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588&local_id=10013677
한국 전래동요의 음악문화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 전래동요의 음악문화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강혜인(동아대학교& #40;구덕&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04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1월 1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국문초록
    한국 전래동요의 음악문화 연구

    A Study on the Musical Culture of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

    음악문화학과 강 혜 인
    지도교수 조선우․김기현

    본 연구는 한국 전래동요의 특성을 음악 문화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전래동요의 연행성과 음악적 구조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동요 창작과 새로운 음악교육 실천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전래동요는 전통적으로 구전(口傳)되어온 아이들의 노래이다. 놀이와 노래가 함께 구연되는 전래동요는 아동 특유의 관찰력과 감수성이 자연스럽게 노래로 표현되어 있다.
    지금까지 전래동요에 관한 연구는 사설과 놀이 및 음악적 특징을 각기 다른 학문적 분야의 관점에서 국한하여 연구함으로 전래동요의 내적 구성요소들이 갖는 상호 긴밀성과 그 결과로 얻어질 수 있는 전래동요의 총체적 특성을 드러내지는 못하였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전래동요에 관한 음악문화 연구를 통해 근대 이후의 동요문화의 생성과 변화를 살펴보고, 전래동요의 분석을 바탕으로 전래동요의 음악문화와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제2장에서 동요의 발견과 변화를 음악 문화적으로 고찰하였다. 근대의 ‘어린이’의 탄생과 일제 강점기의 ‘어린이 운동’은 창작동요 발생의 배경이 되었다. 근대에 창작동요의 발생과 동요에 대한 열의는 동요의 올바른 방향성에 대한 담론으로 이어져 ’동요운동‘은 활기를 띠게 되었으며, 전래동요에 대하여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되었다.
    제3장은 아동과 전래동요의 연행성을 살펴보았다. 아동의 행동은 감각성, 활동성, 집단성의 측면에서 적극적인 자기표현이 전래동요에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 외에도 아동의 심리와 아동의 생활이 전래동요를 통하여 드러나고 있는데, 그 연행적 특성은 전래동요의 음악성, 문학성, 기능성의 측면에서 아동의 특성을 잘 드러내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제4장은 전래동요의 구성 방식과 음악적 구조를 고찰하였다. 전래동요는 가창, 사설, 놀이가 상호 긴밀성을 유지하며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독특한 아동음악적 구조를 만들어 내었다. 전래동요의 음악적 구조는 아동이 자신의 놀이노래를 양식화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아동의 놀이노래 양식화는 장차 성장한 후 성인으로서의 삶에서 이루어지는 의식과 의례, 생활문화를 양식화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이는 아동의 놀이노래가 유치한 장난이 아닌 인간의 ‘문화’적 산물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제5장은 전래동요의 음악문화적 의미와 전망을 살펴보았다.
    전래동요는 노래로 표출된 아동의 적극적인 자기표현이라 할 수 있다. 아동의 생활세계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삶의 노래인 것이다. 그리고 아동은 전래동요를 통하여 주변의 대상과 적극적 관계를 형성하며, 이것은 비완결적인 과정의 음악 형태를 갖게 된다. 전래동요는 아동음악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제공하는데, 음악만이 있는 것이 아닌 사설․음악․놀이가 결합된 통합 문화적 성격을 보여주고, 그 기능은 유희적 목적을 갖고 ‘재미’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래동요의 특성은 동요 창작에 있어서 아동의 주체성, 실제 아동의 현실을 담은 내용, 놀이의 기능과 유희성을 갖출 것은 제시하였다. 그리고, 동요교육에서 전래동요는 아동의 자기표현의 매개물이며 새롭게 재창작 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때 전래동요의 가치는 더욱 빛날 것으로 보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 성과는 기존의 한국 동요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며, 전래동요의 특성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어야함을 시사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전래동요의 음악 문화적 의미와 전망
    지금까지 전래동요에 관한 연구는 각 학문 분야에서 세부적으로 분리해서 고찰해 왔기 때문에 전래동요의 고유한 정체를 밝히는 데 다소 미흡하였을 뿐 아니라, 전래동요가 지닌 사회 문화적 의미와 그 자체의 구조적 특성, 그리고 오늘날 그것이 우리에게 주는 가치의 탐구에 까지는 이르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에게 그들의 세계와 온전하게 닮아 있고 또 그들의 모습을 그대로 담고 있는 노래를 창작하고 이를 제대로 가르치기 위해, 한국 동요가 생성 변화해 온 과정과 전래동요의 특성을 음악 문화학적 관점에서 분석,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전래동요의 음악 문화적 의미와 전망을 모색해 보았다.
    1. 창작동요의 타자로서 가치가 ‘발견’된 노래
    2. 아동 스스로의 참모습을 수용한 노래
    3. 아동의 음악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진 노래
    4. 동요 교육과 동요 창작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노래
    한국 동요의 지평을 넓히고, 아동의 삶에 중심을 둔 동요교육과 창작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색인어
  • 동요, 전래동요, 창작동요, 아동음악, 음악교육, 놀이, 아동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