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526&local_id=10013292
국내산 송이버섯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대사체 특성 규명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and Non-volatile Metabolites in Pine-Mushrooms (Tricholoma matsutake Sing.)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국내산 송이버섯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대사체 특성 규명 & #40;Characterization of Volatile and Non-volatile Metabolites in Pine-Mushrooms & #40;Tricholoma matsutake Sing.& #41;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조인희(이화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C00064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1월 2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metabolomics를 이용하여 국내의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임산물인 송이버섯의 등급별 및 열처리에 따른 대사체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과 핵자기공명법 (nuclear magnetic resonance) 등의 기기분석법에 다변량통계기법 (multivariate statistical anaylsis)을 적용함으로써, 송이버섯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대사체의 프로파일 패턴 (profiling pattern)의 차이 및 변화를 평가하였다. Phenylpropyl alcohol, (E)-2-octen-1-ol, dimethyl sulfone, dihydro-2(3H)-furanone 등의 휘발성 대사체와 choline, trehalose, threonine, leucine/isoleucine, succinic acid, alanine, fumaric acid 등의 비휘발성 대사체 등이 국내산 송이버섯의 등급을 평가하는데 기여하는 화합물로 분석되었으며, 송이버섯이 열처리됨에 따라 alanine과 leucine/isoleucine 등의 아미노산 함량은 적어지고, 상대적으로 carbonyls과 pyrazines의 생성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한편, 향추출물희석분석법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을 이용한 가스크로마토그래피-후각분석법 (GC-olfactometry)으로 국내산 송이버섯의 향 특성을 분석하였다. 버섯 특유의 곰팡이 냄새에 기여하는 1-octen-3-one, 3-octanol, 1-octen-3-ol, (E)-2-octen-1-ol, 3-octanone, and 1-octanol 등의 향 성분들이 높은 향 희석배수 (flavor dilution)를 가져 송이버섯의 중요한 향기활성성분 (aroma-active compound)으로 동정되었으며, 그 밖에 ethyl 2-methylbutyrate, linalool, methional, hexanal, phenylethyl alcohol, (E)-2-decenal, a-terpineol, 2-methyl-3-buten-2-ol, limonene, nonanal, (E)-2-octenal, 2-ethyl-1-hexanol, phenylacetaldehyde, 1-hexanol, ethyl octanoate 등의 향 성분들이 생송이버섯 특유의 향 특성에 관여하는 향기활성성분으로서 확인되었고, methional, 2-acetylyhiazeol, 미동정 화합물이 가열 처리된 송이버섯의 중요한 향기활성성분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송이버섯은 부위별로 다른 향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송이버섯에서 50% 이상의 정량치를 차지하였던 methyl cinnamate가 갓 부위에서 대부분 검출되었으며, 반면 1-octen-3-ol, 3-octanol, (E)-2-octen-1-ol 등의 C8 화합물의 함량은 대 부위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을 함유하였다. 또한, 1-octen-3-one, 3-octanol, (E)-2-octen-1-ol, 3-octanone 등의 곰팡이 냄새에 기여하는 향기활성성분의 향 희석배수가 상대적으로 대 부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송이버섯 특유의 향 특성에 기여하는 linalool, ethyl 2-methylbutyrate, 2-methly-3-buten-2-ol, a-terpineol, (E)-2-decenal 등의 향 희석배수는 상대적으로 갓 부위에서 높은 양상을 보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후각분석법과 관능검사를 통하여 국내산 송이버섯의 등급별 향미특성을 이해하고, 여기에 부분최소평방회귀분석 (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의 다변량통계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이들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솔잎 향미, 고기 향미, 꽃 향미 등의 향미특성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송이버섯의 등급이 높을수록 이 특성들이 우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향미특성에 기여하는 향기활성성분들로는 (E)-2-decenal, a-terpineol, phenylethyl alcohol, ethyl 2-methylbutyrate 등이 확인되었다. 반면, 송이버섯의 등급이 낮을수록 젖은 흙 향미, 알코올 향미, 금속 향미, 곰팡이 향미, 발효 향미 등의 향미특성이 우세하며, 이들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1-Octen-3-one, 1-octen-3-ol, 3-octanol, 3-octanone, (E)-2-octen-1-ol, methional 등의 향기활성성분들이 이러한 향미특성에 기여하는 화합물로서 동정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국내산 생송이버섯 및 열처리한 송이버섯의 등급별 대사체 특성 규명
    국내산 생송이버섯 및 열처리한 송이버섯의 등급별에 따른 휘발성 및 비휘발성 대사체의 특성을 metabolomics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phenylpropyl alcohol, (E)-2-octen-1-ol, dimethyl sulfone, dihydro-2(3H)-furanone 등의 휘발성 대사체와 choline, trehalose, threonine, leucine/isoleucine, succinic acid, alanine, fumaric acid 등의 비휘발성 대사체 등이 송이버섯의 등급을 평가하는데 기여하는 화합물로 분석되었다.
    한편, 송이버섯이 열처리됨에 따라 alanine과 leucine/isoleucine 등의 아미노산 함량은 적어지고, 상대적으로 carbonyls과 pyrazines의 생성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2) 국내산 송이버섯의 향기활성성분 분석
    향추출물희석분석법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을 이용한 가스크로마토그래피-후각분석법 (GC-olfactometry)으로 국내산 생송이버섯 및 열처리한 송이버섯의 향 특성을 분석하였다. 버섯 특유의 곰팡이 냄새에 기여하는 1-octen-3-one, 3-octanol, 1-octen-3-ol, (E)-2-octen-1-ol, 3-octanone, and 1-octanol 등의 향 성분들이 높은 향 희석배수 (flavor dilution)를 가져 송이버섯의 중요한 향기활성성분 (aroma-active compound)으로 동정되었으며, 그 밖에 ethyl 2-methylbutyrate, linalool, methional, hexanal, phenylethyl alcohol, (E)-2-decenal, a-terpineol, 2-methyl-3-buten-2-ol, limonene, nonanal, (E)-2-octenal, 2-ethyl-1-hexanol, phenylacetaldehyde, 1-hexanol, ethyl octanoate 등의 향 성분들이 생송이버섯 특유의 향 특성에 관여하는 향기활성성분으로서 확인되었고, methional, 2-acetylyhiazeol, 미동정 화합물이 가열 처리된 송이버섯의 중요한 향기활성성분으로 분석되었다.
    (3) 국내산 송이버섯의 부위별 향미 특성 규명
    또한, 송이버섯의 갓과 대의 부위별 향 특성을 규명하였다. 갓과 대를 구별하지 않았던 송이버섯에서 50% 이상의 정량치를 차지하였던 methyl cinnamate가 갓 부위에서 대부분 검출되었으며, 반면 1-octen-3-ol, 3-octanol, (E)-2-octen-1-ol 등의 C8 화합물의 함량은 대 부위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을 함유하였다. 또한, 1-octen-3-one, 3-octanol, (E)-2-octen-1-ol, 3-octanone 등의 곰팡이 냄새에 기여하는 향기활성성분의 향 희석배수가 상대적으로 대 부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송이버섯 특유의 향 특성에 기여하는 linalool, ethyl 2-methylbutyrate, 2-methly-3-buten-2-ol, a-terpineol, (E)-2-decenal 등의 향 희석배수는 상대적으로 갓 부위에서 높은 양상을 보였다.
    (4) 기기분석 및 관능검사를 통한 국내산 생송이버섯의 등급별 향 특성 규명
    가스 크로마토그래피-후각분석법과 관능검사를 통하여 국내산 송이버섯의 등급별 향미특성을 이해하고, 여기에 부분최소평방회귀분석 (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의 다변량통계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이들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솔잎 향미, 고기 향미, 꽃 향미 등의 향미특성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송이버섯의 등급이 높을수록 이 특성들이 우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향미특성에 기여하는 향기활성성분들로는 (E)-2-decenal, a-terpineol, phenylethyl alcohol, ethyl 2-methylbutyrate 등이 확인되었다. 반면, 송이버섯의 등급이 낮을수록 젖은 흙 향미, 알코올 향미, 금속 향미, 곰팡이 향미, 발효 향미 등의 향미특성이 우세하며, 이들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1-Octen-3-one, 1-octen-3-ol, 3-octanol, 3-octanone, (E)-2-octen-1-ol, methional 등의 향기활성성분들이 이러한 향미특성에 기여하는 화합물로서 동정되었다.
  • 색인어
  • 송이버섯; 대사체; 향기활성성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 핵자기공명법; 가스크로마토그래피-후각분석법; 향추출물희석분석법; 관능검사; 다변량통계분석법; 부분최소평방회귀분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