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593&local_id=10018123
맥킨타이어(A. MacIntyre)의 덕론(德論)이 스포츠에 주는 함의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맥킨타이어& #40;A. MacIntyre& #41;의 덕론& #40;德論& #41;이 스포츠에 주는 함의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오현택(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17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9월 0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MacIntyre의 덕론(德論)에서 발견되는 의미들을 어떻게 스포츠에 적용할 수 있는가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MacIntyre가 제시한 덕의 세 단계인 실천에 내재하는 선을 추구하는 성향, 전체적 인간 삶의 선에 기여하는 성향, 사회적 전통을 통해 구현되는 성향을 개념틀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세 가지 덕의 단계는 각각이 따로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첫 번째 단계인 실천에서 각각의 실천들 간에 충돌이 생기는 문제는 두 번째 단계인 인간 삶의 전체적인 선에 기여하는 바를 통해 해결이 가능하며, 전체적인 삶에 대한 조망은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맥락을 갖춘 세 번째 단계인 전통을 통해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MacIntyre의 덕론을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그 이론 속에 담겨져 있는 함의를 스포츠와 연관 지어 생각하고자 하는 작업을 의도하고 있는 것이다. MacIntyre는 이상의 세 가지 요소를 인간의 어떤 특성을 덕이라고 부르는데 필수적인 필요조건으로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덕의 세 가지 필요조건을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차원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즉, 첫째 조건인 실천은 ‘덕의 개인적 차원’으로서 덕을 실천에 내재하는 선을 성취하는 성향으로 보는 것이며, 둘째 조건인 서사적 통일성은 ‘덕의 사회적 차원’으로서 덕을 전체적 인간 삶의 선에 기여하는 성향으로 보는 것이며, 셋째 조건인 전통은 ‘덕의 문화적 차원’으로서 덕을 사회적 전통을 통해 구현되는 성향으로 보는 것이다. 각각의 덕의 단계가 스포츠에서는 어떻게 나타날 수 있으며 그 의의는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MacIntyre가 제시한 덕의 세 단계를 스포츠에 적용했을 때 나타나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교과가 교육으로서의 지향점을 잃고 실용성(체력 및 사회성 함양 등)과 유희성(심리적 만족과 재미 등)에만 치중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는 점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적 지향점으로서 덕론이 어떠한 의의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체육학 분야보다 앞서 유사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는 교육학 분야에서의 덕론 관련 논의들을 살펴봄으로서 그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스포츠교육적 측면과 관련된 덕론 논의들을 고찰해 본 결과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스포츠에의 입문이라는 관점과 도덕교육으로서의 스포츠라는 관점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 두 가지 관점은 서로 상보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스포츠 참여를 통해 올바른 도덕적 판단과 도덕적 실행을 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을 때 스포츠로의 입문이 잘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으며, 반대로 스포츠에 입문이 되었을 때 비로소 스포츠를 통한 도덕교육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덕론과 관련된 교육학 논의를 통해 정리한 ‘실천(사회적 인간 활동 혹은 사회적 실제)에 기반을 둔 교육’이라는 관점과 스포츠교육적 측면에서 논의된 ‘스포츠로의 입문’이라는 관점은 현재의 스포츠교육의 위기 상황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둘째, 전통 스포츠윤리학은 의무 중심적인 윤리학이기 때문에 의무 이상의 행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개인윤리학에 치중한 나머지 스포츠 제도를 통해 일어나는 문제에 대한 대응에 부적합하다. 그리고 스포츠윤리학의 이러한 무력함을 피해 메타윤리학적 경향으로 흐를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전통 스포츠윤리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덕론에 근거한 스포츠윤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덕론의 스포츠윤리학적 함의는 첫째, 덕 윤리를 통해 스포츠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덕의 목록들을 찾아내어 개발하고 고양시켜야 함을 지적하였다. 둘째, 스포츠라는 사회적이고 제도적인 현상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능할 수 있는 사회윤리 이론임을 밝혔다. 셋째, 스포츠에서의 규범적인 원칙들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는 규범윤리 이론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셋째, 스포츠의 성격을 둘러싼 일련의 논쟁을 통해 스포츠 성격해명과 관련된 문제의식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쟁이 스포츠의 성격을 해명하는 기존의 방식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에서 발생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기존의 스포츠 성격해명 방식을 대체 혹은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덕론에 근거한 실천 관점은 규범적(規範的)이라는 측면에서 기술적(記述的)인 사회학적 관점과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사회학적 관점은 있는 사실 그대로, 보이는 것 그대로를 객관적으로 기술하기 때문에 스포츠의 성격을 규정함에 있어 스포츠의 속성들을 나열하고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체육교과가 교육으로서의 지향점을 잃고 실용성(체력 및 사회성 함양 등)과 유희성(심리적 만족과 재미 등)에만 치중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는 점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적 지향점으로서 덕론이 어떠한 의의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체육학 분야보다 앞서 유사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는 교육학 분야에서의 덕론 관련 논의들을 살펴봄으로서 그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스포츠교육적 측면과 관련된 덕론 논의들을 고찰해 본 결과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스포츠에의 입문이라는 관점과 도덕교육으로서의 스포츠라는 관점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 두 가지 관점은 서로 상보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스포츠 참여를 통해 올바른 도덕적 판단과 도덕적 실행을 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을 때 스포츠로의 입문이 잘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으며, 반대로 스포츠에 입문이 되었을 때 비로소 스포츠를 통한 도덕교육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덕론과 관련된 교육학 논의를 통해 정리한 ‘실천(사회적 인간 활동 혹은 사회적 실제)에 기반을 둔 교육’이라는 관점과 스포츠교육적 측면에서 논의된 ‘스포츠로의 입문’이라는 관점은 현재의 스포츠교육의 위기 상황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둘째, 전통 스포츠윤리학은 의무 중심적인 윤리학이기 때문에 의무 이상의 행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개인윤리학에 치중한 나머지 스포츠 제도를 통해 일어나는 문제에 대한 대응에 부적합하다. 그리고 스포츠윤리학의 이러한 무력함을 피해 메타윤리학적 경향으로 흐를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전통 스포츠윤리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덕론에 근거한 스포츠윤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덕론의 스포츠윤리학적 함의는 첫째, 덕 윤리를 통해 스포츠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덕의 목록들을 찾아내어 개발하고 고양시켜야 함을 지적하였다. 둘째, 스포츠라는 사회적이고 제도적인 현상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능할 수 있는 사회윤리 이론임을 밝혔다. 셋째, 스포츠에서의 규범적인 원칙들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는 규범윤리 이론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주요어: MacIntyre, 덕론(德論), 스포츠교육, 스포츠윤리학, 스포츠 성격해명
    학 번: 2002-30599
    셋째, 스포츠의 성격을 둘러싼 일련의 논쟁을 통해 스포츠 성격해명과 관련된 문제의식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쟁이 스포츠의 성격을 해명하는 기존의 방식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에서 발생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기존의 스포츠 성격해명 방식을 대체 혹은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덕론에 근거한 실천 관점은 규범적(規範的)이라는 측면에서 기술적(記述的)인 사회학적 관점과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사회학적 관점은 있는 사실 그대로, 보이는 것 그대로를 객관적으로 기술하기 때문에 스포츠의 성격을 규정함에 있어 스포츠의 속성들을 나열하고 어떠한 활동들에 그러한 속성들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작업에 그치고 만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속성에 변화가 생긴다거나 스포츠라는 언어 사용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변화될 경우 스포츠에 대한 규정 또한 그에 따라 변화될 수밖에 없는 입장에 처해 있는 것이다. 하지만 실천 관점은 오로지 스포츠 내적인 것, 스포츠의 좋음, 가치, 덕과 같은 것들에 의해 스포츠를 규정하고자 하기 때문에 스포츠 외적인 것에 의해 흔들릴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보인다.
  • 색인어
  • MacIntyre, 덕론(德論), 스포츠교육, 스포츠윤리학, 스포츠 성격해명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