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행정기관에 성별영향평가의 제도적 정착을 위해서 필요한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그에 따른 정책적 과제를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문제 규명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통합연구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즉, 문헌연구 및 2005년 기관별 성별영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행정기관에 성별영향평가의 제도적 정착을 위해서 필요한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그에 따른 정책적 과제를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문제 규명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통합연구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즉, 문헌연구 및 2005년 기관별 성별영향평가 사업에 참여한 공무원 중 16명을 면접조사 하였으며, 참여공무원 전체 약 2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면접조사 결과 성별영향평가 참여 공무원들은 대부분 성별영향평가 제도에 대한 인지도는 낮았으나, 사회 전반적으로 성평등에 대한 강조와 정책품질향상에 대한 요구 등에 의해 소극적이나마 수용적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관련 전담부서가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고위관리직의 관심이 있는 기관은 그렇지 않은 기관에 비해서 성별영향평가 수행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영향평가 결과를 다시 정책과정에 통합시키는 데 있어서 몇 가지 장애요인이 발견되었다. 넷째, 향후 성별영향평가 제도가 우리나라 행정기관에 정착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제도개선 과제들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성별영향평가의 제도적 정착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즉 평가자의 성별영향평가 전문성과 평가자가 담당하고 있는 업무 중에서 성별영향평가 업무의 비중인식, 성별영향평가 제도에 대한 태도, 고위관리직의 관심과 지원, 접근 가능한 전문 연구기관 및 전문가 자문지원, 여성가족부의 지침, 평가자의 개인적 특성으로서 성별과 직급 등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첫째, 성별영향평가 제도가 유용(50%), 전문가 자문 (69.2%), 둘째, 성별영향평가의 제도적 정착을 위해 여성가족부가 우선적으로 해야 할 1순위 과제는 지표개선 및 구체화된 법・제 도마련, . 한편 수행기관이 해야 할 1순위 과제는 의사결정자의 관심과 지원 강화 및 전담인력 확충, 셋째, 다층모형분석 결과, 성별영향평가의 제도적 정착인식 다섯 가지 하위차원 중에서 기관 공무원의 성평등 의식향상, 의사결정자의 관심증가, 정책 이해관계자 참여 등 세 가지와 이 5개 하위차원의 총 평균, 그리고 성별영향평가제도 실효성 점수에 있어서 행정기관수준의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