점을 둔 분석방식은 적절치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볼 수 있다. 즉 노동경험 청소년들의 적응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노동의 질적 측면을 고려하는 한편, 노동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 색인어
  • 아르바이트, 학교청소년 시간제노동, 적응, 학교사회복지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