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511&local_id=10013621
시맨틱 웹 기반의 위치기반서비스와 보안정책 관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시맨틱 웹 기반의 위치기반서비스와 보안정책 관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종우(국립부경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D00057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1월 0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s)는 이동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위치기반서비스가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한 정보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보다 향상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들이 있다. 첫째, 다양하고 매우 많은 위치기반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들을 분산 환경에서 관리하고 공유하는 매카니즘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위치기반서비스는 사용자의 위치와 같은 중요한 개인정보와 유료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보호해야하기 때문에 분산된 환경에서도 이러한 정보들에 대한 보안정책을 공유하는 매카니즘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위치기반서비스에서 향상된 정보 공유 매카니즘을 제공하고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시맨틱웹 기술을 도입하여 보다 향상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Semantic LBS는 기존 LBS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서비스뿐 아니라 보다 향상된 POI(Point of Interest)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기반서비스 플랫폼이다. 이러한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한다. 첫째, POI들의 도메인에 의존하는 정보들을 기술하기 위한 온톨로지와 이들 POI들을 분류하기 위한 온톨로지를 모델링하고, 이를 기반으로 위치기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미들웨어를 설계 및 구현한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각 POI들의 특정 도메인에 의존하는 정보들도 제공할 수 있으며 분산 환경에 저장된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정보에 대해서도 검색이 가능하다. 둘째, 제안한 접근방법을 기반으로 위치기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Semantic LBS 플랫폼을 설계 및 구현한다. 본 연구에서 구현하는 위치기반서비스 플랫폼은 사용자의 위치정보 획득을 위한 Positioning Service, 주소와 좌표간의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Location Utilities Service, POI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Directory Service와 지도서비스를 제공하는 Map Service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분산 환경 기반의 Semantic LBS에서 접근제어 정책을 공유하기 위하여 시맨틱 웹 기술을 도입한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정책을 표현하기 위해 Rei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위치기반서비스를 위한 보안정책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리소스에 접근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접근권한을 가진 경우에만 리소스에 접근을 허용하는 보안정책관리 매카니즘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측면에서 장점을 제공한다. 첫째, 제안된 위치기반서비스에서의 시맨틱웹 접근은 위치기반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온톨로지 기반으로 의미적으로 기술하고 검색하여 다양한 정보의 검색을 제공하며, 위치기반서비스 플랫폼에게 확장성과 분산된 환경에서의 상호운용성을 제공한다. 둘째, 위치기반서비스에서 관리하는 리소스에 대한 접근제어 정책을 기술하기 위해 시맨틱 웹 접근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분산된 환경과 서로 다른 운영 환경에서도 접근제어 정책을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다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차세대 위치기반서비스와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선도기술로 적용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모바일 사용자들은 위치기반서비스가 보다 자세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그러므로 위치기반서비스 데이터가 다양하고 방대하더라도 위치기반서비스 미들웨어 모델들은 도메인 의존적인 정보까지 제공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Semantic LBS는 위치기반서비스의 기본적인 서비스뿐 아니라 더 향상된 POI(Point Of Interest)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위치기반서비스 플랫폼이다. Semantic LBS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도메인 명세 정보와 함께 POI를 검색하는 것이다. Semantic LBS에서 POI들은 실제로 LBS 온톨로지들과 다양한 도메인 온톨로지들에 의해 기술되어지며, Semantic LBS는 이러한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POI들과 그 도메인 의존적인 상세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갱신할 수 있도록 질의 API를 제공한다.
    Semantic LBS는 다음과 같은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한다. 첫째, Semantic LBS는 사용자 위치에 기반한 POI 검색뿐 아니라 그들의 도메인 명세 정보까지 검색하는 향상된 LBS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존의 LBS는 미리 정의된 데이터 모델에 따라 저장된 정보만을 지원하기 때문에, 이러한 도메인 명세 정보를 검색하는 것은 어렵다. 하지만 Semantic LBS는 도메인 의존적인 정보를 명세화할 수 있는 온톨로지 기반의 데이터 모델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복잡한 요구사항에 대한 도메인 명세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며,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도메인 명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즉, 본 연구는 POI의 표현방법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컨텐츠들과 서비스들 사이의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키며, 다양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Semantic LBS의 제한된 성능의 모바일 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지도서비스를 제공한다. Semantic LBS에서 제공하는 지도서비스는 지도의 좌표를 Base와 Offset으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경량화된 수치지도 모델과 지도서비스 API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Semantic LBS는 분산된 리소스들이 보안정책을 공유하기 위한 보안 정책 관리를 지원한다. Semantic LBS는 Rei 온톨로지를 사용하여 공유 가능한 보안정책을 기술하며, Semantic LBS의 검색 서비스와 통합할 수 있는 매카니즘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향상된 위치기반서비스를 제공할 뿐 아니라 다음과 같은 다양한 활용방안과 가능성을 제공한다. 1) 새로운 연구 이슈 제공: 본 연구의 결과물을 통해 보다 지능화된 차세대 위치기반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Semantic Web 기술을 이용한 성공적 응용사례를 제시함으로써 Semantic Web 기반기술 및 응용기술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 유비쿼터스를 위한 핵심기술 제공: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은 다양한 디바이스 환경하에서 동작해야한다. 특히 제한된 성능의 초소형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위치와 사용자의 의도에 적합한 정보만을 추출하여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기술 분야이다. 또한 지도서비스의 경우에도 초경량 Digital Map을 통한 효율적인 서비스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보다 좋은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기술이 될 수 있다. 3)경제적 측면에 기여: 본 연구의 수행결과는 보다 지능화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 및 그 구현에 대한 연구이기 때문에, 차세대 위치기반서비스의 사업화뿐 아니라 다양한 정보서비스 분야의 사업화가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의 수행결과로 인하여, 학문적으로 연구되어 오던 Semantic Web 기술의 성공적 구현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관련 산업 분야에 신기술 보급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한글: 위치기반서비스, 유비쿼터스, 이동컴퓨팅환경, LBS 미들웨어, 디렉토리 서비스, 시맨틱웹, 온톨로지 기반 모델링, LBS 온톨로지, 도메인 온톨로지, 수치지도 모델, 모바일 GIS, 온톨로지 기반 보안정책, LBS 정보 공유, 정보 표현력, 상호운용성, 지능화된 서비스, 유연성 영문: Location-based Services, Ubiquitous, LBS Middleware, Directory Service, Semantic Web, Ontology-based Modeling, LBS Ontology, Domain Ontology, Digital Map Model, Mobile GIS, Ontology-based Security Policy, LBS Information Sharing Information Expressiveness, Interoperability, Intelligent Services, Flexibility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